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설계에 접근할 때 근대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비평적 논쟁을 제시하는 것이며 연구의 목적은 이런 논의에 대한 형식적인 탐구를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제안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03479
2010
Korean
마그리트 ; 르 꼬르뷔제 ; 추상 ; 구현화 ; 시각적 인식 ; 시각적 경험 ; 거리두기 ; 대상성 ; 환상성 ; Magritte ; Le Corbusier ; Abstraction ; Embodiment ; Visual Recognition ; Experience ; Distancing ; Objectification ; Fantasy
540
KCI등재
학술저널
65-74(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설계에 접근할 때 근대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비평적 논쟁을 제시하는 것이며 연구의 목적은 이런 논의에 대한 형식적인 탐구를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제안하는 ...
본 연구는 설계에 접근할 때 근대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비평적 논쟁을 제시하는 것이며 연구의 목적은 이런 논의에 대한 형식적인 탐구를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제안하는 것이다. 이 논의의 중심은 근대건축에 나타난 추상과 구현화의 관계이다. 추상과 구현화는 다음과 같이 잠정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의미는 전통적인 사인의 사용이나 이전의 선례에 대한 직접적인 참고로서 유추된 것이 아니라 형태 자체의 조작이나 해석을 가능케하는 유추와 은유의 심도있는 제안에 의해서 가능하며 추상(abstraction)의 용어는 시각적 형태를 만드는 것과 관계한다. 공간의 이해는 물리적 형태에 스며들었고 건물의 일상적인 사용을 하는 동안 경험하는 방식으로 구현화(embodiment)는 정의된다. 르 꼬르뷔제는 근대에서 제기된 건축의 추상성을 구현화와 연관하여 관람자에게 새로운 경험과 연상, 그리고 사색하는 공간을 가능케하였다. 라 뚜레뜨에서 르 꼬르뷔제에게 공간은 무언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람자에게 생각하게 하는 동시에 사고를 묘사하는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AutoLISP을 이용한 조경 법규검토와 면적산출 알고리즘 개발
공사비 입력변수 수준분류를 통한 데이터마이닝 예측기법의 정확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