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적합 직종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velopment of Proper Occup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 in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437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occupation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in Busan. A process of 3 steps was performed to find such occupation. In 1 step, we analysed labour market's demands about labour force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s demands about jobs in Busan. And had founded candidate occupation that are suitabl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2 step, we merged proper occupation of precedent studies to occupation collected through 1 steps. In 3 step, after asking the expert opinions, we based our final 34 proper occup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Busan. And divided specialized occupation that can use their language skills and cultural resources and new occupation that don't need these skills and resources. Finally we suggested policy issues to increa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economic activ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occupation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in Busan. A process of 3 steps was performed to find such occupation. In 1 step, we analysed labour market's demands about lab...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occupation that female marriage immigrants are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in Busan. A process of 3 steps was performed to find such occupation. In 1 step, we analysed labour market's demands about labour force and female marriage immigrants's demands about jobs in Busan. And had founded candidate occupation that are suitabl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2 step, we merged proper occupation of precedent studies to occupation collected through 1 steps. In 3 step, after asking the expert opinions, we based our final 34 proper occup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Busan. And divided specialized occupation that can use their language skills and cultural resources and new occupation that don't need these skills and resources. Finally we suggested policy issues to increa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economic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적합 직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고용노동부의 워크-넷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지역 노동시장의 구인수요와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직 수요를 분석하여 후보 적합 직종을 선정하고, 둘째,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적합 직종을 통합하여 정리하고, 셋째, 전문가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적합 직종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 적합 직종을 12개 분야(중분류), 18개 분야(소분류), 34개 분야(세세분류)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교육수준과 언어적, 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특화직종과 이러한 자원과 무관한 신규직종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적합 직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고용노동부의 워크-넷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지역 노동시장의 구인수요와 ...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적합 직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고용노동부의 워크-넷 자료를 이용하여 부산지역 노동시장의 구인수요와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직 수요를 분석하여 후보 적합 직종을 선정하고, 둘째,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적합 직종을 통합하여 정리하고, 셋째, 전문가의견수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적합 직종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부산지역 여성결혼이민자 적합 직종을 12개 분야(중분류), 18개 분야(소분류), 34개 분야(세세분류)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교육수준과 언어적, 문화적 자원을 활용한 특화직종과 이러한 자원과 무관한 신규직종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 경제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규호, "충북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 취업수요 실태조사 및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사)퍼스트경영기술연구원 2008

      2 최승호, "충북 결혼이주여성의 인적자원개발 연구" 충북개발연구원 2010

      3 이정표, "제대군인을 위한 민간기업 적합직종 발굴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4 이요행, "이주민 취업지원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15

      5 고혜원,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지원 방안 : 언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6 심인선, "여성결혼이민자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취업·창업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발전연구원 2014

      7 양인숙,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자본 및 사회 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34 (34): 237-266, 2011

      8 강혜정,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공급 결정요인 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9 (9): 49-73, 2012

      9 배경희,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응을 매개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183-202, 2011

      10 양인숙,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10

      1 조규호, "충북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 취업수요 실태조사 및 직업능력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사)퍼스트경영기술연구원 2008

      2 최승호, "충북 결혼이주여성의 인적자원개발 연구" 충북개발연구원 2010

      3 이정표, "제대군인을 위한 민간기업 적합직종 발굴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4 이요행, "이주민 취업지원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 연구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2015

      5 고혜원,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지원 방안 : 언어·문화 자원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6 심인선, "여성결혼이민자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취업·창업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발전연구원 2014

      7 양인숙,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자본 및 사회 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34 (34): 237-266, 2011

      8 강혜정, "여성결혼이민자의 노동공급 결정요인 분석" 한국여성경제학회 9 (9): 49-73, 2012

      9 배경희, "여성결혼이민자의 근로유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응을 매개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183-202, 2011

      10 양인숙,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제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10

      11 김영혜,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 연구원 2009

      12 장서영, "여성결혼이민자 취업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09

      13 장명선, "서울시 결혼이민여성 취·창업지원활성화 방안 : 지역적 특색에 따른 모델 개발"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09

      14 장명선, "서울시 결혼이민여성 취·창업 능력개발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위한 연구"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08

      15 부산새일지원본부, "부산 여성인력실태조사 및 적합직종 발굴과 교육훈련프로 그램 개발" 여성가족부 2011

      16 안수영, "대전 지역 결혼이민자의 일 경험 영향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37 (37): 49-69, 2011

      17 설동훈, "국제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18 박능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취업이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41) : 120-143, 2010

      19 김한준, "고령 퇴직공무원 재고용 적합직종 발굴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2007

      20 장서영,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유망직업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163-187, 2009

      21 정기선, "경기도내 국제결혼 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개발원 2007

      22 이태정, "결혼이주여성의 취업상태에 대한 분석 연구" 한국인구학회 36 (36): 21-44, 2013

      23 김이선,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통합 진전을 위한 브릿지 프로그램 추진방안. 보건복지가족부" 보건복지가족부 2008

      24 김이선, "결혼이민자가족 지원서비스 효율화 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07

      25 김영혜, "결혼이민자 적합직종 및 취업연계 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0

      26 김병숙, "결혼이민여성의 취업요구 및 직종개발연구"

      27 김현숙, "결혼이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영향요인과 민족적 차이" 한국사회정책학회 22 (22): 163-193, 2015

      28 대한 YWCA 연합회, "결혼이민여성 직종개발연구 보고서" 대한 YWCA 연합회 2008

      29 Gilbertson, G. A., "Women’s labor and enclave employment: The case of Dominican and Colombian women in New York City" 29 (29): 257-670, 1995

      30 Foroutan, Y., "Migration differentials in women’s market employment:An empirical and multicultural analysis" 42 : 675-703, 2008

      31 김승권,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3 1.53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