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조선 말기 畿湖學의 대표자 간재 전우가 「대학기의」에서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명덕’에 대한 그의 사유와 내용을 검토하고, 그것이 그의 성리학 체계에서 어떤 의미를 갖...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30704
소현성 (전주대학교)
2016
Korean
간재 전우 ; 대학기의 ; 명덕 ; 심본성 ; 성사심제 ; Gan-jae(艮齋) ; Jeon Woo(田愚) ; Dae-Hak-Gi-Eui(大學記疑) ; Myeong-Deok ; Sim-Bon-Seong (心本性)
KCI등재
학술저널
31-58(28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 말기 畿湖學의 대표자 간재 전우가 「대학기의」에서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명덕’에 대한 그의 사유와 내용을 검토하고, 그것이 그의 성리학 체계에서 어떤 의미를 갖...
이 글은 조선 말기 畿湖學의 대표자 간재 전우가 「대학기의」에서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명덕’에 대한 그의 사유와 내용을 검토하고, 그것이 그의 성리학 체계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해명하려는 목적에서 기획되었다.
「대학기의」는 1911년(간재 71세)에 완성한 작품으로 간재의 경전 해석학적 성과가 집약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간재는 이미 10년 전에 그의 성리학 체계를 대표하는 핵심 명제인 ‘심본성설’을 제시하였기에, 사실 「대학기의」는 그의 경전 해석학적 성과이자 동시에 그의 ‘심본성설’이 곳곳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성리학 성과물이기도 하다.
「대학기의」의 성리학적 사유는 특히 ‘명덕’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명덕에 대한 사유와 논리는 그의 독특한 성리학 사유체계로 평가받는 ‘心本性’ 혹은 ‘性師心弟’와 연관되어 있으며, 당시 그와 견해를 달리하던 학파에 대한 비판과 관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명덕에 대한 간재의 이해는 그의 성리학 체계에서 핵심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여타 개념들, 예컨대 심·성·정 그리고 심통성정 등과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간재의 명덕설이 어떤 내용과 논리를 갖는지 조명할 것이다. 나아가 이 글은 명덕에 대한 간재의 논의에 어떤 문제와 한계가 있는지, 간재의 독법에 오독은 없는지를 비판적 시각에서 재검토하였다. 이 글은 간재의 성리학 체계와 논리에 대한 정밀한 이해와 조선 말기 기호학파의 사상 내용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lanned and aimed to look into the thoughts and content of 'Myeong-Deok' that Gan-jae Jeon Woo, the representative scholar of Gi-ho School late in Chosun dynasty focused on in Dae-Hak-Gi-Eui and to clarify what it would mean in his Neo-...
This study was planned and aimed to look into the thoughts and content of 'Myeong-Deok' that Gan-jae Jeon Woo, the representative scholar of Gi-ho School late in Chosun dynasty focused on in Dae-Hak-Gi-Eui and to clarify what it would mean in his Neo-Confucianism system.
Dae-Hak-Gi-Eui is a book that Gan-jae completed in 1911 (when he was 71), which integrated the achievement of his analysis on Confucian Classics. In addition, he proposed already in 1901 'Theory of Sim-Bon-Seong', the core and representative thought of his Neo-Confucianism system, so that Dae-Hak-Gi-Eui is a Neo-Confucian accomplishment of his analysis on Confucian Classics with such 'Theory of Sim-Bon-Seong' influencing everywhere.
It is related with ‘Sim-Bon-Seong (心本性)’ or ‘Seong-Sa-Sim-Je (性師心弟)’ that is a unique Neo-Confucian thinking system of his, and also goes with his criticism on the other schools that were against his idea. In addition, his understanding of Myeong-Deok is also related organically with his other core concepts in his Neo-Confucianism system: Sim, Seong, Jeong, Sim-Tong-Seong-Jeong, and etc. This study illuminates what kind of content and logics his Theory of Myeong-Deok contains by looking into such relations. Furthermore, this study criticizes what kinds of problems and limitations are in his thoughts of Myeong-Deok and whether he made any mistake in reading such Confucian Classic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tailed understanding of his Neo-Confucianism system and logics, and also the ideas of Gi-ho School late in Chosun dynasty.
참고문헌 (Reference)
1 "艮齋集" 민족문화추진회 2004
2 黃瑩暖, "艮齋的『四書講說』詮釋-以「大學記義」之‘明德’義爲中心" 艮齋學會 17 : 2014
3 "艮齋先生全集" 保景文化社 1984
4 蘇鉉盛, "艮齋 田愚의 『大學記疑』 一考: 경전해석상의 외연적 특징을 중심으로" 艮齋學會 19 : 2015
5 "栗谷先生全書"
6 "朱熹集" 四川敎育出版社 1996
7 "朱子語類" 中華書局 1994
8 "孟子附諺解" 學民文化社 1998
9 "四書章句集注" 中華書局 1983
1 "艮齋集" 민족문화추진회 2004
2 黃瑩暖, "艮齋的『四書講說』詮釋-以「大學記義」之‘明德’義爲中心" 艮齋學會 17 : 2014
3 "艮齋先生全集" 保景文化社 1984
4 蘇鉉盛, "艮齋 田愚의 『大學記疑』 一考: 경전해석상의 외연적 특징을 중심으로" 艮齋學會 19 : 2015
5 "栗谷先生全書"
6 "朱熹集" 四川敎育出版社 1996
7 "朱子語類" 中華書局 1994
8 "孟子附諺解" 學民文化社 1998
9 "四書章句集注" 中華書局 1983
정약용의 인성론에서 본 ‘天人相關’ 연구 - ‘靈明’과 ‘靈知’의 개념을 통해서 -
공자의 부정 평가가 제자들의 자존감에 미친 영향 - 宰我·冉求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2-05-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유교사상연구 -> 유교사상문화연구외국어명 : THE STUDY OF CONFUCIANISM -> THE STUDY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CONFUCIANISM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3 | 1.438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