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두호, "환상에서 현실로: 인류세, 기후변화, 문학적 수용의 과제" 인문학연구원 (60) : 67-102, 2016
2 윤영옥, "한국여성 SF에 나타난 신체기술과 지구공동체—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91) : 219-243, 2022
3 이양숙, "한국소설의 비인간 전환과 탈인간중심주의"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34) : 227-259, 2020
4 황호덕, "한국 재난 서사의 계보학 -비인지적 낯익음에서 인지적 낯설게 하기까지" 한국현대소설학회 (88) : 431-469, 2022
5 들뢰즈, 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6 라투르, 브뤼노,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이음 2021
7 차르라바르티, 디페시, "지구사의 도전" 서해문집 2010
8 김초엽, "지구 끝의 온실" 자이언트북스 2021
9 이소연, "재난서사의 새로운 동향과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출현 ―김초엽, 정세랑, 듀나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15 (15): 55-77, 2022
10 원영선,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만남: 인류세 연구" 영미문학연구회 (46) : 245-271, 2019
1 신두호, "환상에서 현실로: 인류세, 기후변화, 문학적 수용의 과제" 인문학연구원 (60) : 67-102, 2016
2 윤영옥, "한국여성 SF에 나타난 신체기술과 지구공동체—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91) : 219-243, 2022
3 이양숙, "한국소설의 비인간 전환과 탈인간중심주의"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34) : 227-259, 2020
4 황호덕, "한국 재난 서사의 계보학 -비인지적 낯익음에서 인지적 낯설게 하기까지" 한국현대소설학회 (88) : 431-469, 2022
5 들뢰즈, 질,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6 라투르, 브뤼노, "지구와 충돌하지 않고 착륙하는 방법" 이음 2021
7 차르라바르티, 디페시, "지구사의 도전" 서해문집 2010
8 김초엽, "지구 끝의 온실" 자이언트북스 2021
9 이소연, "재난서사의 새로운 동향과 포스트휴먼 감수성의 출현 ―김초엽, 정세랑, 듀나의 소설을 중심으로" 이화인문과학원 15 (15): 55-77, 2022
10 원영선,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만남: 인류세 연구" 영미문학연구회 (46) : 245-271, 2019
11 최병두, "인류세인가, 자본세인가: 생태마르크스주의의 이론적 균열" 한국공간환경학회 32 (32): 115-165, 2022
12 복도훈, "인류세의 (한국)문학 서설" 한국문예창작학회 19 (19): 13-34, 2020
13 해밀턴, 클라이브, "인류세-거대한 전환 앞에 선 인간과 지구 시스템" 이상북스 2018
14 해러웨이, 도나, "인류세, 자본세, 대농장세, 툴루세" 97 : 162-173, 2019
15 김초엽,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허블 2019
16 이인건, "신인간중심주의로 조명한 인류세 논의" 182-199, 2019
17 복도훈, "세계의 끝 :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인문학연구원 (42) : 7-42, 2011
18 임소연, "사이보그로 살아가기" 생각의힘 2014
19 김초엽, "사이보그가 되다" 사계절 2021
20 하인혜, "동물과 함께, 식물과 더불어, 기계와 나란히: 18세기 영문학과 포스트휴머니즘" 영미문학연구회 (43) : 221-241, 2017
21 이진경, "노마디즘 2" 휴머니스트 2002
22 에트우드, 마가릿, "나는 왜 SF를 쓰는가" 민음사 2021
23 차크라바르티, 디페시, "기후변화의 정치학은 자본주의 정치학 그 이상이다" 97 : 143-161, 2019
24 피셔, 마크, "기이한 것과 으스스한 것" 구픽 2018
25 이희영, "공존을 기억하는 길-김초엽의"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13 (13): 603-617, 2022
26 손혜숙, "‘작은 가능성’에 대한 끝나지 않은 이야기-김초엽, 『지구 끝의 온실』" 13 (13): 539-555, 2022
27 권두현, "‘실내 우주’의 SF 에톨로지 : 사물-동물-식물의 애니메이팅 인터페이스에 관한 일고찰" 석당학술원 (82) : 171-209, 2022
28 러스, 조애나, "SF는 어떻게 여자들의 놀이터가 되었나" 포도밭 2020
29 김효진, "#SF #페미니즘 #그녀들의 이야기" 요다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