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흥미 및 교직교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모형 검증 = A Latent Variabl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aching Job Sub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2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aching job subject,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input-procedure-output framework in these. The participants were 20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sis by using SPSS 17.0.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job subject achievement showed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also displayed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and academic interest.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indirectly influenced teaching job achievement through self-efficacy and academic interest or exclusively academic interest. Furthermore, academic interest exhibited the highest direct effect on teaching job achievement, where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showed the highest indirect on teaching job achievement among independent variables. It was discussed to make learning environment for enhancing academic and teaching job achievement simultaneously.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aching job subject, and to understand th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aching job subject,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input-procedure-output framework in these. The participants were 20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sis by using SPSS 17.0.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ing job subject achievement showed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also displayed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efficacy and academic interest.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indirectly influenced teaching job achievement through self-efficacy and academic interest or exclusively academic interest. Furthermore, academic interest exhibited the highest direct effect on teaching job achievement, where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eaching flow showed the highest indirect on teaching job achievement among independent variables. It was discussed to make learning environment for enhancing academic and teaching job achievement simultaneous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흥미 및 교직교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와 교직교과 학업성취 간의 세 가지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는 경북 소재의 A대학교 예비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교직교과 학업성취와 상관이 가장 높은 변인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자 수업몰입에 대한 지각이었고,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집몰입 정도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흥미와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흥미를 매개로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교직교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모형보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흥미를 매개로 한 간접적 가설모형이 최종적으로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직교과 학업성취에 대한 직접 효과는 학습흥미가 가장 높았으며, 간접 효과는 교수자의 수업몰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지각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기초로 실제 교원양성기관의 수업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학습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교직교과 학업성취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흥미 및 교직교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흥미 및 교직교과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와 교직교과 학업성취 간의 세 가지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는 경북 소재의 A대학교 예비유아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교직교과 학업성취와 상관이 가장 높은 변인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자 수업몰입에 대한 지각이었고,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집몰입 정도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흥미와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교수자의 수업몰입 정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흥미를 매개로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교직교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모형보다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흥미를 매개로 한 간접적 가설모형이 최종적으로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직교과 학업성취에 대한 직접 효과는 학습흥미가 가장 높았으며, 간접 효과는 교수자의 수업몰입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지각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기초로 실제 교원양성기관의 수업상황에서 예비유아교사들의 학습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교직교과 학업성취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근수, "한국형 일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81-112, 2007

      2 박수정, "한국 중등교사 양성교육 연구 경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2 (52): 1-28, 2014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4 우찬영, "학업성취와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및 귀인성향과의 관계" 20 : 231-254, 2006

      5 소연희, "학습자의 교수몰입에 대한 지각정도가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47 (47): 75-95, 2009

      6 허경혜, "학습자들이 지각하는 교수몰입정도가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대학원 2009

      7 김명희, "학습동기와 학습기술이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33-48, 2008

      8 성우연, "학습동기와 학교적응 및 학업성적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1999

      9 박도영, "학습동기, 학습의지와 몰입감 통합모형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 81-100, 2005

      10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29-350, 2004

      1 박근수, "한국형 일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81-112, 2007

      2 박수정, "한국 중등교사 양성교육 연구 경향 분석" 한국교육학회 52 (52): 1-28, 2014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4 우찬영, "학업성취와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및 귀인성향과의 관계" 20 : 231-254, 2006

      5 소연희, "학습자의 교수몰입에 대한 지각정도가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47 (47): 75-95, 2009

      6 허경혜, "학습자들이 지각하는 교수몰입정도가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대학원 2009

      7 김명희, "학습동기와 학습기술이 학업성취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33-48, 2008

      8 성우연, "학습동기와 학교적응 및 학업성적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1999

      9 박도영, "학습동기, 학습의지와 몰입감 통합모형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0) : 81-100, 2005

      10 한순미, "학습동기 변인들과 인지전략 및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329-350, 2004

      11 한영숙, "학습기술과 학습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간의 관계" 4 (4): 153-172, 2007

      12 곽수란, "학습과 학업성취 간의 인과관계 종단분석" 한국교육학회 46 (46): 1-26, 2008

      13 윤경희, "학교 급별 귀인성향, 자기효능감,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235-257, 2008

      14 김보경, "컴퓨터 게임을 통한 학습의 몰입 관련변인이학업성취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1 (11): 89-114, 2005

      15 조유미,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급풍토,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50 (50): 159-184, 2012

      16 조붕환, "초등학생용 학습흥미검사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17 (17): 227-252, 2004

      17 유은주, "청소년이 지각한 학급풍토, 가정의 도전과 지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18 안도희, "청소년들의 자기주도학습, 관계성,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52 (52): 1-25, 2014

      19 이숙정, "중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0 (20): 197-218, 2006

      20 이지혜,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9

      21 황상민, "인터넷 게임에서의 공동체 경험과 몰입에 관한 연구" 7 : 69-83, 2005

      22 이명순, "유아교육기관의 특별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5 (5): 111-127, 2005

      23 김영희, "온라인 영어 쓰기 학습에서 학습자 개인차 변인, 몰입(flow), 언어 학습전략, 성취도, 만족도의 관계 규명"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89-314, 2006

      24 손수연,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교육실습경험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 한국보육학회 14 (14): 59-81, 2014

      25 김희수, "예비유아교사의 자기능력 지각수준이 정신건강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3 (13): 67-82, 2013

      26 민상기,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습몰입과 학급풍토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27 조부경,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93-115, 2011

      28 윤미선, "사고양식에 따른 학습동기 및 교과흥미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29 이은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15 (15): 199-216, 2001

      30 김민성, "대학생이 인식하는 ‘배려하는 교수자’의 특성 및 유형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61-86, 2011

      31 신효정, "대학생의 학습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의 비교" 한국교육학회 47 (47): 49-72, 2009

      32 김계수, "구정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출판사 2007

      33 김아영, "교수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647-670, 2008

      34 이현주, "과제의 조절목표 유형과 목표간 관계가 대학생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1-32, 2011

      35 신종호,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교사기대, 가정환경요인 간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5 (15): 5-23, 2006

      36 Pintrich, D. A., "The role of motivation in promoting and sustaining self-regulated learning" 31 : 459-470, 2001

      37 Zau, A., "The effect of teachers' flow experiences on the cognitive engagement of students" 2001

      38 Hoelter, J. W., "The analysis of convariance structure : Goodness-of-fit indicies" 11 : 325-344, 1983

      39 Murdock, T. B., "Teachers as source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identity : Variable-centered and person-centered analytic approaches" 103 (103): 383-399, 2003

      40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 An overview" 25 (25): 3-17, 2000

      41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 207-231, 1991

      42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54 : 191-215, 1997

      43 Long, H. B., "Self-directed learning: Challenge and opportunities" 1995

      44 Garrison, R. D., "Self-directed Learning: Emerging Theory and Practice"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Higher Education 53-62, 1989

      45 Gagne,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26 : 331-362, 2005

      46 Haladyna, T., "Relations of student teacher and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toward social studies" 6 : 36-44, 1982

      47 최정선, "RDEP 수업전략을 적용한 수업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학습흥미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20 (20): 25-42, 2015

      48 Walker, C. O., "Identification with academic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cognitive engagement" 16 (16): 1-12, 2006

      49 Csikszentmihalyi, M., "Flow and education" 22 : 2-35, 1997

      50 안현균, "Extreme Sport에서의 몰입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 13 (13): 145-158, 2005

      51 Jackson, S.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 The flow state scale" 18 : 17-35, 1996

      52 김희수, "CSQ3Rs 학습전략이 중학생의 국어교과 학습흥미와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소 10 (10): 53-79, 2012

      53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y Bass 197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2 1.92 2.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3 2.33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