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이후 편찬된 한국 한자 사전의 변화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d Aspects in Korean Hanja Dictionary Compiled after Modern Times to Toda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근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주요 한자 사전을 대상으로 사전의 구성과 체제 등의 구조가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여 향후 한자 사전 편찬에 도움이 되고자 한 ...

      이 논문은 근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편찬된 주요 한자 사전을 대상으로 사전의 구성과 체제 등의 구조가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였는지를 고찰하여 향후 한자 사전 편찬에 도움이 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근대 개화기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 간행된 주요 한자사전을 세 시기로 나누어 사전 편찬의 경향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구조와 내용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이러한 변화 양상을 ①자형 처리의 변화, ②자음 처리의 변화, ③뜻풀이 처리의 변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먼저 자형 처리의 변화에서는 크게 ①부수 설정의 변화와 ②한자 부가정보가 확장되었다. 다음으로 자음 처리의 변화에서는 ①한자음 표기 방식이 다양화되고, ②현실음을 중심으로 남기고 나머지는 소멸시키며, ③새로운 한자음을 추가하거나 변화시켜 한자음을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뜻풀이 처리의 변화에서는 ①영어와 일본어 대역 의미를 제시하였고, ②한국어의 古語, 死語, 卑俗語를 현대의 표준어로 바꾸어 편찬하며, ③한자의 품사 정보 표시를 시도하며, ④동사와 형용사를 ‘-다’형으로 끝을 맺어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한국 한자 사전의 변화 양상을 통하여, 첫째 다양한 종류의 자전과 옥편이 편찬되는 과정에서 한국화된 특유한 형태의 자전이 완성되었으며, 둘째 한자를 집대성한 자전과 옥편의 형태에서 한자 어휘 중심의 사전의 형태로 발전하였고, 셋째 10,000자 내외의 한자를 수록한 한자 학습사전이 많이 편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how the structure of dictionaries, such a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dictionaries, has changed in relation to major Korean Hanja dictionaries compiled in Korea since modern times to today. So, It was intended to help in the comp...

      This paper examined how the structure of dictionaries, such a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dictionaries, has changed in relation to major Korean Hanja dictionaries compiled in Korea since modern times to today. So, It was intended to help in the compilation of Korean Hanja dictionaries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first, has outlined the trend of lexicography by major Korean Hanja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from the modern flowering period to the latest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compilation period.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se Chinese dictionaries over time, so the changes were considered in three aspects: First, in the changes of character shape processing, the ① change of 214 radicals and ② the additional in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were expanded. Next, in the changes of consonant processing, ① Chinese consonant notation method was diversified, ② left the real sound as the center, and the rest disappeared, and ③ Chinese consonant was expanded by adding or changing new Chinese consonants. Finally, in the changes of meaning processing, ① suggested the meaning of English and Japanese translation, ② converted and compiled Korean archaic, sarcastic, and profanity into modern standard words, ③ attempted to display part of speech in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④ tried to present verbs and adjectives by ending with ‘-다’.
      Through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Korean Hanja dictionaries compiled since the modern era, it is possible to derive how the direction of Korean Hanja dictionary compilation has changed as follows: First, in the process of compilation of various types of Jajeon (字典) and Okpyeon (玉篇), it can be said that the unique Koreanized version of Jajeon (字典) was completed. Secondly, it developed from the form of the Jajeon (字典) and the Okpyeon (玉篇), in which Chinese characters were compiled, to the form of a dictionary centered on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Thirdly, a number of Hanja learning dictionaries have been compiled so that students can lear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by including heading characters between 2,000 and 10,000.
      As described above, the trend and trend of the compilation of Korean Hanja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after the modern era can give many implications for the compilation of a new Korean Hanja dictionaries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미현, "현대 자전류의 한자음 반영 양상 ―반절과 한자음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51) : 29-51, 2017

      2 최미현, "현대 자전류에 반영된 한자음의 오류 양상" 우리말학회 (53) : 35-61, 2018

      3 박형익, "한국의 자전" 한국어학회 (23) : 1-22, 2004

      4 田日周, "한국 한자자전 연구" 중문 2003

      5 하강진, "한국 최초의 근대 자전 國漢文新玉篇의 편찬 동기" 한국문학회 (41) : 237-266, 2005

      6 박형익, "한국 자전의 해제와 목록" 도서출판 역락 2016

      7 박형익, "한국 자전의 역사" 도서출판 역락 2012

      8 박형익, "한국 사전과 사전학" 월인 2004

      9 김억섭, "한국 근현대 한자자전{옥편}에 대한 小考 - 일제 강점기에 출간된 자전을 중심으로 -" 한국중국언어학회 (64) : 113-131, 2016

      10 하영삼, "한국 근대 한자자전 연구" 도서출판3 2019

      1 최미현, "현대 자전류의 한자음 반영 양상 ―반절과 한자음의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우리말학회 (51) : 29-51, 2017

      2 최미현, "현대 자전류에 반영된 한자음의 오류 양상" 우리말학회 (53) : 35-61, 2018

      3 박형익, "한국의 자전" 한국어학회 (23) : 1-22, 2004

      4 田日周, "한국 한자자전 연구" 중문 2003

      5 하강진, "한국 최초의 근대 자전 國漢文新玉篇의 편찬 동기" 한국문학회 (41) : 237-266, 2005

      6 박형익, "한국 자전의 해제와 목록" 도서출판 역락 2016

      7 박형익, "한국 자전의 역사" 도서출판 역락 2012

      8 박형익, "한국 사전과 사전학" 월인 2004

      9 김억섭, "한국 근현대 한자자전{옥편}에 대한 小考 - 일제 강점기에 출간된 자전을 중심으로 -" 한국중국언어학회 (64) : 113-131, 2016

      10 하영삼, "한국 근대 한자자전 연구" 도서출판3 2019

      11 최미현, "자전류 한자음의 사라짐 양상 연구" 우리말학회 (40) : 101-123, 2015

      12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동아시아 한자사전의 현황과 과제" 단국대 출판부 2020

      13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동아시아 한자사전과『한한대사전』" 단국대 출판부 2013

      14 단국대 동양학연구원, "동아시아 고유한자와 사전편찬" 단국대 출판부 2014

      15 李忠九, "韓國字典 成立의 考" 반교어문학회 3 : 9-27, 1991

      16 李忠九, "韓中日 字典 比較 硏究" 반교어문학회 11 : 3-70, 2000

      17 전일주, "近代 啓蒙期의 辭典 編纂과 그 歷史的 意義-특히 <國漢文新玉篇>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17) : 77-104, 2002

      18 신상현, "朝鮮後期 文字言語學 硏究 흐름과 字書 編纂" 고려대 한자한문연구소 5 : 187-22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Culture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연구 29호 -> 민족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 1.38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