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은 영장주의에 위반하여 수집한 증거물은 당사자의 증거동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시한 바 있다. 그런데 미국에서 ‘동의’에 의한 수색을 인정할 때의 근거 중의 하나는 수색을 당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63483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7-168(3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법원은 영장주의에 위반하여 수집한 증거물은 당사자의 증거동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시한 바 있다. 그런데 미국에서 ‘동의’에 의한 수색을 인정할 때의 근거 중의 하나는 수색을 당하...
대법원은 영장주의에 위반하여 수집한 증거물은 당사자의 증거동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시한 바 있다. 그런데 미국에서 ‘동의’에 의한 수색을 인정할 때의 근거 중의 하나는 수색을 당하는 사람이 스스로 자신의 특권(privilege)을 포기했다는 것을 든다. 이러한 미국의 논의는 헌법상 영장주의를 당사자의 증거동의로 포기하거나 배제할 수 없다고 보는 우리 대법원의 시각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우리 헌법은 적법절차에 따라서 법관이 발부한 사전영장을 제시함을 원칙으로 명시함에 있어서 ‘불합리한’ 수색과 압수와 같은 표현을 채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미 수정헌법 제4조와 확연히 다르다. 따라서 미 수정헌법 제4조를 기반으로 한 미국 판례에서의 동의에 의한 수색의 도입을 주장하는 것은 헌법적 차원에서부터 문제의 소지가 적지 않다고 판단된다.
생각건대 동의에 의한 수색의 도입이나 인정에 대한 주장에는 동의하기 쉽지 않다. 왜냐하면 첫째로 우리 헌법은 사전 영장제도의 원칙을 천명(헌법 제12조 제3항 본문 및 제16조)하고 있으며, 사후 영장이라고 하는 예외는 어디까지나 ‘긴급한 상황’ 등에 한정하여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엄격하게 적용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동의에 의한 수색을 긍정하게 되면, 수사기관의 수색에 대해 법관의 영장에 의한 통제를 받지 않는 영역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수사권의 남용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셋째로 과연 피수색대상자의 ‘동의’가 영장의 발부를 배제할 수 있을 정도로 ‘동가치성’을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 등이 제기될 수 있다. 넷째로 ‘수사의 효율성’의 확보 등의 차원에서 ‘동의에 의한 수색’을 긍정한다고 하면, 이는 법관의 영장에 의한 수사 통제의 배제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떠한 방법으로 ‘동의에 의한 수색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preme Court has held that agreement between parties on acquired evidence in violation of warrant system have been prohibited. Consent sea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based on the idea that a person who is under investigation voluntaril...
The Supreme Court has held that agreement between parties on acquired evidence in violation of warrant system have been prohibited. Consent sea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based on the idea that a person who is under investigation voluntarily waives privilege. This idea represents a major departure from the Supreme Court of South Korea.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ipulates that Warrants issued by a judge through due procedures shall be presented in case of arrest, detention, seizure or search. In other words, the constitution does not use the word ‘unreasonable’ searches or seizures unlike the Fourth Amendment. Thus, the opinion that consent search based on the Fourth Amendment and the rulings from the U.S. Courts will be introduced has a considerable problem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n my opinion, it is not easy to agree on introduction of consent search. The first reason is that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clarifies preliminary warrant system, an exceptional ex post facto warrant principle is permitted when investigative authorities have no time to request for a warrant. Second, if consent search is introduced, blind spot where could not be controlled by judge will appear, abuse of investigation authority will be incurred. Third, a question arises of whether individuals’ consent has same value as a warrant issued by judge. Fourth, if consent search is introduced to improve efficiency of investigation, it gives rise to exclude court’s control with judge’s warrant from investigator’s search. In this point, a similar question arises how we prevent investigation authority from abuse consent 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동운, "효당 엄상섭 형사소송법 논집"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2 김용세, "형사절차상 기본권 보장을 위한 형소법규정 및 실무현실에 관한 연구: 헌법적 형사소송의 원리에 기초한 분석적 고찰"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19 (19): 53-104, 2008
3 신동운, "형사소송법제정자료집"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0
4 백형구, "형사소송법" 법원사 2012
5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16
6 차용석, "형사소송법" 21세기사 2008
7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6
8 신양균, "형사소송법" 화신미디어 2009
9 민만기, "현행 압수ㆍ수색 절차상 plain view 원칙의 적용 가능성과 입법론적 검토" 법학연구원 25 (25): 135-170, 2013
10 이찬엽, "헌법적 형사소송에 관한 연구" 아세아태평양공법학회 13 : 153-180, 2005
1 신동운, "효당 엄상섭 형사소송법 논집"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2 김용세, "형사절차상 기본권 보장을 위한 형소법규정 및 실무현실에 관한 연구: 헌법적 형사소송의 원리에 기초한 분석적 고찰"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19 (19): 53-104, 2008
3 신동운, "형사소송법제정자료집"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0
4 백형구, "형사소송법" 법원사 2012
5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16
6 차용석, "형사소송법" 21세기사 2008
7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6
8 신양균, "형사소송법" 화신미디어 2009
9 민만기, "현행 압수ㆍ수색 절차상 plain view 원칙의 적용 가능성과 입법론적 검토" 법학연구원 25 (25): 135-170, 2013
10 이찬엽, "헌법적 형사소송에 관한 연구" 아세아태평양공법학회 13 : 153-180, 2005
11 허영, "헌법이론과 헌법" 박영사 2006
12 박형관, "주거에 대한 영장 없는 압수, 수색의 법률문제" 한국법학원 146 (146): 360-390, 2015
13 문성도, "영장주의의 비교법적 고찰 - 한국 헌법 제12조 제3항과 미연방헌법 수정 제4조의규범적 특징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법학회 (24) : 163-186, 2005
14 황정인, "영장주의의 본질과 영장제도: 체포제도를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1 (21): 203-237, 2010
15 하태훈, "영장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3
16 손지영, "압수․수색절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16
17 신동운, "신형사송법" 법문사 2014
18 권오걸, "스마트 형사소송법" 형설출판사 2012
19 안동준, "수정헌법 제4조상의 “상당한 이유” 판단기준을 둘러 싼 미국판례의 흐름" 5.18연구소 7 (7): 421-444, 2007
20 김태명, "미국법상 압수·수색의 법리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법학연구소 27 (27): 257-294, 2015
21 최창호, "미국법상 동의에 의한 수색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6 (6): 283-328, 2013
22 안성수, "당사자의 동의에 의한 압수수색"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0 (10): 301-336, 2008
23 신동운, "간추린 신형사소송법" 법문사 2017
24 Brian A. Sutherland, "Whether Consent to Search was given voluntarily : a Statical Analysis of Factors that predict the Suppression Rulings of the Federal District Courts" 81 (81): 2006
25 Emily Matasar, "The Finest of Fine Fines : Randolph, Fernandez, and What remains of the Fourth Amendment when a Roommate Consents to a Search" 19 (19): 2015
26 Alexander A. Mikhalevsky, "The Conversational Consent Search" 30 (30): 2014
27 "Roving Border Patrols in New York -Sometimes the Drug Smuggler does not get convicted: the Legal Limitations Regarding Vehicle Stops and Consent Searches based upon Reasonable Suspicion" 28 (28): 2012
28 "Fourth Amendment - Search and Seizure - Eighth Circuit holds that a Cotenant’s Consent at the time of the search can overrule a suspect’s recent objection - United States v. Hudspeth, 518 F.3d 954(8th Cir. 2008)" 122 (122): 2009
29 "Fourth Amendment - Search and Seizure - Conflicted Consent When the Objecting Tenant Is Absent - Fernandez v. California" 128 (128): 2014
30 Russell L. Weaver, "Consent Searches by ignorant citizens: the Myth of “Consent”" 1195 : 2007
31 Andrew G. Perrin, "Anderson v. State : The Consent to Search Doctrine Revisited" 29 (29): 2012
32 David W. Neubauer, "America's Courts" Thomson Wadworth 2008
인공지능과 국제인권법 - 표현의 자유, 차별, 프라이버시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0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w Dong-A University -> 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Dong-A University | ![]() |
2020-04-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DONG-A LAW REVIEW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7 | 0.842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