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연구의 동향 분석 =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s Research Trends In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27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multiple intelligences studies in adults. Multiple intelligences studies in adults are numerically less than in infants,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reason is that multip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multiple intelligences studies in adults. Multiple intelligences studies in adults are numerically less than in infants,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reason is that multiple intelligences has been tried with a focus on the age level, where various activities and experiments are possible, crossing subjects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contrast, multiple intelligences research for adults is at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readth and depth of research. This is significant not only in expanding and diversifying the appl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but also in taking advantage of the different strengths of individuals and member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r this study, on February 27, 2020, Korean journals were searched for 'multiple intelligences', and in addition to a total of 1,617 cases, 22 'multiple intelligences adults', 54 'multiple intelligences college students', and 138 'multiple intelligences teachers' were drawn. Of these, the final 55 paper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and analyzed. After several reviews and corrections,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s item-by-item and inter-item results for the research year and subject, field, content, and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discussions and conclus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suggestions were made. Through this study, we can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pplied in the context of multiple intelligences in detail and confirm that multiple intelligences can be a useful educational frame to lead the individual's self-realization, growth, and happy life through gener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성인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연구의 동향 및 향후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에 대한 다중지능 연구는 유아, 초등, 중등 학생에...

      이 연구는 성인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연구의 동향 및 향후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에 대한 다중지능 연구는 유아, 초등, 중등 학생에 비해 수적으로 더 적은 편이다. 그 이유는 다중지능이 교수, 학습의 맥락에서 교과를 넘나들며 다양한 활동과 실험이 가능한 연령급간을 중심으로 많이 시도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와는 달리 성인 대상 다중지능 연구는 연구의 폭과 깊이를 확장해 나가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이것은 다중지능 이론의 적용을 확장하고 다변화한다는 점뿐만 아니라 4차 혁명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들의 서로 다른 강점을 활용하여 국가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20년 2월 27일에 ‘다중지능’으로 국내 학술지를 검색하여 총 1,617건 외에 ‘다중지능 성인’ 22건, ‘다중지능 대학생’ 54건, ‘다중지능 교사’ 138건을 도출, 확인하였다. 이 중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최종 55편의 논문을 확정, 분석하였다. 여러 차례의 검토 및 수정 과정 후 양화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 연도와 대상, 연구 분야 및 내용, 방법 등에 대해 항목별, 항목 간 결과로 제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결론,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중지능이 성인의 맥락에서 적용되어 온 연구 동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여러 세대를 아울러서 다중지능이 개인의 자아실현과 성장, 행복한 삶으로 이끄는데 유용한 교육 프레임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용린, "지력혁명" 비즈니스북스 2009

      2 김동일, "지능이란 무엇인가? : 인지과학이 밝혀낸 마음의 구조" 사회평론 2016

      3 류정희, "전문대학생의 다중지능 군집에 따른 학업성취도, 전공만족도, 삶의 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대한사고개발학회 11 (11): 169-188, 2015

      4 최미숙, "예비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87-106, 2005

      5 김명희,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8

      6 전종희,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유아 및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49-373, 2018

      7 전종희,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 동향 분석 - 중·고등학생 대상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413-1435, 2019

      8 Gardner, H., "다중지능 인간 지능의 새로운 이해" 김영사 2001

      9 문용린, "다중지능 이론의 기업 조직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43-164, 2008

      10 Gardner, H., "다중지능" 웅진지식하우스 2007

      1 문용린, "지력혁명" 비즈니스북스 2009

      2 김동일, "지능이란 무엇인가? : 인지과학이 밝혀낸 마음의 구조" 사회평론 2016

      3 류정희, "전문대학생의 다중지능 군집에 따른 학업성취도, 전공만족도, 삶의 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대한사고개발학회 11 (11): 169-188, 2015

      4 최미숙, "예비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87-106, 2005

      5 김명희,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1998

      6 전종희,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 분석 - 유아 및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49-373, 2018

      7 전종희,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 동향 분석 - 중·고등학생 대상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413-1435, 2019

      8 Gardner, H., "다중지능 인간 지능의 새로운 이해" 김영사 2001

      9 문용린, "다중지능 이론의 기업 조직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11): 143-164, 2008

      10 Gardner, H., "다중지능" 웅진지식하우스 2007

      11 김진희, "광고 크리에이터들의 다중지능적 성향과 직무적합도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165-1175, 2019

      12 Damirchi, Q. V., "The role of worker’s multiple intelligences on their productivity in cultural institutions of Moghan" 1 (1): 42-50, 2011

      13 Perry, C., "Teacher subject specialisms and their relationships to learning styles, psychological types and multiple intelligences: implications for course development" 8 (8): 9-28, 2004

      14 Dragoshi, R., "Self-efficacy : Multiple intelligences and Canadia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2 (2): 76-88, 2016

      15 Martin, J., "Profiting from multiple intelligences in the workplace" Gower Publishing Limited 2001

      16 McClellan, J. A., "Identifying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your students" 37 (37): 13-38, 2008

      17 Madkour, M., "Identifying college students’ multiple intelligences to enhance motivation and language proficiency" 9 (9): 92-107, 2016

      18 Tirri, K., "Identification of multiple intelligences with the Multiple Intelligence Profiling Questionnaire Ⅲ" 50 (50): 206-221, 2008

      19 김수환, "Computational Literacy 교육에서 다중지능전략 교육방법의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11-18, 2011

      20 김혜실, "Arts PROPEL 기반 성인 노래창작 프로그램 적용에서의 다중지능 변화와 경험"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71-196,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발전연구소 -> 교육연구소
      영문명 :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CNU Research Institute of Education
      2005-10-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발전연구소 -> 교육연구소
      영문명 :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CNU Research Inxtitute of Edu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6 1.48 1.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