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 - 특성화 Ⅲ유형 최우수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59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구 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체 특성화 전문대학생이며 목표 모집단은 특성화 전 문대학육성사업(Ⅲ유형)에서 최우수 평가를 받은 2개의 전문대학 재학생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목표 모집단을 대상으로 1주일 간 진행하였으며, 각 대학의 전공 계열별 모집정원 비율을 고려하여 총 300명을 비율표집한 후, 회수된 260개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고용가능성(구직능력, 구직 자신감, 노동수요 인식, 취업 기대수준 조정), 현장중심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실용성, 교육과정의 유용 성, 학습전이 기회제공), 학습몰입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및 학습몰입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 도가 모두 양호하여 변인 간의 인과관계는 타당하게 예측되었다. 둘째, 특성화 전문대학의 현장중심 교 육과정과 학습몰입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과정 운영의 체제이론인 투입-과정-산출의 관점에서 투입 요소인 현장중심 교육과정은 학습몰입을 더욱 더 촉진시키고, 결과적으로 학습의 성과인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특성화 전문대학육성사업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하 는 실용성과 유용성을 갖추고 실무에 활용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스펙보다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제 직무능력의 완성도가 높은 인력을 효과적으로 양성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구 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체 특성화 전문대학생이며 목표 모집...

      본 연구는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및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구 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체 특성화 전문대학생이며 목표 모집단은 특성화 전 문대학육성사업(Ⅲ유형)에서 최우수 평가를 받은 2개의 전문대학 재학생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목표 모집단을 대상으로 1주일 간 진행하였으며, 각 대학의 전공 계열별 모집정원 비율을 고려하여 총 300명을 비율표집한 후, 회수된 260개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고용가능성(구직능력, 구직 자신감, 노동수요 인식, 취업 기대수준 조정), 현장중심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실용성, 교육과정의 유용 성, 학습전이 기회제공), 학습몰입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및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 및 학습몰입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 도가 모두 양호하여 변인 간의 인과관계는 타당하게 예측되었다. 둘째, 특성화 전문대학의 현장중심 교 육과정과 학습몰입은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특성화 전문대학생의 학습몰입은 고용가능성과 현장중심 교육과정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 과정 운영의 체제이론인 투입-과정-산출의 관점에서 투입 요소인 현장중심 교육과정은 학습몰입을 더욱 더 촉진시키고, 결과적으로 학습의 성과인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특성화 전문대학육성사업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기반으로 하 는 실용성과 유용성을 갖추고 실무에 활용될 수 있는 기회가 많은 현장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생들의 스펙보다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제 직무능력의 완성도가 높은 인력을 효과적으로 양성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and learning engagement of specialized college studen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students of specialized colleges and target population was two best college students in type Ⅲ. With the ratio sampling methods, 300 undergraduates were drawn from this target population. Among the samples, 260 response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learning engage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and learning engagement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Second, field based curriculum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and learning engagement also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based curriculum and employabil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learning engagement.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Employability development process was not a simple relationship from the input(field based curriculum) to output(employability), but complicated relationships from input(field based curriculum) to process(learning engagement) and finally to output(employability). Learning engagement was essential in the process from field based curriculum to employability. So specialized colleges must develop the field based curriculum and made the proper intervention for improving learning engag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and learning engagement of specialized college studen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students of specialized colleges and targ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and learning engagement of specialized college student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the students of specialized colleges and target population was two best college students in type Ⅲ. With the ratio sampling methods, 300 undergraduates were drawn from this target population. Among the samples, 260 response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learning engagement and demographic character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oodness-of-fit of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of employability, field based curriculum and learning engagement was satisfactory which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variables. Second, field based curriculum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and learning engagement also had a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based curriculum and employabil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learning engagement.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made. Employability development process was not a simple relationship from the input(field based curriculum) to output(employability), but complicated relationships from input(field based curriculum) to process(learning engagement) and finally to output(employability). Learning engagement was essential in the process from field based curriculum to employability. So specialized colleges must develop the field based curriculum and made the proper intervention for improving learning engag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2.1 고용가능성(Employability)
      • 2.2 현장중심 교육과정(Field Based Curriculum)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2.1 고용가능성(Employability)
      • 2.2 현장중심 교육과정(Field Based Curriculum)
      • 2.3 학습몰입(Learning Engagement)
      • Ⅲ. 연구방법
      • 3.1 연구 대상 및 표집
      • 3.2 조사도구
      • 3.3 자료의 분석
      • Ⅳ. 연구의 결과
      • 4.1 관찰변인의 일반적 특성 및 정규성 분석
      • 4.2 관찰변인 간의 상관관계
      • 4.3 측정모형 분석
      • 4.4 구조모형 분석본
      • Ⅴ. 논의, 결론 및 제언
      • 5.1 논의
      • 5.2 결론
      • 5.3 제언
      • 참고문헌(References)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기용, "현장수요 지향적 대학 IT 교과과정 개발 및 운영사례 연구 : 공급사슬 관리적접근" 2 (2): 8-16, 2010

      2 정태화, "주요 국가의 현장지향적 직업교육 제도와 국내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직업교육학회 22 (22): 203-232, 2003

      3 김민숙, "제대군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4 이규만, "전직지원활동이 퇴직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22 (22): 27-50, 2007

      5 이은주, "전직지원 프로그램 특성과 전직지원활동 참여 퇴직자의 전환학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6 장석민, "전문대학 취업지도 강화대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7 김재현, "전문대학 교육서비스가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남순현, "전공몰입과 직업가치: 성별, 지역별, 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223-242, 2005

      9 정선정,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고용가능성과 훈련생의 사회심리적 특성, 훈련프로그램 특성, 학습몰입 및 경력계획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0 노희선, "쉽게 풀어쓴 교육학 개론" 양서원 2012

      1 엄기용, "현장수요 지향적 대학 IT 교과과정 개발 및 운영사례 연구 : 공급사슬 관리적접근" 2 (2): 8-16, 2010

      2 정태화, "주요 국가의 현장지향적 직업교육 제도와 국내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직업교육학회 22 (22): 203-232, 2003

      3 김민숙, "제대군인 취업지원프로그램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4 이규만, "전직지원활동이 퇴직자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 22 (22): 27-50, 2007

      5 이은주, "전직지원 프로그램 특성과 전직지원활동 참여 퇴직자의 전환학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6 장석민, "전문대학 취업지도 강화대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7 김재현, "전문대학 교육서비스가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남순현, "전공몰입과 직업가치: 성별, 지역별, 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223-242, 2005

      9 정선정,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고용가능성과 훈련생의 사회심리적 특성, 훈련프로그램 특성, 학습몰입 및 경력계획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0 노희선, "쉽게 풀어쓴 교육학 개론" 양서원 2012

      11 김영미, "성인학습자의 자아개념, 참여동기 및 학습참여도와 평생학습성과의 구조적 분석" 교육연구소 33 (33): 123-143, 2012

      12 이은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5 (15): 199-216, 2001

      13 장재윤, "대학에서 '전공'에 몰입하면 좋은 직장을 얻게 되는가? 대학생들의 전공 몰입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의 성차"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 (20): 415-435, 2007

      14 이숙정,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235-253, 2011

      15 이지혜, "대학생의 학습동기적 요인과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6 (36): 5-26, 2009

      16 김성남, "대학생의 고용가능성 진단 도구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7 임대규, "대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가 전공만족도, 수업참여도, 취업가능성, 취업전략, 전공희망취업에 미치는 영향 - 세무회계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 한국취업진로학회 6 (6): 85-109, 2016

      18 김은지, "대학 수업에서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외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교육연구소 16 (16): 107-129, 2015

      19 이승구, "구직자의 고용가능성요인 탐색 및 취업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 인천지역 고용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87-103, 2008

      20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아카데미 2013

      21 김주환,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2 교육부,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집중 육성하기 위한 전문대학 육성사업 시행계획" 2014

      23 강인주, "경기 지역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과 교육서비스, 자기성찰 및 자기효능감의 인과적 관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5 (45): 63-84, 2013

      24 Coates, H., "The value of student engagement for higher education quality assurance" 11 (11): 25-36, 2005

      25 McQuaid, R. W., "The concept of employability" 42 (42): 197-219, 2005

      26 Dacre Pool., "The Key to employability: Developing a practical model of graduate employability"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2007

      27 Carini, R. M.,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learning : Testing the linkage" 47 (47): 1-32, 2006

      28 Rothwell, A., "Self-perceived employability :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a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73 (73): 1-12, 2008

      29 Stern, D., "School To Work policy insights from recent international developments"

      30 Lees, D., "Graduate Employability-Literature Review" University of Exeter 2002

      31 Steels, J. P., "Facilitators and outcomes of student engagement in a college setting" 143 (143): 5-27, 2009

      32 Blalock, A. B., "Evaluating social programs at the state and local level" W. E. Upjohn Institute 1990

      33 Harvey, L., "Enhancing employability, recognising diversity" Sheffield Hallam University 2002

      34 Hillage, J., "Employability: Development a framework for policy analysis" Institute for Employment Studies 1998

      35 Fugate, M., "Employability: Apsycho-social construct, its dimensions, and applications" 65 (65): 14-38, 2004

      36 Knight, T. P., "Employability through the curriculum" 8 (8): 261-276, 2002

      37 Yorke, M., "Employability in first cycle higher education: A working paper prepared for the ‘Skills Plus’ Project" Liberpool John Moores University 2001

      38 Harvey, L., "Employability and diversity" Sheffield Hallam University 2003

      39 Harvey, L., "Defining and measuring employability" 7 (7): 97-110, 2001

      40 Reyes, M. R., "Classroom emotional climate,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104 (104): 700-712, 2012

      41 Martin, A. J., "Brief approaches to assessing task absorption and enhanced subjective experience : Examining ‘short’ and ‘core’ flow in diverse performance domains" 32 (32): 141-157, 2008

      42 Harvey, S. J., "Army centralizes out placement" 73 (73): 115-118, 1994

      43 Klein, B.,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flow on learning in a graduate-level introductory operations management course" 85 (85): 292-298, 2010

      44 배병렬, "AMOS 19. 0 구조방정식 모델링 : 원리와 실제" 도서출판 청람 2011

      45 Handelsman, M. M.,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98 (98): 184-19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8 2.4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