오늘날 기업들은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민첩하게 적응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기업 인재의 리더십 역량 향상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리더와 구성원 간의 소통과 협력 등의 역량이 강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32655
2020
-
370
KCI등재
학술저널
33-66(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기업들은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민첩하게 적응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기업 인재의 리더십 역량 향상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리더와 구성원 간의 소통과 협력 등의 역량이 강조...
오늘날 기업들은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민첩하게 적응하고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기업 인재의 리더십 역량 향상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리더와 구성원 간의 소통과 협력 등의 역량이 강조되는 관계지향적 리더십 역량이 조명되고 있다. 그간의 리더십 교육이 지향하는 바와 마찬가지로 관계지향적 리더십 역시 교육 후 높은 현업 전이율은 지향점이 아닐 수 없다. 이에 필요한 학습요소는 맥락적 학습상황과 학습자들의 적극적 참여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관계적 학습’, 곧, 비형식교육 활동과 환경에서 익힌 역량을 자연스럽게 형식적 교육에서 요구하는 역량으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교육방식을 리더십 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국내 K기업의 현장관리자 49명을 대상으로 약 2개월에 걸쳐 ‘관계지향적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후 그 결과를 관계지향적 리더십의 대표적 역량(적극적 참여, 동료간의 경청, 배려, 소통, 공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질적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관계지향적 리더십이 추구하는 역량에서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관계적 학습은 리더십 교육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고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focusing on relational process of people as a way to confront with rapidly changing social needs and environments in the Digital age, the Relational leadership has began to get more attention as a way to build up authentic, empathetic, and colla...
While focusing on relational process of people as a way to confront with rapidly changing social needs and environments in the Digital age, the Relational leadership has began to get more attention as a way to build up authentic, empathetic, and collaborative leaders. On the other hand, ‘Connected Learning’, which was recently mentioned as an innovative pedagogy in educational fields, seemed to match well with the Relational leadership in developing the leadership program. The Connected learning is a learning approach to connect both informal and formal learning, activities, and environments together, thus, defined with thre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interests (personal or informal interests and concerns), relations (interrelationship among and between peers and experts), and opportunities (opportunities connecting or applying informal knowledge and expertise to formal situations). In other words, since both the relationship leadership and the Connected learning emphasize ‘relationship,’ they are well-tuned with each other as a content and a learning method, respectively.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veloped a relational leadership program of K Company (49 participants during 2 months) based upon the Connected learning approach. And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and reflective journal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veral competencies of the relational leadership (i.e., active participation, attentive listening, consideration for others, communication and empathy), and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in all aspects of the competencie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Connected learning approach showed possibility as a learning approach to develop the Relational leadership.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상호, "중소기업 구성원을 위한 문제인식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169-198, 2014
2 김미정, "워크플레이스 변화(Workplace Change)사례를 통해 본 액션러닝 효과와 문제" 8 : 5-32, 2001
3 안동윤, "액션러닝에서 성찰의 조직화 사례: A사의 리더십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253-278, 2006
4 유영만, "실천학습에 실천과 학습이 존재하는가" 4 (4): 55-77, 2003
5 최창현, "소통과 타협의 리더십 : 복잡성이론 관점" 2014 : 640-658, 2014
6 윤성노, "세월호 참사로 야기된 위기 극복을 위한 세종대왕 소통리더십" 리더십학회 7 (7): 105-134, 2015
7 Merriam, S. B., "성인학습론" 아카데미프레스 2009
8 황중원, "메이커 페다고지(Maker Pedagogy)로서 T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166-176, 2016
9 백기복, "리더십개발 연구: 현황과 과제" 대한경영학회 26 (26): 1929-1946, 2013
10 박영용, "기업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15-239, 2006
1 송상호, "중소기업 구성원을 위한 문제인식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기업교육학회 16 (16): 169-198, 2014
2 김미정, "워크플레이스 변화(Workplace Change)사례를 통해 본 액션러닝 효과와 문제" 8 : 5-32, 2001
3 안동윤, "액션러닝에서 성찰의 조직화 사례: A사의 리더십 개발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253-278, 2006
4 유영만, "실천학습에 실천과 학습이 존재하는가" 4 (4): 55-77, 2003
5 최창현, "소통과 타협의 리더십 : 복잡성이론 관점" 2014 : 640-658, 2014
6 윤성노, "세월호 참사로 야기된 위기 극복을 위한 세종대왕 소통리더십" 리더십학회 7 (7): 105-134, 2015
7 Merriam, S. B., "성인학습론" 아카데미프레스 2009
8 황중원, "메이커 페다고지(Maker Pedagogy)로서 T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166-176, 2016
9 백기복, "리더십개발 연구: 현황과 과제" 대한경영학회 26 (26): 1929-1946, 2013
10 박영용, "기업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영향요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8 (38): 215-239, 2006
11 권호산, "군 리더의 경쟁가치 리더십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리더유효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0 (30): 111-136, 2016
12 김동민, "공자의 관계중심 리더십(relationship-based leadership)과 현대 리더십의 접목과 그 학술적 의의" 대동철학회 (68) : 29-59, 2014
13 황성원, "공공부문에 효과적인 Action Learning 도입방안" 1-, 2005
14 Biehl, B., "‘In the mix’ : Relational leadership explored through an analysis of techno DJs and dancers" 15 (15): 339-359, 2019
15 Burke, L. A., "Workforce Training Transfer : A Study of the effect of relapse prevention training and transfer climate" 38 (38): 227-242, 1999
16 Connected Learning Alliance, "What is connected learning?"
17 Kumpulainen, K., "What is connected learning and how to research it?" 4 (4): 7-18, 2014
18 Seltzer, J.,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Beyond initiation and consideration" 16 (16): 693-703, 1990
19 Broad, M. L., "Transfer of Training" Addison‐Wesley 1992
20 Connected Learning Research Network, "The Connected Learning Research Network: Reflections on a Decade of Engaged Scholarship" Digital Media and Learning Research Hub 2019
21 Gogia, L., "The Case for Connected Learning"
22 Garcia, A., "Teaching in the connected learning classroom" Digital Media and Learning Research Hub 2014
23 Reilly, E., "Shall we PLAY" Annenberg Innovation Lab a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2
24 Martin, J., "Self-regulated learning, social cognitive theory, and agency" 39 (39): 135-145, 2004
25 Larson, K., "Safe space and shared interests: YOUmedia Chicago as a laboratory for connected learning" BookBaby 2013
26 Kurucz, E. C., "Relational leadership for strategic sustainability : Practices and capabilities to advance the design and assessment of sustainable business models" 140 : 189-204, 2017
27 Cardiff, S., "Person‐centrd leadership : A relational approach to leadership derived through action research" 27 (27): 3056-3069, 2018
28 Ching, D., "On-ramps, lane changes, detours and destinations: Building connected learning pathways in Hive NYC through brokering future learning opportunities" 2015
29 Buechley, L., "New Literacies and Digital Epistemologies. Volume 62" Peter Lang Publishing Group 2013
30 Cronin, C., "Networked learning and identity development in open online spaces" 405-411, 2014
31 Lohnes Watulak, S., "Making Space for Preservice Teacher Agency Through Connected Learning in Preservice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s" 34 (34): 166-178, 2018
32 Falk, J. H., "Lessons without limit: How free-choice learning is transforming education" Rowman Altamira 2002
33 Evans, M. A., "Interest-driven learning among middle school youth in an out-of-school STEM studio" 23 (23): 624-640, 2014
34 Deng, L., "Interest-driven digital practices of secondary students: Cases of connected learning" 9 : 45-54, 2016
35 Allen, S., "Exploring Quaker organising to consider the possibilities for relational leadership" 24 (24): 249-269, 2019
36 Kligler-Vilenchik, N., "Experiencing fan activism : Understanding the power of fan activist organizations through members’ narratives" 10 : 2012
37 Harel, I. E., "Constructionism" Ablex 1991
38 Ito, M., "Connected learning: An agenda for research and design" Digital Media and Learning Research Hub 2013
39 Bilandzic, M., "Connected learning in the library as a product of hacking, making, social diversity and messiness" 24 (24): 158-177, 2016
40 Davis, K., "Connected learning in and after school : Exploring technology's role in the learning experiences of diverse high school students" 32 (32): 98-116, 2016
41 Ito, M., "Connected learning and the future of libraries" 12 (12): 29-, 2013
42 Miell, D., "Collaborative creativity: Contemporary perspectives" Free Association Books 2004
43 Uhl-Bien, M., "Advancing relational leadership research: A dialogue among perspectives" IAP 2012
44 Yukl, G., "A hierarchical taxonomy of leadership behavior : Integrating a half century of behavior research" 9 (9): 15-32, 2002
45 대한상공회의소, "100대 기업이 원하는 인재상 보고서"
기업체 여성 관리자를 위한 리더십 역량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직무 재창조가 객관적.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영업 관리자 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9-08-1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기업교육연구 -> 기업교육과인재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and Talent Research | |
2009-07-3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orporate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learning and performance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8 | 1.58 | 1.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6 | 2.16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