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1
- Ⅱ. 관음보살상과 권속의 등장과 전개 4
- Ⅲ. 조선후기 관음보살삼존상의 도상 성립과 사례 1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804118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2018
한국어
629.256 판사항(5)
부산
viii, 53장 : 삽도, 챠트 ; 27 cm
지도교수: 정은우
부록: 1. 고려 관음보살도에 나오는 관음보살과 권속, 2. 조선시대 관음보살도에 나오는 관음보살과 권속 p. 94-102
참고문헌: p. 91-93
I804:21008-20000000649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