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가법령정보센터, "한부모가족지원법"
2 백혜정,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3 문성훈, "타자에 대한 책임, 관용, 환대 그리고 인정 - 레비나스, 왈쩌, 데리다, 호네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1) : 391-418, 2011
4 김혜진,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1-43, 2018
5 박정희,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03-123, 2008
6 송현옥, "청소년의 가정환경,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09-129, 2010
7 백욱현, "청소년의 10대 미혼모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 관점의 인식" 한국청소년학회 15 (15): 49-77, 2008
8 홍봉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52, 2011
9 김정희,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적 인정과 법정책" 사회복지법제학회 9 (9): 109-132, 2018
10 박현미, "청소년미혼모가 지각하는 학업복귀의 장애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24, 2016
1 국가법령정보센터, "한부모가족지원법"
2 백혜정,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3 문성훈, "타자에 대한 책임, 관용, 환대 그리고 인정 - 레비나스, 왈쩌, 데리다, 호네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1) : 391-418, 2011
4 김혜진,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1-43, 2018
5 박정희,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03-123, 2008
6 송현옥, "청소년의 가정환경,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09-129, 2010
7 백욱현, "청소년의 10대 미혼모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 관점의 인식" 한국청소년학회 15 (15): 49-77, 2008
8 홍봉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52, 2011
9 김정희,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적 인정과 법정책" 사회복지법제학회 9 (9): 109-132, 2018
10 박현미, "청소년미혼모가 지각하는 학업복귀의 장애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24, 2016
11 노용오, "청소년문화론" 구상 2005
12 김은지,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 Ⅱ:청소년 한부모가족 지역사회 지원체계 모형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89, 2013
13 성정현, "청소년 미혼모의 대안학교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3) : 223-258, 2011
14 김지선, "청소년 문제와 자아실현 : 호네트의 인정 개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5 전미경,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31-47, 2017
1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17 박아청, "정체감 교섭과정에서의 교육의 역할" 한국교육학회 41 (41): 69-91, 2003
18 Honneth, A., "인정투쟁" 사월의 책 2011
19 Erikson. E. H., "유년기와 사회" 연암서가 2014
20 김정희, "요양보호사의 인정투쟁과 사회적 인정: Axel Honneth의 인정이론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43 (43): 323-351, 2017
21 김영미, "양육 청소년 미혼모의 적응유연성이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편견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53-164, 2018
22 임해영,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35-69, 2014
23 김나영,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사회 내 인정의 부재와 인정투쟁에 대한 고찰: 호네트의 인정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119-152, 2016
24 조윤희, "십대출산기혼모의 부모됨에 관한 질적 연구: 지지적관계를 통한 적응과 성숙을 중심으로" 2014 (2014): 3-58, 2014
25 김혜영,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경험 :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회 26 (26): 101-131, 2010
26 이동귀, "시설에서 자립을 앞둔 청소년 미혼모의 불안과 욕구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24 (24): 105-124, 2019
27 박혜경, "시설거주 청소년 미혼모의 엄마 되어가는 과정의 경험" 대한질적연구학회 2 : 1-22, 2017
28 박금숙, "시설거주 청소년 미혼모의 엄마 되어가는 과정의 경험" 2 : 1-22, 2017
29 Berk, I. E., "생애발달 Ⅱ: 청소년기에서 후기 성인기까지" 시그마프레스 2009
30 Yin, R.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1
31 송호근, "빈곤노동계층의 노동시장구조와 정책" 한국사회학회 36 (36): 2-34, 2002
32 성미애,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가족 양립" 한국가족학회 21 (21): 1-28, 2009
33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9
34 성정현, "미혼모가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역사적・사회적 배경에 관한 소고" 한국가족학회 28 (28): 33-58, 2016
35 국민일보, "몰래 낳은 아기를 사탕통 넣어 창밖에 던진 10대 미혼모"
36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37 Contreras, J. M., "Parenting behaviors among mainland Puerto Rican adolescent mothers : The role of grandmother and partner involvement" 14 (14): 341-368, 2004
38 Kunnen, E. S., "Fischer's skill theory applied to identity development : A response to Kroger" 3 (3): 247-270, 2003
39 Bergh, S., "Adolescent identity formation: A Swedish study of identity status using the EOM-EIS-II" 40 (40): 377-, 2005
40 노경란, "10대 미혼모 인권 존중을 위한 교육지원 실태 국가 간 비교 연구: 미국, 영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1 (11): 99-123,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