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모래쥐 心臟이 顆粒含有細胞에 關한 電子顯微鏡的 硏究 = Ultrastructure of the granule-containing cells in the heart of the mongolian gerbi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7327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래쥐 心臟에 分布하고 있는 顆粒含有細胞의 微細構造를 電子顯微鏡으로 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顆粒含有細胞는 心臟의 洞房 및 房室結節附近의 心外膜下結合組織과 大動...

      모래쥐 心臟에 分布하고 있는 顆粒含有細胞의 微細構造를 電子顯微鏡으로 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顆粒含有細胞는 心臟의 洞房 및 房室結節附近의 心外膜下結合組織과 大動脈 및 肺動脈 基始
      部에 位置하고 있었다. 顆粒含有細胞는 心臟神經細胞사이에 있거나 그들과 近接하여 存在하고 있었고 2-5個의 細胞들이 集團을 이루고 있으며 초세포에 依해 둘러싸여 있었다. 이들 細胞의 特徵은 細胞質에 電子密度가 높은 顆粒을 含有하고 있었으며 그 外에 많은 絲粒體, 粗面內形質網, 잘 發達된 Golgi裝置, 고루 分布하고 있는 自由 ribosome 等을 內包하고 있었다.
      5-hydroxydopamine 投與群에서 顆粒含有細胞의 顆粒小胞는 形態學的 變化를 認知할 수 없었다. 神經終末로서 두가지 神經終末을 區別할 수 있었으며 아드레날린性 神經終末은 작은顆粒小胞를 內包하고 있었고, 콜린性 神經終末은 無顆粒小胞를 含有하고 있었으며 이 두가지 神經終末은 모두 큰 顆粒小胞를 가지고 있었다.
      顆粒含有細胞體는 心臟神經節細胞의 節後軸索인 콜린性 神經終未과 軸索體連接을 이루고 있었고 또한 顆粒含有細胞突起가 心臟神經節細胞의 樹狀突起와 連接을 이루고 있음을 觀察하였다.
      本 硏究에서 觀察된 顆粒含有細胞는 心臟神經節의 節後軸索과 樹狀突起사이에 介在 neuron으로 存在하고 있었으며 이는 神經回路에 興奮傳達役割을 하는 것으로 推理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ine structure of the granule containing cells in the heart of 5 hydroxydopamine administrated Mongolian gerbil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granule containing cells were located in the subepicardial connective tissue in the vicinity of...

      The fine structure of the granule containing cells in the heart of 5 hydroxydopamine administrated Mongolian gerbil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granule containing cells were located in the subepicardial connective tissue in the vicinity of the sinuatrial and atrioventricular nodes within the interatrial septum, and at the base of aorta and pulmonary artery. They are sparsely distributed in small clusters of about 2∼5 cells within or near the cardiac ganglia. The individual cells or cell clusters were covered by the cytoplasm of sheath cells. The granule containing cell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dark cored vesicle. Other cytoplasmic organelles included abundant mitochondria,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ell developed Golgi apparatus, and widely distributed free ribosomes.
      In 5 hydroxydopamine treated Mongolian gerbil, the cytoplasmic organelles of the granule containing cell showed no detectable morpbological alterations.
      Two types of axon terminals were differentiated by their vesicular inclusion after 5-hydroxydopamine treatment. One type contained small agranular vesicle which were identified as postganglionic cholinergic axon terminal. The other type contained a majority of small granular vesicles which were classified as adrenergic. Large granular vesicles were seen in the both type of axon terminals. Synaptic contacts between the cholinergic axon terminals and somata of granule-containing cells were observed. ]n addition, synaptic junction between processes of granule containing cells and dendrite of cardiac ganglion cells were also observed.
      This study had shown that the granule-containing cells in the heart of Mongolion gerbil were connector neurons interposed in effector circuits between postganglionic cholinergic axon and dendri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抄錄 = 1
      • 緖論 = 2
      • 材料 및 方法 = 2
      • 結果 = 2
      • 목차
      • 抄錄 = 1
      • 緖論 = 2
      • 材料 및 方法 = 2
      • 結果 = 2
      • 光學顯微鏡的 所見 = 2
      • 電子顯微鏡的 所見 = 2
      • 考察 = 4
      • 結論 = 5
      • 文獻 = 5
      • Abstract = 7
      • EXPLANATION OF FIGURES = 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