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19대 대통령선거의 선거방송토론에서 후보자의 인기도 및 토론형식과 관련하여 5명의 후보자가 전개한 설득전략을 분석했다. 후보자의 설득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54191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5-69(3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제19대 대통령선거의 선거방송토론에서 후보자의 인기도 및 토론형식과 관련하여 5명의 후보자가 전개한 설득전략을 분석했다. 후보자의 설득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
본 연구는 제19대 대통령선거의 선거방송토론에서 후보자의 인기도 및 토론형식과 관련하여 5명의 후보자가 전개한 설득전략을 분석했다. 후보자의 설득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실시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보 지지도에따른 설득전략은 5명의 후보자가 공격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했지만, 지지도가 높은유력후보와 차순위후보는 방어전략을 두 번째로 많이 사용했으며, 비유력후보는 주장전략을 두 번째로 많이 사용했다. 이 결과는 유력후보가 다른 후보보다 공격 전략을 적게 사용하고 방어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지지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에따르면, 유력후보는 차순위후보를 대상으로 공격과 방어를 집중하고 차순위후보와비유력후보는 유력후보를 대상으로 공격과 방어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후보자의 공격과 방어대상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들과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이 차이는 지난 대통령선거에서 나타난 상황적 특성에 기인하는데 크게 두 가지 요인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다. 첫 번째 요인으로 공격대상과 관련해서 박근혜대통령의 탄핵으로 보수정당이 분당된 것을 들 수 있다. 후보자들이 공격전략을 전개할 때 박근혜정권에 대한 공격은 보수정당 후보 모두가 공격대상이 되었다. 두 번째요인으로 방어대상과 관련해서 토론형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방어전략은 후보자들이 공격을 많이 받은 후보자에 대해 방어를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시간 총량제 자유토론을 도입하여 자유토론시간이 대폭 늘어나 후보자들은공격받은 대상에 대해 방어를 할 충분한 시간이 주어졌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토론형식에 따른 후보자의 설득전략은 각 토론형식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공통질문답변 형식과 마무리 발언에서는 주장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방어는 한 차례도 사용하지 않았다. 이에 비해 자유상호토론에서는 후보자들은 공격발언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다음으로 방어, 주장의 순으로 설득전략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공통질문에 대한 답변과 마무리발언에서 후보자는 주장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할 것이라는 가설과 자유상호토론 형식에서 후보자는 공격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할 것이라는 가설이 모두 지지됐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ersuasion strategies developed by five candidate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broadcasting debate in relation to the popularity ratings of the candidates, and discussion format. In order to analyze the persuasion strateg...
This study analyzed the persuasion strategies developed by five candidate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broadcasting debate in relation to the popularity ratings of the candidates, and discussion format. In order to analyze the persuasion strategy of candidates,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uas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candidate support showed that most of the five candidates used the attack strategy the most.
And the highest candidate and the subordinate candidates in popularity ratings used defense strategy the second most, and the lower candidates used the second most acclaiming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also supported the fact that the highest candidates tend to use a less attacking strategy than other candidates, but tend to use more defending strategy than other candidates. And the attacking and defending targets according to popularity ratings of candidat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highest candidate tend to concentrate attacks and defenses on the subordinate candidates, and the subordinate candidates and the lower candidates tend to use attack and defense strategies against the highest candidates. However, this study is somewhat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results on candidates' attacks and defenders. This is due to the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First, in relation to the target of the attack, the reason is that the conservative party is divided due to the impeachment of Park Geun-hye. Next, there are debate formats in relation to the subject of defense. In this TV debate, defensive strategies showed that candidates tended to defend a lot of candidates who had been attacked a lot. The free debate time increased considerably with the introduction of free time debate, and the candidates were given enough time to defend against the attacked object. Finally, candidates' persuasion strategies differed according to the discussion formats. In the common question answering format and the final remarks, acclaiming strategy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 defense strategy was never used at all. In contrast, in the free discussion, the candidates used the most of the attack words, followed by the persuasion strategies in the order of defense and accaiming strategy.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관규, "한국 대통령 선거방송토론에 나타난 후보자 설득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7대·18대·19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4 (24): 7-34, 2017
2 이준웅, "텔레비전 토론의 정치적 영향력" 12 : 253-297, 1999
3 양승찬, "텔레비전 선거토론 방송의 영향력 연구: 후보자 평가 변화, 정책관련지식, 정치과정 참여를 중심으로" 48 : 210-246, 1999
4 이소영,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자토론회 효과 분석" 33-58, 2017
5 이상철,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의 운영과 개선방안: 참여민주주의와 숙의민주주의 그리고 TV토론" 3-9, 2017
6 김춘식, "제 16대 대통령선거 후보자의 TV토론 수사 분석 :Benoit의 정치캠페인 수사 분석틀 적용" 한국방송공사 16 (16): 139-6, 2004
7 이철한, "정치담론의 기능적 분석연구 : 2011년 서울시장 선거 텔레비전 토론"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0) : 159-185, 2013
8 박연진, "선거방송토론이 후보자 호감도와 지지도 변화에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6 (16): 5-40, 2016
9 박연진, "선거방송토론의 후보자 설득전략과 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0 박연진, "선거방송토론에서 나타난 후보자의 설득전략" 한국방송공사 28 (28): 121-152, 2016
1 김관규, "한국 대통령 선거방송토론에 나타난 후보자 설득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7대·18대·19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4 (24): 7-34, 2017
2 이준웅, "텔레비전 토론의 정치적 영향력" 12 : 253-297, 1999
3 양승찬, "텔레비전 선거토론 방송의 영향력 연구: 후보자 평가 변화, 정책관련지식, 정치과정 참여를 중심으로" 48 : 210-246, 1999
4 이소영,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자토론회 효과 분석" 33-58, 2017
5 이상철,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의 운영과 개선방안: 참여민주주의와 숙의민주주의 그리고 TV토론" 3-9, 2017
6 김춘식, "제 16대 대통령선거 후보자의 TV토론 수사 분석 :Benoit의 정치캠페인 수사 분석틀 적용" 한국방송공사 16 (16): 139-6, 2004
7 이철한, "정치담론의 기능적 분석연구 : 2011년 서울시장 선거 텔레비전 토론"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30) : 159-185, 2013
8 박연진, "선거방송토론이 후보자 호감도와 지지도 변화에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6 (16): 5-40, 2016
9 박연진, "선거방송토론의 후보자 설득전략과 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0 박연진, "선거방송토론에서 나타난 후보자의 설득전략" 한국방송공사 28 (28): 121-152, 2016
11 김춘식, "서울시장 선거 텔레비전 토론 참가 후보자의 캠페인 수사에 관한 신문 보도 분석 : 스트레이트와 녹취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70-102, 2009
12 송종길, "대통령후보 TV합동토론 형식(Format) 비교 연구-대통령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최 합동토론회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22 : 107-130, 2003
13 이강형, "대통령 후보의 텔레비전 토론이 후보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효과: 제16대 대통령선거 후보토론회 패널 조사 연구" 한국언론학회 48 (48): 346-372, 2004
14 이철한, "대선정책토론의 정치담론 분석과 미디어의 토론보도경향에 관한 연구" 2004
15 Carlin, D. B., "The influence of format and questions on candidates stratigic argument choices in the 2000 presidential debates" 44 (44): 2196-2218, 2001
16 Benoit, W. L., "The functional theory of political campaign discourse:Televised debates in Israel and the United States" 83 (83): 281-297, 2006
17 Benoit, W. L., "The Functional Theory of Political Campaign Discourse" 18 : 10-34, 2006
18 박연진, "TV토론의 후보자 설득 전략과 효과에 관한 연구: 2012년 18대 대통령선거 TV토론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4 (14): 77-105, 2014
19 김관규, "TV토론에서의 후보 지지도와 토론 포맷에 따른설득 전략의 차이설득적 공격과 방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122-162, 2007
20 전영란, "TV토론에 나타난 선거 캠페인 수사에 관한 분석 : 대통령 선거와 서울시장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7
21 Benoit, W. L., "Inaccuracies in media coverage of the 1966 and 2000 presidential debates" 33 : 28-39, 2001
22 Benoit, W. L., "Functions of the great debates: Acclaims, attacks, and defenses in the 1960 presidential debates" 66 : 341-357, 1999
23 McKinney, M. S., "Do presidential debates matter? : Examining a decade of campaign debate effects" 49 : 238-258, 2013
24 Benoit, W. L., "Communication in political campaigns" Peter Lang 2007
25 Benoit, W. L., "Candidates in conflict: Persuasive attack and defence in the 1992 Presidential debates" Th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996
26 Benoit, W. L.,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viewing U. S. presidential debates" 70 (70): 335-410, 2003
27 Benoit, W. L., "A functional analysis of the 1988 Bush-Dukakis presidential debates" 38 : 219-233, 2002
28 Benoit, W. L., "A functional analysis of 2008U.S. presidential primary debates" 48 : 97-110, 2008
29 Pfau, M., "A comparative assessment of intra-party political debate formats" 8 (8): 1-23, 1984
30 Brzeal, L. M., "A Functional analysis of congressional television spots, 1986-2000" 49 (49): 436-454, 2001
31 Benoit, W. L., "A Functional Analysis of American Vice Presedential Debate" 44 : 225-236, 2005
32 김관규, "2010년 서울시장 후보 TV토론의 설득전략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11 (11): 68-102, 2011
33 김관규, "2007년(제17대) 대통령선거 TV토론의 설득적 전략 분석" 한국지역언론학회 8 (8): 51-83, 2008
34 송종길, "2002년 민주당·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 TV토론에서 나타난 토론방식(format) 비교연구" 한국방송학회 16 (16): 140-173, 2002
한국 메르스 사태에 대한 국내외언론보도 의미망 비교연구
정부소통역량강화를위한공무원성과관리제도의선행요인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6-03-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7 | 1.27 | 1.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2 | 1.59 | 2.189 | 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