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특허정보 기반의 바이오 기술개발 트렌드 분석 및 유망기술분야 도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Based Biotechnology Research Trend and Promising Research The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72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science and technology are emphasized as national competitiveness,major nations designate new growth engine industry and establish the effective investment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to enhance industrial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New industrial sectors such as Biotechnology and renewable energy have been spot lighted as major new growth engines and this competitive situation is getting fiercer.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each country selected and announced the future promising technological field which will produce ripple effect in the future on a regular basis. In Korea, various research institutions continue to select and announce the promising technological field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tudy the method to derive the promising technological field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spotlighted as a new growth engine by utilizing patent information. We would like to derive the major technological field by collec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tents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using IPC code based technological classification and identifying bio technological trends utilizing text mining method for analysi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rends with patents. Patent contour of US and Korea i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text mining to derive the general technological development field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After that,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research theme of promising biotechnology focuse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details on technological trends through in-depth analysis about technological field which draws interest more and mor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번역하기

      As science and technology are emphasized as national competitiveness,major nations designate new growth engine industry and establish the effective investment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to enhance industrial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through s...

      As science and technology are emphasized as national competitiveness,major nations designate new growth engine industry and establish the effective investment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to enhance industrial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New industrial sectors such as Biotechnology and renewable energy have been spot lighted as major new growth engines and this competitive situation is getting fiercer.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each country selected and announced the future promising technological field which will produce ripple effect in the future on a regular basis. In Korea, various research institutions continue to select and announce the promising technological field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tudy the method to derive the promising technological field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spotlighted as a new growth engine by utilizing patent information. We would like to derive the major technological field by collec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tents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using IPC code based technological classification and identifying bio technological trends utilizing text mining method for analysi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rends with patents. Patent contour of US and Korea i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text mining to derive the general technological development field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After that,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research theme of promising biotechnology focuse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details on technological trends through in-depth analysis about technological field which draws interest more and mor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과학기술이 국가 경쟁력으로 부각되면서 주요 국가들에서는 과학기술을 통한산업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성장동력산업을 지정하여 효과적인 투자 및 발전전략을수립하고 있다. 주요 신성장동력으로는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 신산업 분야가 각광받고 있으며, 점차 치열한 경쟁구도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국가별로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는 정기적으로 향후 파급효과를 나타낼 미래유망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다양한 연구기관들이 지속적으로 유망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분야의 미래유망기술 분야 도출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허를 통한 기술개발 동향분석을 위해 IPC 코드에 기반한 기술분류를 이용하여 바이오분야의 국내외 특허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바이오기술개발 트렌드를 파악하고 유망기술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미국과 우리나라의 특허등고선을 비교분석하여 바이오분야의 전반적 기술개발 분야를 도출한 후,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술분야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한 세부적인 기술동향 파악으로 바이오 유망기술분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과학기술이 국가 경쟁력으로 부각되면서 주요 국가들에서는 과학기술을 통한산업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성장동력산업을 지정하여 효과적인 투자 및 발전전략을수립하고 있다. 주요...

      과학기술이 국가 경쟁력으로 부각되면서 주요 국가들에서는 과학기술을 통한산업발전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신성장동력산업을 지정하여 효과적인 투자 및 발전전략을수립하고 있다. 주요 신성장동력으로는 바이오, 신재생에너지 등 신산업 분야가 각광받고 있으며, 점차 치열한 경쟁구도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각 국가별로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는 정기적으로 향후 파급효과를 나타낼 미래유망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다양한 연구기관들이 지속적으로 유망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특허정보를 활용하여 신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는 바이오분야의 미래유망기술 분야 도출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특허를 통한 기술개발 동향분석을 위해 IPC 코드에 기반한 기술분류를 이용하여 바이오분야의 국내외 특허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바이오기술개발 트렌드를 파악하고 유망기술분야를 도출하고자 한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미국과 우리나라의 특허등고선을 비교분석하여 바이오분야의 전반적 기술개발 분야를 도출한 후,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술분야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한 세부적인 기술동향 파악으로 바이오 유망기술분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대학교, "특허지도에서의 공백기술의 발견을 통한 신제품개발 지원 시스템의 개발" 2003

      2 강희종, "특허분석을 통한 유망융합기술의 예측" 기술경영경제학회 14 (14): 93-116, 2006

      3 김방룡, "특허 정보를 활용한 IT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34 (34): 1021-1030, 2009

      4 이우형, "정보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유망기술 탐색"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7 (17): 235-254, 2008

      5 특허청, "응용산업 및 세부기술별 생명공학분야 기술분류"

      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유망기술 도출방법론 개발" 2007

      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새로운 예측프로세스를 적용한 미래유망기술 발굴 및 미래사회 전망" 2009

      8 감주식, "바이오 미래유망 연구분야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15 (15): 345-368, 2012

      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미래전망과 유망기술발굴 기능고도화에 관한 연구" 2009

      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미래기술 정보 탐색 및 분석" 2009

      1 서울대학교, "특허지도에서의 공백기술의 발견을 통한 신제품개발 지원 시스템의 개발" 2003

      2 강희종, "특허분석을 통한 유망융합기술의 예측" 기술경영경제학회 14 (14): 93-116, 2006

      3 김방룡, "특허 정보를 활용한 IT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34 (34): 1021-1030, 2009

      4 이우형, "정보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유망기술 탐색"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7 (17): 235-254, 2008

      5 특허청, "응용산업 및 세부기술별 생명공학분야 기술분류"

      6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유망기술 도출방법론 개발" 2007

      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새로운 예측프로세스를 적용한 미래유망기술 발굴 및 미래사회 전망" 2009

      8 감주식, "바이오 미래유망 연구분야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15 (15): 345-368, 2012

      9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미래전망과 유망기술발굴 기능고도화에 관한 연구" 2009

      1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미래기술 정보 탐색 및 분석" 2009

      11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미국의 기술예측 동향 및 기법 분석을 통한 미래 기술예측 선진모델 도출" 2010

      12 권성훈, "델파이 기술예측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 관한 연구" 기술경영경제학회 17 (17): 97-118, 2009

      13 서민우, "국방정보화 전망과 미래 유망 국방정보기술 발굴" 기술경영경제학회 19 (19): 77-98, 2011

      14 WIPO, "World patent report: IPC and technology concordance table" 2008

      15 Kim, Y., "Visualization of patent analysis for emerging technology" 34 : 1804-1812, 2008

      16 Michele Fattori, "Text mining applied to patent mapping: a practical business case" 25 : 335-342, 2003

      17 Reinhard Haupt, "Patent indicators for the technology life cycle development" 36 : 387-398, 2007

      18 Tugrul U. Daim, "Forecasting emerging technologies: Use of bibliometrics and patent analysis" 73 : 981-1012, 2006

      19 Van der Valk, T., "Conceptualizing patterns in the dynamics of emerging technologies: The case of biotechnology developments in the Netherlands" 29 : 247-264, 2009

      20 Lee, S., "Business planning based on technological capabilities: Patent analysis for technology-driven roadmapping" 76 : 769-786, 2009

      21 Lee, S., "An appoach to discovery new technology opportunities: Keyword-based patent map approach" 29 : 481-497, 2009

      22 Yoon, B., "A text-mining-based patent network: Analytical tool for high-technology trend" 15 : 37-50, 2004

      2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2년 KISTEP 선정 10대 미래유망기술"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기슬혁신연구 -> 기술혁신연구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2 1.20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