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식사가 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a Meal on Cardiac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78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It has been well recognized that exercise tolerance and angina threshold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are reduced after a meal. But precise mechanism leading to the postprandial worsening of angina has yet to be adequate...

      Background:It has been well recognized that exercise tolerance and angina threshold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are reduced after a meal. But precise mechanism leading to the
      postprandial worsening of angina has yet to be adequately define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mixed meal on cardiac performance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
      patients with CAD.
      Methods:24 patients with angina or myocardial infarction were studied.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test were performed in the fasting state and the other 40-60 minutes after a 600–800 kcal mixed meal.
      Results:In the postprandial state,
      resting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5.2% from 64.8±10.69 beats/min to 68.2±10.2 beats/min (p<0.01), stroke volume by 8.1% from 59.6±17.3 ml to 64.4±18.1 ml (p<0.01), cardiac
      output by 14.2% from 3.8±1.06 to 4.3±1.21 (p<0.01). E wave and A wave of mitral filling flow and E/A ratio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fasting and postprandial tests. But DT and IVR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ostprandial state (p<0.05, p<0.01 respectively). HRV was not different in the fasting and postprandial state.
      Conclusions:In patients with CAD, a 600- 800 kcal mixed meal significantly increased resting heart rate, stroke volume, cardiac output, DT and IV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대상: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식사 후에 운동내성이 감소하고 협심증역치가 감소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고 급성심근경색증 발병의 24시간 주기변동에 있어서 오전에 정점이 있으...

      연구대상: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식사 후에 운동내성이 감소하고 협심증역치가 감소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고 급성심근경색증 발병의 24시간 주기변동에 있어서 오전에 정점이 있으나 저녁에 정점이 하나 더 있다는 보고도 있다. 실제로 그 기전을 비관혈적인 방법으로 조사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임상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심초음파검사와 홀터심전도를 이용하여 식사가 심기능과 심박수 변이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 법: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으로 진단된 24명(협심증 1명, 심근경색증 13명, 평균연령;57±6.1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사 30분전과 600∼800 kcal의 식사 후 40∼60분에 각각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고 심초음파검사를 실시하였고 식사전후로 3∼4시간동안 홀터심전도를 기록하여 심박수 변이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식사 전보다 식사 후에 심박수가 5.2% 증가하였고(p<0.01) 구혈량과 심박출량도 각각 8.1%, 14.2% 증가하였다(각각 p<0.01, p<0.01). 혈압은 식사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승모판혈류 E파, A파와 E/A비는 차이가 없었으나 DT와 IVRT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식사전후 심박수 변이도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관상동맥질환 환자에서 심초음파검사로 보통의 식사한끼도 심박수와 심박출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켜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8-06-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Cardiovascular Ultrasound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외국어명 : Journal of Cardiovascular Ultrasound ->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4 0.241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