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직업상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의 직업상담원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437071
전주 : 전주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 진로직업상담학과 , 2019. 8
2019
한국어
186.3 판사항(5)
전북특별자치도
vi, 48 p. ; 26cm
부록: 설문지
지도교수: 하정
참고문헌: p. 33-39
I804:45016-20000027819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직업상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의 직업상담원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
본 연구는 직업상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의 직업상담원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연구를 위해 직무 만족 척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척도(KOSS)의 단축형, 전문직업적 정체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직무 스트레스는 전문직업적 정체성, 직무 만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 만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직업상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조절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직무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보다 직무 만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비교했을 때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은 집단은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직무 만족 수준이 낮아지는 정도가 더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직무 만족의 감소를 줄여주는 완충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직업상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조절 효과를 밝히고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요구되는 중요한 변인임을 파악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상담원의 효과적인 직무만족 증진을 위한 상담 및 조력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counselors. The 169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Career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counselors. The 169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Career Counseling Center in South Korea. They were answered questionnaires in which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job stress level, and professional identity level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al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o verify the hypothesized mod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is study, job str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onfirm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was a moderator o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counselor. This suggests that professional identity played a buffer role to reduce the extent of the decrease of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increase of job stress.
Such results verified that professional identity is a very important moderating variable.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for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counselor. The implication of this result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