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징어 게임> 속의 흥부 = Heungbu in Squid Ga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47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quid Game follows the norms of the death game genre, which uses unrealistic situations in which people participate in a game that will cost them their life if they lose.
      However, unlike the typical death game genre, which focuses on the heroic protagonist's genius to solve problems to win, Squid Game depicts prominent characters as those without exceptional gifts.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Squid Game and others of its genre. The protagonist of Squid Game wins through a series of luck, not because of his superb cognitive abilities. In this way, the protagonist of Squid Game resembles a character from the Korean pre-modern story Heungbujeon.
      Heungbu, the protagonist in the story Heungbujeon, struggled with poverty, just like the characters in Squid Game, but Heungbu was rewarded for his kind behaviour. However, the main characters in both Squid Game and Heungbujeong are neither completely positive or negative, which makes us think about whether the rewards given to them are deserved.
      번역하기

      Squid Game follows the norms of the death game genre, which uses unrealistic situations in which people participate in a game that will cost them their life if they lose. However, unlike the typical death game genre, which focuses on the heroic prota...

      Squid Game follows the norms of the death game genre, which uses unrealistic situations in which people participate in a game that will cost them their life if they lose.
      However, unlike the typical death game genre, which focuses on the heroic protagonist's genius to solve problems to win, Squid Game depicts prominent characters as those without exceptional gifts.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Squid Game and others of its genre. The protagonist of Squid Game wins through a series of luck, not because of his superb cognitive abilities. In this way, the protagonist of Squid Game resembles a character from the Korean pre-modern story Heungbujeon.
      Heungbu, the protagonist in the story Heungbujeon, struggled with poverty, just like the characters in Squid Game, but Heungbu was rewarded for his kind behaviour. However, the main characters in both Squid Game and Heungbujeong are neither completely positive or negative, which makes us think about whether the rewards given to them are deserv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세계인들에게 큰 인기를 끈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어떻게 세계인의 공감을 얻게 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먼저 <오징어 게임>의 장르적 특성을 살핀 뒤, 해당 장르의 문법을 벗어나는 인물형에 주목하였다. <오징어 게임>은 생존을 걸고 게임에 참여하고 게임에 탈락했을 때에는 목숨을 잃는다는 다소 비현실적인 상황을 설정하고 있는 데스 게임 장르의 기법을 많이 따르고 있다. 그런데 게임을 통과하기 위한 문제를 해결하는 주인공의 천재적 두뇌에 초점을 맞추는 전형적인 데스 게임 장르물과는 달리, <오징어 게임>은 두뇌가 별로 필요치 않은 게임을 선택하여 데스 게임을 수행하는 인간에 초점이 더 맞추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데스 게임 장르에서는 대체로 영웅적 인물이 주인공인 반면, <오징어 게임>에는 이러한 인물형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일련의 운으로 게임에서 승리하는 것처럼 보이는 <오징어 게임>의 주인공은 바보 이반이나 고전소설 <흥부전>의 인물형을 닮아 있다. 그런데 <흥부전>은 <오징어 게임>과 마찬가지로 돈의 결핍 문제를 다루면서 가난을 극복할 수 있는 보상이 주어진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그런데 두 작품의 주인공들은 공히 완전히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는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들에게 주어지는 보상이 과연 타당한가를 생각하게 한다. 따라서 수용자가 과연 어떠한 면에서 <오징어 게임>의 주인공이 최종 승자가 되는 것을 납득할 수 있는지 <흥부전>의 인물형과 비교하여 살펴보아 <오징어 게임>이 추구하는 가치와 수용자들의 그에 대한 공감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세계인들에게 큰 인기를 끈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어떻게 세계인의 공감을 얻게 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먼저 <오징어 게임>의 장르적 특성을 살핀 뒤, 해당 장르의 문법을 ...

      이 글은 세계인들에게 큰 인기를 끈 드라마 <오징어 게임>이 어떻게 세계인의 공감을 얻게 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먼저 <오징어 게임>의 장르적 특성을 살핀 뒤, 해당 장르의 문법을 벗어나는 인물형에 주목하였다. <오징어 게임>은 생존을 걸고 게임에 참여하고 게임에 탈락했을 때에는 목숨을 잃는다는 다소 비현실적인 상황을 설정하고 있는 데스 게임 장르의 기법을 많이 따르고 있다. 그런데 게임을 통과하기 위한 문제를 해결하는 주인공의 천재적 두뇌에 초점을 맞추는 전형적인 데스 게임 장르물과는 달리, <오징어 게임>은 두뇌가 별로 필요치 않은 게임을 선택하여 데스 게임을 수행하는 인간에 초점이 더 맞추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데스 게임 장르에서는 대체로 영웅적 인물이 주인공인 반면, <오징어 게임>에는 이러한 인물형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일련의 운으로 게임에서 승리하는 것처럼 보이는 <오징어 게임>의 주인공은 바보 이반이나 고전소설 <흥부전>의 인물형을 닮아 있다. 그런데 <흥부전>은 <오징어 게임>과 마찬가지로 돈의 결핍 문제를 다루면서 가난을 극복할 수 있는 보상이 주어진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그런데 두 작품의 주인공들은 공히 완전히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는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들에게 주어지는 보상이 과연 타당한가를 생각하게 한다. 따라서 수용자가 과연 어떠한 면에서 <오징어 게임>의 주인공이 최종 승자가 되는 것을 납득할 수 있는지 <흥부전>의 인물형과 비교하여 살펴보아 <오징어 게임>이 추구하는 가치와 수용자들의 그에 대한 공감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영, "흥부전 전집 1-2" 박이정 1997

      2 이혜운, "오징어게임 시즌2? 힘들어서 당분간은…"

      3 황동혁, "오징어 게임"

      4 김정일, "맘몬이즘(Mammonism)이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과 극복 방안 연구" 46 : 91-118, 2006

      5 福本 伸行, "도박묵시록 카이지 1-4" 학산문화사 2003

      6 정충권, "놀보박사설의 전승 양상과 <흥보가>의 변모" 103 : 245-267, 2000

      7 정충권, "경판 <흥부전>과 신재효 <박타령>의 비교 고찰" 12 : 173-203, 2001

      8 Vincenzo Natali, "Cube"

      9 정충권, "<흥부전>의 생태론적 고찰" 3 : 241-260, 2001

      10 정충권, "<흥보가(전)>의 傳承樣相 硏究" 판소리학회 13 : 343-377, 2002

      1 김진영, "흥부전 전집 1-2" 박이정 1997

      2 이혜운, "오징어게임 시즌2? 힘들어서 당분간은…"

      3 황동혁, "오징어 게임"

      4 김정일, "맘몬이즘(Mammonism)이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과 극복 방안 연구" 46 : 91-118, 2006

      5 福本 伸行, "도박묵시록 카이지 1-4" 학산문화사 2003

      6 정충권, "놀보박사설의 전승 양상과 <흥보가>의 변모" 103 : 245-267, 2000

      7 정충권, "경판 <흥부전>과 신재효 <박타령>의 비교 고찰" 12 : 173-203, 2001

      8 Vincenzo Natali, "Cube"

      9 정충권, "<흥부전>의 생태론적 고찰" 3 : 241-260, 2001

      10 정충권, "<흥보가(전)>의 傳承樣相 硏究" 판소리학회 13 : 343-377, 2002

      11 전영재, "<오징어 게임>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데스 게임 장르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65) : 415-470,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