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층 소비자의 디지털 금융서비스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모바일 금융앱 이용을 중심으로 = The Adaptation Process of Elderly Consumers to Digital Financial Services: Focusing on the Use of Mobile Financial Ap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85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디지털 금융서비스에 대한 고령층 소비자의 적응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디지털 금융서비스에 대한 수용이나 지속사용 의도 그 자체 보다는 적응과정에 초점을두었고, 상황과 맥락, 고령층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인식, 태도, 행동, 평가 등을 분석하였다. 모바일 금융앱을 이용한지 6개월 이상 된 60∼70대 고령층 소비자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근거이론의 연구방법을 적용했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축코딩 단계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였다. ‘고령층 소비자의 모바일 금융앱 적응’이라는 중심현상을 설명하는인과적 조건(진입, 선택), 맥락적 조건(내부적, 외부적 불편요인), 중재적 조건(방해요인, 촉진요인), 네 단계의 전략(적응하려는 의지와 노력, 금융서비스의 선별적 이용, 반복 연습을 통한 체득, 조력자원(사람, 채널, 도구)의 적극적 활용), 그리고 결과(채널의 이동과 서비스의 추가(Shift + α)를 도출하였다.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전략’을 핵심범주를 설정하였다. 핵심적 행동과정을 나타내는 단계적 전략에서 주목한 현상은고령층 소비자들이 디지털 이주자로서, 모바일 금융앱에 ‘선택적 적응’을 한다는 것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령층 소비자의 모바일 금융앱 적응 흐름(FLOW)을 모형화하였다. 네 단계의 전략이 맞물려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인증, 니즈, 시스템, 조력과 관련된 장벽(방해요인)을 상쇄하면서 적응에 도달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디지털 환경의 외부적 요인과 고령층 집단 내의 사회경제적,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고령층 소비자의 디지털금융 서비스 적응을 과정적, 단계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디지털 금융서비스에 대한 고령층 소비자의 적응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디지털 금융서비스에 대한 수용이나 지속사용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변화 속에서 디지털 금융서비스에 대한 고령층 소비자의 적응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있다. 디지털 금융서비스에 대한 수용이나 지속사용 의도 그 자체 보다는 적응과정에 초점을두었고, 상황과 맥락, 고령층 소비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인식, 태도, 행동, 평가 등을 분석하였다. 모바일 금융앱을 이용한지 6개월 이상 된 60∼70대 고령층 소비자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근거이론의 연구방법을 적용했고,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을 거쳐 분석하였다.
      축코딩 단계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였다. ‘고령층 소비자의 모바일 금융앱 적응’이라는 중심현상을 설명하는인과적 조건(진입, 선택), 맥락적 조건(내부적, 외부적 불편요인), 중재적 조건(방해요인, 촉진요인), 네 단계의 전략(적응하려는 의지와 노력, 금융서비스의 선별적 이용, 반복 연습을 통한 체득, 조력자원(사람, 채널, 도구)의 적극적 활용), 그리고 결과(채널의 이동과 서비스의 추가(Shift + α)를 도출하였다.
      선택코딩 단계에서는 ‘전략’을 핵심범주를 설정하였다. 핵심적 행동과정을 나타내는 단계적 전략에서 주목한 현상은고령층 소비자들이 디지털 이주자로서, 모바일 금융앱에 ‘선택적 적응’을 한다는 것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고령층 소비자의 모바일 금융앱 적응 흐름(FLOW)을 모형화하였다. 네 단계의 전략이 맞물려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인증, 니즈, 시스템, 조력과 관련된 장벽(방해요인)을 상쇄하면서 적응에 도달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디지털 환경의 외부적 요인과 고령층 집단 내의 사회경제적,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고려하는 가운데, 고령층 소비자의 디지털금융 서비스 적응을 과정적, 단계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daptation process of elderly consumers to digital financial services amidst the paradigm shift in the financial industry.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primarily focused on adoption or continued usage intentions, this study places emphasis on the adaptation process itself,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circumstances,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consumers. The analysis encompasses their perceptions, attitudes, behaviors, and evaluation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en elderly consumers aged 60 to 70 who had used mobile banking applications for more than six month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applied, following the procedure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n the axial coding stage, a paradigm model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causal conditions (entry and choice factors), contextual conditions (internal and external inconveniences), intervening conditions (barriers and facilitators), four-stage strategic behaviors (willingness and efforts to adapt, selective use of financial services, internalization through repetitive practice, and active utilization of supportive resources such as people, channels, and tools), and outcomes (channel shift and service expansion, referred to as Shift + α).
      In the selective coding phase, “strategy” was identified as the core category. The key finding reveals that elderly consumers engage in a “selective adaptation” process as digital migrants when using mobile financial ap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 flow model illustrating the adaptation process was developed, highlighting how various barriers related to authentication, needs, systems, and support are overcome to facilitate adapt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analyzing elderly consumers' adaptation to digital financial services as a dynamic and staged process, while considering not onl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the socioeconomic,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findings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digital financial inclusion policies and service designs tailored to the needs of elderly consum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daptation process of elderly consumers to digital financial services amidst the paradigm shift in the financial industry.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primarily focused on adoption or continued usage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daptation process of elderly consumers to digital financial services amidst the paradigm shift in the financial industry.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have primarily focused on adoption or continued usage intentions, this study places emphasis on the adaptation process itself,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circumstances, contexts,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consumers. The analysis encompasses their perceptions, attitudes, behaviors, and evaluation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en elderly consumers aged 60 to 70 who had used mobile banking applications for more than six month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applied, following the procedure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In the axial coding stage, a paradigm model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causal conditions (entry and choice factors), contextual conditions (internal and external inconveniences), intervening conditions (barriers and facilitators), four-stage strategic behaviors (willingness and efforts to adapt, selective use of financial services, internalization through repetitive practice, and active utilization of supportive resources such as people, channels, and tools), and outcomes (channel shift and service expansion, referred to as Shift + α).
      In the selective coding phase, “strategy” was identified as the core category. The key finding reveals that elderly consumers engage in a “selective adaptation” process as digital migrants when using mobile financial ap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 flow model illustrating the adaptation process was developed, highlighting how various barriers related to authentication, needs, systems, and support are overcome to facilitate adapt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analyzing elderly consumers' adaptation to digital financial services as a dynamic and staged process, while considering not onl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but also the socioeconomic,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findings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digital financial inclusion policies and service designs tailored to the needs of elderly consumer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