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진왜란기 안동 지역 지방관과 관군(官軍)의 전쟁 수행 = During the Imjin War period, the local government and government forces in the Andong region conducted a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46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jin War was a long battle of 7 years. The story of the battle, which is the basis of the history of war, is also important, but research on the administrative operation of the region, which was a space of war, is also necessary. The 7-year long-term war proves that war was possible only when the troops and munitions were prepared,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systems of local officials were organically connect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Imjin era, Gyeongsang-do was a region where Japanese troops resisted on the basis of Ulsan until the end and then retreated. Moreover, as the Ming Dynasty troops were stationed, Andong and Gyeongsang Province were even engaged in an international war. The highlight of Andong’s government officials’ coping with the urgent war situation is a work that satisfies the incomplete part of the study of the Imjin War, and at the same time reveals the character and specificity of the region. In particular, it will be a turning point to make up for the disparity of local officials in the area attacked by the Japanese army as incompetent figures who were completely unprepared for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isting war history. It is because the perspective of disregarding the basics of the history of the war is the reason to turn the state of numerical inferiority early in the war to incompetence.
      번역하기

      The Imjin War was a long battle of 7 years. The story of the battle, which is the basis of the history of war, is also important, but research on the administrative operation of the region, which was a space of war, is also necessary. The 7-year long-...

      The Imjin War was a long battle of 7 years. The story of the battle, which is the basis of the history of war, is also important, but research on the administrative operation of the region, which was a space of war, is also necessary. The 7-year long-term war proves that war was possible only when the troops and munitions were prepared, as well as the administrative systems of local officials were organically connect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Imjin era, Gyeongsang-do was a region where Japanese troops resisted on the basis of Ulsan until the end and then retreated. Moreover, as the Ming Dynasty troops were stationed, Andong and Gyeongsang Province were even engaged in an international war. The highlight of Andong’s government officials’ coping with the urgent war situation is a work that satisfies the incomplete part of the study of the Imjin War, and at the same time reveals the character and specificity of the region. In particular, it will be a turning point to make up for the disparity of local officials in the area attacked by the Japanese army as incompetent figures who were completely unprepared for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isting war history. It is because the perspective of disregarding the basics of the history of the war is the reason to turn the state of numerical inferiority early in the war to incompet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亂中雜錄"

      2 한국학문헌연구소, "한국지리지총서 읍지" 아세아문화사 1982

      3 육군본부, "한국군사사 5" 경인문화사 2012

      4 장준호, "임진왜란시 朴毅長의 慶尙左道 방위활동"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6) : 61-88, 2010

      5 정해은, "임진왜란기 대구 수령의 전쟁 대응과 사족의 전쟁 체험" 부산경남사학회 (98) : 1-33, 2016

      6 김진수, "임진왜란기 朴晉의 군사 활동과 평가" 고려사학회 (60) : 243-276, 2015

      7 심승구,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177-230, 2005

      8 강성문, "임진왜란 초기육전과 방어전술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6

      9 노영구, "임진왜란 초기 봉화 小川 전투의 전개와 전쟁사적 의미" 영남문화연구원 (62) : 381-406, 2017

      10 김진수,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조선군의 대응양상에 대한 검토-경상좌병사 박진(朴晉)과 권응수(權應銖)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4) : 1-27, 2012

      1 "亂中雜錄"

      2 한국학문헌연구소, "한국지리지총서 읍지" 아세아문화사 1982

      3 육군본부, "한국군사사 5" 경인문화사 2012

      4 장준호, "임진왜란시 朴毅長의 慶尙左道 방위활동"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6) : 61-88, 2010

      5 정해은, "임진왜란기 대구 수령의 전쟁 대응과 사족의 전쟁 체험" 부산경남사학회 (98) : 1-33, 2016

      6 김진수, "임진왜란기 朴晉의 군사 활동과 평가" 고려사학회 (60) : 243-276, 2015

      7 심승구,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177-230, 2005

      8 강성문, "임진왜란 초기육전과 방어전술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6

      9 노영구, "임진왜란 초기 봉화 小川 전투의 전개와 전쟁사적 의미" 영남문화연구원 (62) : 381-406, 2017

      10 김진수, "임진왜란 초기 경상좌도 조선군의 대응양상에 대한 검토-경상좌병사 박진(朴晉)과 권응수(權應銖)의 활동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4) : 1-27, 2012

      11 이호준,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지역 전투와 군사체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77) : 117-181, 2010

      12 정해은, "임진왜란 초기 경상도 수령의 동향과 의병 지원 활동" 조선시대사학회 (70) : 133-168, 2014

      13 이호준, "임진왜란 초기 下三道 勤王軍 활동 연구" 육군박물관 19 : 75-104, 2012

      14 이선희, "임진왜란 시기 咸陽 守令의 전란대처 - 『孤臺日錄』을 중심으로 -" 진단학회 (110) : 95-123, 2010

      15 이욱, "임란의병사의 재조명" 임란의병사의 재조명 2012

      16 최효식, "임난기 경상좌도의 의병항쟁" 국학자료원 2004

      17 이선희, "문경지역의 임진난사 연구"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2016

      18 이왕무, "대구지역의 임진전쟁사 연구"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2020

      19 이욱, "대구지역 임진난사" 대구지역 임진난사 2017

      20 "鄕兵日記"

      21 北島万次, "豊臣秀吉の朝鮮侵略" 吉川弘文館 1995

      22 德富猪一郞, "豊臣氏時大丁編 朝鮮役" 明治書院 1935

      23 "芝軒集"

      24 "盤谷集"

      25 "新增東國輿地勝覽"

      26 "征蠻錄"

      27 "巖谷遺稿"

      28 "壬辰狀抄"

      29 "壬辰日記"

      30 노영구, "壬辰倭亂 초기 양상에 대한 기존 인식의 재검토 - 和歌山縣立博物館 소장 「壬辰倭亂圖屛風」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바탕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1) : 169-197,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Culture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연구 29호 -> 민족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 1.38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