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동기 및 만족도 연구 - 서울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Visito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Urban Open Space - In the Case of Waterfront Open Space in Seou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다기능적 공간으로서 시민들의 휴식 및 건강, 자연경관 감상은 물론 예술 문화적 체험과 도시관광 및 마케팅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현대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역할과 기능에 비해 이에 대한 담론과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은 물론 관광객 등의 원거리 이용 수요가 있는 서울시의 4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방문동기 요인을 도출하고, 오픈스페이스의 공간 특성 및 이용행태에 따라 방문동기와 만족도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청계천, 서울숲, 선유도공원, 반포한강공원을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으로는 관찰조사, 문헌조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방문동기 요인은 크게 커뮤니티성, 자연성, 문화교육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 등 5개로 구분되었다. 둘째, 방문동기 요인 중 커뮤니티성,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은 오픈스페이스별 경관, 집객시설 및 프로그램, 편의시설, 주변지역 특성 등의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객들의 지각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객 거주지로부터 오픈스페이스까지의 거리에 따라 방문동기를 지각하는 데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거리의 방문객은 오픈스페이스의 자연성을, 도시관광객 등 원거리 방문객은 디자인 심미성을 주요 방문동기 요인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넷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의 방문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통적인 방문동기 요인은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으로 나타났고, 오픈스페이스별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문동기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종합해 보면,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휴식 및 운동 등의 단순한 체험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와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간으로서 심미적 욕구, 유대감 형성 및 강화, 문화 및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의 요인들이 방문동기로서 작용하며, 이들 요인이 전체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표하는 도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가 방문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지자체 입장에서는 매력적인 도시 오픈스페이스 창출을 위한 조성 정비는 물론 운영 관리 과정에 활용할 수 있으며, 오픈스페이스 계획 및 설계가 입장에서는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도시관광 및 마케팅적인 기능을 시설배치 및 공간프로그램 구상 과정에 적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다기능적 공간으로서 시민들의 휴식 및 건강, 자연경관 감상은 물론 예술 문화적 체험과 도시관광 및 마케팅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현대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다기능적 공간으로서 시민들의 휴식 및 건강, 자연경관 감상은 물론 예술 문화적 체험과 도시관광 및 마케팅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현대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역할과 기능에 비해 이에 대한 담론과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은 물론 관광객 등의 원거리 이용 수요가 있는 서울시의 4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방문동기 요인을 도출하고, 오픈스페이스의 공간 특성 및 이용행태에 따라 방문동기와 만족도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청계천, 서울숲, 선유도공원, 반포한강공원을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으로는 관찰조사, 문헌조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방문동기 요인은 크게 커뮤니티성, 자연성, 문화교육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 등 5개로 구분되었다. 둘째, 방문동기 요인 중 커뮤니티성,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은 오픈스페이스별 경관, 집객시설 및 프로그램, 편의시설, 주변지역 특성 등의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객들의 지각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객 거주지로부터 오픈스페이스까지의 거리에 따라 방문동기를 지각하는 데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거리의 방문객은 오픈스페이스의 자연성을, 도시관광객 등 원거리 방문객은 디자인 심미성을 주요 방문동기 요인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넷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의 방문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통적인 방문동기 요인은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으로 나타났고, 오픈스페이스별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문동기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종합해 보면,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휴식 및 운동 등의 단순한 체험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와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간으로서 심미적 욕구, 유대감 형성 및 강화, 문화 및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의 요인들이 방문동기로서 작용하며, 이들 요인이 전체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표하는 도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가 방문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지자체 입장에서는 매력적인 도시 오픈스페이스 창출을 위한 조성 정비는 물론 운영 관리 과정에 활용할 수 있으며, 오픈스페이스 계획 및 설계가 입장에서는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도시관광 및 마케팅적인 기능을 시설배치 및 공간프로그램 구상 과정에 적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창현, "이용만족도결정요인의분석을통한서울시도시공원의공 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9 (9): 118-122, 2001

      2 윤형호, "수도권 주제공원 방문빈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8 (8): 55-67, 2007

      3 홍성권, "수도권 내 주요 주제공원 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21 (21): 85-101, 1997

      4 서울특별시, "서울의 삶, 서울의 꿈" 서울특별시 2006

      5 유미나, "생태민감지역 트레일 방문동기별 지각된 제약요인과 충성도 차이 - DMZ 평화누리길 방문객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0 (40): 57-68, 2012

      6 김우혁, "도시공원의 이용과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2 (12): 115-122, 2010

      7 김민형, "도시공원 방문객의 체류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6 (36): 275-289, 2012

      8 채진해, "도시 엔터테인먼트 목적지(UED)로서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선택속성 연구" 한국조경학회 41 (41): 56-67, 2013

      9 오상훈, "도시 관광 동기와 만족속성에 관한연구 -서울 방문 중국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207-228, 2012

      10 이현욱, "광주광역시 도시공원의 분포특성과 이용행태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2 (12): 27-40, 2009

      1 문창현, "이용만족도결정요인의분석을통한서울시도시공원의공 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9 (9): 118-122, 2001

      2 윤형호, "수도권 주제공원 방문빈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8 (8): 55-67, 2007

      3 홍성권, "수도권 내 주요 주제공원 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21 (21): 85-101, 1997

      4 서울특별시, "서울의 삶, 서울의 꿈" 서울특별시 2006

      5 유미나, "생태민감지역 트레일 방문동기별 지각된 제약요인과 충성도 차이 - DMZ 평화누리길 방문객을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40 (40): 57-68, 2012

      6 김우혁, "도시공원의 이용과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2 (12): 115-122, 2010

      7 김민형, "도시공원 방문객의 체류시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6 (36): 275-289, 2012

      8 채진해, "도시 엔터테인먼트 목적지(UED)로서 도시 오픈 스페이스의 선택속성 연구" 한국조경학회 41 (41): 56-67, 2013

      9 오상훈, "도시 관광 동기와 만족속성에 관한연구 -서울 방문 중국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207-228, 2012

      10 이현욱, "광주광역시 도시공원의 분포특성과 이용행태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 12 (12): 27-40, 2009

      11 김희우, "광주광역시 근린공원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평가연구" 한국조경학회 35 (35): 16-31, 2007

      12 박진영, "관광지의 관광동기유형별 관광지 선호 속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관광지를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397-411, 2010

      13 김영우, "관광동기 및 관광유형선택에 따른 관광행동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18 (18): 153-172, 2006

      14 Hobakbooks Editorial Department, "공원에 가기" 도서출판 호박 2012

      15 박찬돈, "공동주택 녹지공간의 환경성능에 관한 연 구" 32 (32): 239-250, 1997

      16 Vill, Bramwell, "User satisfaction and product development in urban tourism" 19 (19): 35-47, 1998

      17 Spirou, C, "Urban Tourism and Urban Change: Cities in a Global Economy" Routledge 2011

      18 Iso-Ahola, S. E, "Toward a social psychological theory of tourism motivation: A rejoinder" 9 : 252-262, 1982

      19 Mill, A. S, "The Tourism System: An Introductory Text" Prentice-Hall, Inc 1985

      20 Akkar, M, "Questioning the pulicness of public spaces in postindustrial cities" 14 (14): 75-91, 2005

      21 Land. C. T, "Motivation, participation and preference: A multi-segmentation approach of the Australian nature travel market" 6 (6): 357-369, 1997

      22 Uysal, M., "Motivation of Pleasure Travel and Tourism in VNR's Encyclopedia of Hospitality and Tourism" Var Nostrand Reinhold 798-810, 1993

      23 Crompton, J, "Motivation for peasure vacation" 6 (6): 408-424, 1979

      24 Noe, F. P, "Measurement specific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9 (9): 165-166, 1987

      25 Martin, R, "Lonely Planet Seoul City Guide" Lonely Planet 2009

      26 Jansen-Verbeke, M, "Inner-city tourism: Resources, tourists and promoters" 13 (13): 79-100, 1986

      27 Crompton, J, "How cities use parks to promote tourism, City Parks Forum Briefing Papers"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005

      28 Mansfeld, Y, "Group-differentiated perceptions of social impact related to tourism development" 44 : 377-392, 1992

      29 Fridgen, J. D, "Dimensions of tourism" Educational Institute of the American Hotel and Motel Association 1991

      30 Tian-Cole, S, "Conceptualiz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quality and visitor satisfaction and their links to destination selection" 22 (22): 65-80, 2003

      31 Dann, G, "Anomie, ego-enhancement and tourism" 4 : 184-194, 19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