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방 정부의 ‘마을만들기사업’은 기존 지역 개발 사업의 성과주의와 하향식 추진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를 통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 주민들의 참여를 위해 마을학교 등의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지방 정부의 ‘마을만들기사업’은 기존 지역 개발 사업의 성과주의와 하향식 추진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를 통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 주민들의 참여를 위해 마을학교 등의 교...
최근 지방 정부의 ‘마을만들기사업’은 기존 지역 개발 사업의 성과주의와 하향식 추진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를 통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 과정에 주민들의 참여를 위해 마을학교 등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편, 평생교육법 제정과 평생교육 전담 조직이 정비되는 과정에서 한국의 평생교육의 공적 기반은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다. 시민들의 학습 요구나 참여율도 급격하게 상승함에 따라 각 지자체의 평생교육 공공 시설과 공적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평생교육 실천은 마을 단위의 주체 역량 강화와 같은 근본적인 변화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시흥시 학습마을 사례를 통해서 마을공동체 사업의 추진과 주민의 평생학습의 관련성읕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민의 사회참여형 학습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실천 사례에서 발견한 마을만들기와 평생학습의 협동 가능성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마을공동체 활동에서의 평생학습은 실천과 학습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개인 욕구 기반의 학습보다는 사회적·공동체적 실천의 과정으로서 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마을 활동과 관련해서 마을학교는 마을의 사회적 경제와 강한 결합의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세 번째, 마을공동체 활동에서 민관의 협력적 거버넌스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이에 기존의 행정 체제와 주민의 참여를 매개하는 평생교육 영역의 역할에 주목해야 함을 밝히고 싶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Korean municipalities have been leading a boom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 policy, arguing its performance based principle on exis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an...
Recently, Korean municipalities have been leading a boom of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entral government policy, arguing its performance based principle on exis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 and top-down approach. On the other hand, Korean lifelong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panding in accordance with enactment of Lifelong Education Act and alignment of its exclusive organization. Also, the municipal public facilities for lifelong education and its public spending on lifelong learning are rising sharply to fulfill diverse people's needs for learning and increased participation rates. Nevertheless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has not been could not contributing to fundamental changes as reinforcement of subject capacity for community units. With having a sense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affinity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community
building project municipalities have been recently promoting, focusing on a example of Siheung City lifelong learning villages project. A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Community Building’ and lifelong education from the example can be defined as three findings. There are three findings as follow. First of all, community activities in
lifelong learning emphasize the learning as a process of social and collective practices, social practice learning, taking no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and learning rather than learning based on personal needs. The second is that community learning shows prospect of a strong bond with local social economy, related with community
activities. Lastly, collaborative public-private governance is emerging as important tasks in the community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urges to pay attention for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that mediates existing administrative framework and new who form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Bauman, Z., "홍지수(역). 방황하는 개인들의 사회" 봄아필 2013
2 양한순,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나남출판 1998
3 김성국,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나남출판 15-71, 1998
4 Botkin, J. W., "한계없는 학습" 양서원 1997
5 양병찬,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73-201, 2007
6 윤여각, "평생교육사의 성장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 평생학습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30, 2010
7 Freire, P., "페다고지" 한국천주교평신도사도직협의회 1979
8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9 양병찬, "지자체 마을만들기사업에서 ‘마을학교’의 평생교육적 의미: 서울시 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 (2): 1-25, 2014
10 김민호, "지역운동 속의 성인학습에 관한 연구- 제주시 화북주공아파트 운동을 중심으로 -" 한국평생교육학회 9 (9): 21-46, 2003
1 Bauman, Z., "홍지수(역). 방황하는 개인들의 사회" 봄아필 2013
2 양한순,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나남출판 1998
3 김성국, "한국의 시민사회와 신사회운동" 나남출판 15-71, 1998
4 Botkin, J. W., "한계없는 학습" 양서원 1997
5 양병찬,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73-201, 2007
6 윤여각, "평생교육사의 성장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 평생학습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30, 2010
7 Freire, P., "페다고지" 한국천주교평신도사도직협의회 1979
8 이종규, "질적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9 양병찬, "지자체 마을만들기사업에서 ‘마을학교’의 평생교육적 의미: 서울시 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 (2): 1-25, 2014
10 김민호, "지역운동 속의 성인학습에 관한 연구- 제주시 화북주공아파트 운동을 중심으로 -" 한국평생교육학회 9 (9): 21-46, 2003
11 오혁진,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저술)" 집문당 2006
12 양병찬, "전업주부의 배움의 방식과 주체형성 - 대전 지역의 두 마을도서관운동 사례 비교 -"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05-234, 2011
13 이규선, "자치의 힘을 키우는 지역의 학습거점 만들기-마을학교에서 싹트는 마을공동체-" 일본사회교육학회 2013
14 鈴木敏正, "자기교육의 주체로서-지역생애학습계획론" 北樹出版 1998
15 엔도 야스히로, "이런 마을에서 살고 싶다" 황금가지 1997
16 Beck, U., "위험사회-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1999
17 임경수, "우리나라 마을만들기 운동의 현황과 과제" 2008
18 김기호, "우리, 마을만들기" 나무도시 2012
19 김은희, "우리, 마을만들기" 나무도시 11-39, 2012
20 정지웅편, "약한자에게 활력을 주는 두 학문-지역사회개발과 사회교육" 교육과학사 2000
21 김종선, "시민참여 실천조직으로써 남양주시 평생학습매니저의 확장학습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32, 2013
22 김미윤, "시민대학, 지속가능한 주민배움터를 향한 상상-마을꾸미기 프로젝트를 통해 살펴본 은평시민대학의 가능성-" 2012
23 박진도, "순환과 공생의 지역만들기 : 농촌지역의 내발적 발전의 이론과 실제" 교우사 2011
24 김진경, "수원시 마을만들기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 2011년, 2012년 마을르네상스 학교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53-69, 2013
25 유창복,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 사업의 배경과 과제: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의 개설에 즈음하여" 한국환경철학회 (15) : 173-226, 2013
26 강대중, "사회적기업과 평생교육학 -맥락, 현상, 미래-"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1-24, 2011
27 정경순, "사회적 경제와 평생교육의 연계- 대안운동과 학습의 접합 -" 한국평생교육학회 20 (20): 1-23, 2014
28 김동택, "사회적 경제로서의 마을학교: 자급자족 원리의 제도화를 위하여" 제3섹터연구소 12 (12): 37-70, 2014
29 小林文人, "사회교육의 전개와 지역창조 - 규슈에서의 제언" 東洋館出版社 1996
30 박원순, "마을이 학교다" 검둥소 2010
31 오마이뉴스 특별취재팀, "마을의 귀환 - 대안적 삶을 꿈꾸는 도시공동체 현장을 가다" 오마이북 2013
32 이호, "마을만들기 중간지원 : 마을만들기지원센터의 전국적 현황과 전망" 국토연구원 266-286, 2013
33 마을만들기전국네트워크, "마을만들기 중간지원 : 마을만들기지원센터의 전국적 현황과 전망" 국토연구원 2013
34 이은진, "마을만들기 운동의 현황과 과제" 지역사회학회 8 (8): 5-31, 2006
35 지희숙,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평생학습매니저의 학습활동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36 이규선, "마을만들기 사례에서 평생학습도시 정책을 엿보다-경기도 시흥시를 중심으로-.사회교육·평생교육의 제도와 실천" 사회교육추진전국협의회·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2012
37 유민선, "마을공동체 형성․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집단학습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미산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43-173, 2013
38 김종엽, "마을공동체 발전을 위한마을활동가 성장, 지원프로그램 개발 연구" 세교연구소·마을인문학네트워크 2014
39 한국도시연구소, "도시공동체론" 한울아카데미 2003
40 조명래, "도시공동체론" 한울아카데미 2003
41 박진도, "농촌지역리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농정연구센터 2004
42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내부자료"
43 Putnum, R., "나홀로 볼링 : 사회적 커뮤니티의 붕괴와 소생" 페이퍼로드 2009
44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 운동" 푸른 역사 2009
45 白戶洋, "공민관에서 지역이 다시 살아나다" 松本大學出版會 2010
46 姉崎洋一, "공민관 실천과 ’지역을 만드는 배움’" 北樹出版 2002
47 김종선, "개념지도에 근거한 마을학교 정체성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21 (21): 73-107, 2015
48 박승현, "‘마을만들기’ 시장적 세계화의 극복과 공동체적 지역화"
49 Yarnit, M., "Towns, Cities and Regions in the Learning Age: A Survey of Learning Communities" LGA Publications for the DfEE, NCA 2000
50 Foley, G., "Learing in Social Action : A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Informal Education" Zed Books 1990
51 Hamilton, E, "Adult Education for Community Development" Greenwood Press 1992
52 평생교육실천협의회, "2014 경기도형 평생학습 Golden Triangle 프로젝트 사업성과집"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시흥시 2014
인문학 대중화사업의 BSC 성과평가모형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퇴직 후 심리적 위기 중년남성의 대학원 학습을 통한 셀프리더십 개발과정 탐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6-08-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6 | 1.66 | 1.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9 | 1.59 | 1.892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