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애인 학생들의 운전재활 인식도와 요구도 조사 및 대학교 중심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 The study on awareness and needs toward driving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effects of driver rehabilitation program about university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38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학생들의 운전재활 인식 도와 요 구도를 설문 조사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학교 중심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장애인 학...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학생들의 운전재활 인식 도와 요 구도를 설문 조사하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학교 중심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장애인 학생들의 운전재활 인식 도와 요구도 설문 조사는 대구대학교 장애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32명에게 조사 하였으며, 2010년 3월, 4월 두 달간 연구하였다. 학교 중심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비교 분석은 실험 군은 설문조사를 받은 지체․뇌 병 변 장애인 학생 중 운전면허증이 없고, 운전면허를 발급 받기 원하여 프로그램에 지원한 학생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도 운전면허증이 없는 학생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0년 4월 1일부터 4월 23일까지 4주간 10회로 운전재활 시물레이터 프로그램(driver rehabilitation simulator training)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시행 전․후 임상 평가(clinical evaluation)와 프로그램 시행 시 도로주행 채점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인 학생들의 운전재활 인식 도와 요구도 조사는 국내 운전재활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수준은 낮으나, 요구 도는 높았다. 학교 중심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비교 분석은 장애 유무에 상관없이 운전 면허증이 없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운전 능력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장애인 학생은 훈련 후 신체․지각․인지 기능의 향상이 있었다.
      향후 장애가 남아 있는 사람에게 안전하게 운전하기 위해 적절한 보조장치 사용과 자동차 개조를 위해 그리고 필요한 훈련을 제공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운전 적합성․안정성에 관한 평가가 수행 가능하고, 중증 장애인에게 시물레이터를 통한 다양한 고급 공학을 적용하여 운전 평가 및 훈련을 제공하여 안전하게 실제 도로에서 운전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운전이 필요한 학생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지역 내 장애인들에게도 개방 가능하여 장애인 개별적으로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학교 중심 운전재활 프로그램 모델을 근거로 한 학교 내 장애인 운전 전문 교육 기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quire into the awareness and needs toward driving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river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university. The number of su...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quire into the awareness and needs toward driving rehabili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river rehabilitation program based on university.
      The number of subjects surveyed were thirty-two disabled students of Daegu University, and the survey period was for two months from March to April in 2010.
      The experimental group to analyse the effect of this driving rehabilitation program was thre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or(and) physical disorder, who did not have driver's licenses, so applied for this program. The control group was other three students without any disability, who didn't have driver's licenses. The ten-session driver rehabilitation simulator training was offered for four weeks from April 1st to 23rd. The clinical evaluation was assessed before as well as after the training, and the road test was scored during the training.
      In conclusion, the overall level of knowledge about the driving rehabilitation service was low, on the other hand, the needs for the service was high. Regardless of disabiliti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driving ability.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was improvement in physical, perceptional, cognitional areas after of simulate driving training. Therefore, the university-centered driving rehabilitation which is accessibl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necessary for quality of life, independency mobility and job.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장애인 운전자 재활의 개념 및 팀 구성원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3
      • Ⅱ. 이론적 배경 5
      • 1. 장애인 운전자 재활의 개념 및 팀 구성원 5
      • 2. 장애인 운전재활 서비스 과정 및 전달체계 모델 6
      • 3. 국내 장애인 운전재활 서비스 체계 비교 13
      • Ⅲ. 연구 방법 16
      • 1. 장애인 학생들의 운전재활 인식도와 요구도 조사 16
      • 1) 연구 대상 및 일반적 특성 16
      • 2) 연구 기간 및 방법 16
      • 3) 연구도구 18
      • 4) 분석방법 18
      • 2. 학교 중심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비교 분석 19
      • 1) 연구 대상 및 일반적 특성 19
      • 2) 연구 기간 및 방법 20
      • 3) 연구 도구 20
      • 4) 분석방법 28
      • Ⅳ. 연구 결과 29
      • 1. 장애인 학생들의 운전재활 인식도와 요구도 조사 29
      • 2. 학교 중심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비교 분석 33
      • 1) 장애비장애인 학생의 신체지각인지 기능의 특징 33
      • 2) 장애비장애인 학생의 주행 전-후의 기능 비교 35
      • 3) 장애비장애인 학생의 도로 주행 합격 점수에 도달하는 기간 비교 37
      • 4) 장애비장애인 학생의 10회 도로주행 평균 점수, 소요 시간, 주행속도 비교 37
      • 5) 장애비장애인 학생의 주행 합격점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 비교 41
      • Ⅴ. 고찰 42
      • 1. 장애인 학생들의 운전재활 인식도와 요구도 조사 42
      • 2. 학교 중심 운전재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비교 분석 43
      • Ⅵ. 결론 46
      • 참고문헌 48
      • 영문초록 51
      • 부록 5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