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미혼모가 경험하는 사회적 무시와 인정: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 Social disregard and recognition experiences of Youth single mother : Focusing on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formation of ident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27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at the form of social disregard and recognition experienced by youth single moth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qualitative case studies, and five youth single mother living in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emi-structur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analyzed according to the case study analysis procedure in Yin(2011), and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and three sub-topics, respectively, from the 2 themes of ‘social disregard’ and ‘social recogni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disregard experience of youth single mothers began in the form of a rejection of pregnancy at an early age that was not welcomed by people around them. This makes it difficult to continue studying due to pregnancy, connecting to discrimination against the role of caregiver for being young, and in the process, an unfair view as a social deviant.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recognition experience of youth single mothers has been newly felt by their children, supported by their families and friends, and helped and tried to learn and work from their surroundings. Through their own circumstances, they were able to recognize others and the socially minorities, causing to their own recognition of their valu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mation identity of youth single mothers in terms of social mutual recogni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at the form of social disregard and recognition experienced by youth single moth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qualitative case studies, and five youth single mother living in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

      This study is to examine at the form of social disregard and recognition experienced by youth single moth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qualitative case studies, and five youth single mother living in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emi-structur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analyzed according to the case study analysis procedure in Yin(2011), and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and three sub-topics, respectively, from the 2 themes of ‘social disregard’ and ‘social recognit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disregard experience of youth single mothers began in the form of a rejection of pregnancy at an early age that was not welcomed by people around them. This makes it difficult to continue studying due to pregnancy, connecting to discrimination against the role of caregiver for being young, and in the process, an unfair view as a social deviant.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recognition experience of youth single mothers has been newly felt by their children, supported by their families and friends, and helped and tried to learn and work from their surroundings. Through their own circumstances, they were able to recognize others and the socially minorities, causing to their own recognition of their valu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mation identity of youth single mothers in terms of social mutual recogn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미혼모가 자녀 양육의 책임자인 동시에 자아정체성 확립의 발달과업을 성취해야 하는 청소년으로서 경험하는 사회적 무시와 인정 형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미혼모라는 특정 사례에 초점을 둔 질적 사례연구로서, 목적표집을 통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5명의 청소년미혼모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Yin(2011)의 사례연구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사회적 무시’와 ‘사회적 인정’이라는 2개의 주제에서 각각 4개와 3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미혼모들의 사회적 무시 경험은 어린 나이의 임신 사실에 대하여 주변으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거부 형태로 시작되었다. 이는 임신을 이유로 학업을 지속하기 어렵게 되는 것으로, 어리다는 이유로 양육자 역할에 대한 차별을 느끼는 것으로 이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일탈자라는 부당한 시선을 느끼게 되었다. 반면, 청소년미혼모들의 사회적 인정 경험으로는 자녀로부터 새롭게 느끼는 사랑과 가족과 친구들의 지지, 주변으로부터 학습과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고 노력하는 경험이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처지를 통하여 타인과 사회적 약자를 인식함으로써 자기 가치를 함께 스스로 인정하게 되는 경험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인정의 측면에서 청소년미혼모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미혼모가 자녀 양육의 책임자인 동시에 자아정체성 확립의 발달과업을 성취해야 하는 청소년으로서 경험하는 사회적 무시와 인정 형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청...

      본 연구는 청소년미혼모가 자녀 양육의 책임자인 동시에 자아정체성 확립의 발달과업을 성취해야 하는 청소년으로서 경험하는 사회적 무시와 인정 형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미혼모라는 특정 사례에 초점을 둔 질적 사례연구로서, 목적표집을 통해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5명의 청소년미혼모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반구조화된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Yin(2011)의 사례연구 자료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사회적 무시’와 ‘사회적 인정’이라는 2개의 주제에서 각각 4개와 3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청소년미혼모들의 사회적 무시 경험은 어린 나이의 임신 사실에 대하여 주변으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거부 형태로 시작되었다. 이는 임신을 이유로 학업을 지속하기 어렵게 되는 것으로, 어리다는 이유로 양육자 역할에 대한 차별을 느끼는 것으로 이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일탈자라는 부당한 시선을 느끼게 되었다. 반면, 청소년미혼모들의 사회적 인정 경험으로는 자녀로부터 새롭게 느끼는 사랑과 가족과 친구들의 지지, 주변으로부터 학습과 일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고 노력하는 경험이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처지를 통하여 타인과 사회적 약자를 인식함으로써 자기 가치를 함께 스스로 인정하게 되는 경험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인정의 측면에서 청소년미혼모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가법령정보센터, "한부모가족지원법"

      2 백혜정,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3 문성훈, "타자에 대한 책임, 관용, 환대 그리고 인정 - 레비나스, 왈쩌, 데리다, 호네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1) : 391-418, 2011

      4 김혜진,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1-43, 2018

      5 박정희,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03-123, 2008

      6 송현옥, "청소년의 가정환경,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09-129, 2010

      7 백욱현, "청소년의 10대 미혼모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 관점의 인식" 한국청소년학회 15 (15): 49-77, 2008

      8 홍봉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52, 2011

      9 김정희,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적 인정과 법정책" 사회복지법제학회 9 (9): 109-132, 2018

      10 박현미, "청소년미혼모가 지각하는 학업복귀의 장애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24, 2016

      1 국가법령정보센터, "한부모가족지원법"

      2 백혜정,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3 문성훈, "타자에 대한 책임, 관용, 환대 그리고 인정 - 레비나스, 왈쩌, 데리다, 호네트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1) : 391-418, 2011

      4 김혜진,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1-43, 2018

      5 박정희,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03-123, 2008

      6 송현옥, "청소년의 가정환경,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정체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7 (17): 109-129, 2010

      7 백욱현, "청소년의 10대 미혼모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 관점의 인식" 한국청소년학회 15 (15): 49-77, 2008

      8 홍봉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52, 2011

      9 김정희,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적 인정과 법정책" 사회복지법제학회 9 (9): 109-132, 2018

      10 박현미, "청소년미혼모가 지각하는 학업복귀의 장애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24, 2016

      11 노용오, "청소년문화론" 구상 2005

      12 김은지,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 Ⅱ:청소년 한부모가족 지역사회 지원체계 모형개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289, 2013

      13 성정현, "청소년 미혼모의 대안학교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3) : 223-258, 2011

      14 김지선, "청소년 문제와 자아실현 : 호네트의 인정 개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5 전미경,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9 (29): 31-47, 2017

      16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17 박아청, "정체감 교섭과정에서의 교육의 역할" 한국교육학회 41 (41): 69-91, 2003

      18 Honneth, A., "인정투쟁" 사월의 책 2011

      19 Erikson. E. H., "유년기와 사회" 연암서가 2014

      20 김정희, "요양보호사의 인정투쟁과 사회적 인정: Axel Honneth의 인정이론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43 (43): 323-351, 2017

      21 김영미, "양육 청소년 미혼모의 적응유연성이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편견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53-164, 2018

      22 임해영,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35-69, 2014

      23 김나영, "아시아 국가 출신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사회 내 인정의 부재와 인정투쟁에 대한 고찰: 호네트의 인정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9 (9): 119-152, 2016

      24 조윤희, "십대출산기혼모의 부모됨에 관한 질적 연구: 지지적관계를 통한 적응과 성숙을 중심으로" 2014 (2014): 3-58, 2014

      25 김혜영,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경험 :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회 26 (26): 101-131, 2010

      26 이동귀, "시설에서 자립을 앞둔 청소년 미혼모의 불안과 욕구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24 (24): 105-124, 2019

      27 박혜경, "시설거주 청소년 미혼모의 엄마 되어가는 과정의 경험" 대한질적연구학회 2 : 1-22, 2017

      28 박금숙, "시설거주 청소년 미혼모의 엄마 되어가는 과정의 경험" 2 : 1-22, 2017

      29 Berk, I. E., "생애발달 Ⅱ: 청소년기에서 후기 성인기까지" 시그마프레스 2009

      30 Yin, R.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1

      31 송호근, "빈곤노동계층의 노동시장구조와 정책" 한국사회학회 36 (36): 2-34, 2002

      32 성미애, "빈곤 한부모 여성의 부모권 보장과 일⋅가족 양립" 한국가족학회 21 (21): 1-28, 2009

      33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9

      34 성정현, "미혼모가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역사적・사회적 배경에 관한 소고" 한국가족학회 28 (28): 33-58, 2016

      35 국민일보, "몰래 낳은 아기를 사탕통 넣어 창밖에 던진 10대 미혼모"

      36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37 Contreras, J. M., "Parenting behaviors among mainland Puerto Rican adolescent mothers : The role of grandmother and partner involvement" 14 (14): 341-368, 2004

      38 Kunnen, E. S., "Fischer's skill theory applied to identity development : A response to Kroger" 3 (3): 247-270, 2003

      39 Bergh, S., "Adolescent identity formation: A Swedish study of identity status using the EOM-EIS-II" 40 (40): 377-, 2005

      40 노경란, "10대 미혼모 인권 존중을 위한 교육지원 실태 국가 간 비교 연구: 미국, 영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11 (11): 99-123,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발전연구소 -> 교육연구소
      영문명 :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CNU Research Institute of Education
      2005-10-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발전연구소 -> 교육연구소
      영문명 : Education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CNU Research Inxtitute of Edu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56 1.48 1.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