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명공학 정책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방안 - 유전자교정기술의 사회적 수용제고를 중심으로 - = Plan for establishing cooperative governance of biotechnology policy -Focusing on enhancing social acceptance of gene editing techn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8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모든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회적 수용과 공진화한다. 아무리 훌륭하여도 사회적 수용이 낮은 기술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세계는 인류 최고의 기술로 선정된 유전자 교정기술의 주도권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이에 사회적 수용을 제고하기 위한 협력적 거버너스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실태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Ansell & Gash 모델에서 제시한 거버넌스 참여자의 초기조건, 제도적 설계 및 촉진적 리더십에 대해 분석하였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의 설문조사와 거버넌스 참여기관의 사회연결망 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일반인의 정보 접근 편의성과 내용을 쌍방 교류할 수 있는 정보공유시스템의 항시적 운영, 둘째, 다양한 분야에서 대표성과 절차적 공정성이 확보된 공식적 소통·조정 위원회의 제도화, 셋째, 전 과정에 촉진적 리더십이 작동하도록 관련 부처의 축소화 및 컨트롤타워 신설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제도적 설계와 촉진적 리더십이 부족한 상황에서의 참여 확대는 오히려 관점의 차이로 갈등 심화와 거버넌스의 도구화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을 함의로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모든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회적 수용과 공진화한다. 아무리 훌륭하여도 사회적 수용이 낮은 기술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세계는 인류 최고의 기술로 선정된 유전자 교정기술의 주도권을 위...

      모든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회적 수용과 공진화한다. 아무리 훌륭하여도 사회적 수용이 낮은 기술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세계는 인류 최고의 기술로 선정된 유전자 교정기술의 주도권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이에 사회적 수용을 제고하기 위한 협력적 거버너스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실태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Ansell & Gash 모델에서 제시한 거버넌스 참여자의 초기조건, 제도적 설계 및 촉진적 리더십에 대해 분석하였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최근 3년간의 설문조사와 거버넌스 참여기관의 사회연결망 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일반인의 정보 접근 편의성과 내용을 쌍방 교류할 수 있는 정보공유시스템의 항시적 운영, 둘째, 다양한 분야에서 대표성과 절차적 공정성이 확보된 공식적 소통·조정 위원회의 제도화, 셋째, 전 과정에 촉진적 리더십이 작동하도록 관련 부처의 축소화 및 컨트롤타워 신설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제도적 설계와 촉진적 리더십이 부족한 상황에서의 참여 확대는 오히려 관점의 차이로 갈등 심화와 거버넌스의 도구화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을 함의로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l technological advances coevolve with social acceptance. This is because technologies with low social acceptance disappear no matter how good they are. The world is competing for the initiative in gene editing technology, which has been selected as the best technology for mankind. This must be accompanied by cooperative governance to enhance social accep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 construction pla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ooperative governance.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ing the initial conditions, institutional design, and facilitating leadership of governance participants presented in the Ansell & Gash model, and utilizing the results of surveys of the general public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social network surveys of governance participating institutions.To resolve this problem, I will propose the following three. First, the constant operation of an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can exchange the convenience and content of information for the general public, seco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n official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committee with representativeness and procedural fairness in various fields, and third, the reduction of related ministri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ol tower for facilitating leadership throughout the process were derive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a situation where institutional design and facilitating leadership is lacking,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rather leads to intensifying conflict and instrumentalization of governance due to differences in perspective.
      번역하기

      All technological advances coevolve with social acceptance. This is because technologies with low social acceptance disappear no matter how good they are. The world is competing for the initiative in gene editing technology, which has been selected as...

      All technological advances coevolve with social acceptance. This is because technologies with low social acceptance disappear no matter how good they are. The world is competing for the initiative in gene editing technology, which has been selected as the best technology for mankind. This must be accompanied by cooperative governance to enhance social accep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 construction pla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ooperative governance.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ing the initial conditions, institutional design, and facilitating leadership of governance participants presented in the Ansell & Gash model, and utilizing the results of surveys of the general public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social network surveys of governance participating institutions.To resolve this problem, I will propose the following three. First, the constant operation of an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can exchange the convenience and content of information for the general public, seco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n official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committee with representativeness and procedural fairness in various fields, and third, the reduction of related ministri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ol tower for facilitating leadership throughout the process were derived.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 a situation where institutional design and facilitating leadership is lacking,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rather leads to intensifying conflict and instrumentalization of governance due to differences in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반정민 ; 정홍상, "화진훈련장 이전 관련 민・관・군 협력적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7 (27): 193-210, 2023

      2 전주희, "협력적 문화 거버넌스에서 문화예술단체의 참여" 성균관대학교 2017

      3 채선화 ; 나종민, "협력적 거버넌스에서 공공관리자의 역할: 한국의 교육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60 (60): 149-181, 2022

      4 조만형 ; 김이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광명시와 구로구간 환경기초시설 빅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 (20): 215-239, 2009

      5 박진희, "이머징 기술위험과 참여적 리스크 거버넌스" 26 (26): 36-47, 2016

      6 김종미 ; 윤동엽, "위험사회의 거버넌스 실효성 연구: 생명공학기술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23 (23): 323-346, 2019

      7 김종미 ; 박혜림, "생명공학정책의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사회적 수용 및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4 (34): 1-23, 2020

      8 정진화, "생명공학의 발전과 정치: 생명정책 거버넌스의 모색"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5 (5): 49-75, 2021

      9 조현석, "생명공학의 글로벌 거버넌스: 미국-유럽 GMO 무역 분쟁 사례" 21세기정치학회 18 (18): 211-232, 2008

      10 김종미 ; 김재원 ; 송용찬, "생명공학의 가치체계가 사회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 유전자 교정기술의 안전성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6 (36): 1-21, 2022

      1 반정민 ; 정홍상, "화진훈련장 이전 관련 민・관・군 협력적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7 (27): 193-210, 2023

      2 전주희, "협력적 문화 거버넌스에서 문화예술단체의 참여" 성균관대학교 2017

      3 채선화 ; 나종민, "협력적 거버넌스에서 공공관리자의 역할: 한국의 교육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60 (60): 149-181, 2022

      4 조만형 ; 김이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광명시와 구로구간 환경기초시설 빅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0 (20): 215-239, 2009

      5 박진희, "이머징 기술위험과 참여적 리스크 거버넌스" 26 (26): 36-47, 2016

      6 김종미 ; 윤동엽, "위험사회의 거버넌스 실효성 연구: 생명공학기술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23 (23): 323-346, 2019

      7 김종미 ; 박혜림, "생명공학정책의 진단과 발전방안 연구: 사회적 수용 및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4 (34): 1-23, 2020

      8 정진화, "생명공학의 발전과 정치: 생명정책 거버넌스의 모색" (재) 국가생명윤리정책원 5 (5): 49-75, 2021

      9 조현석, "생명공학의 글로벌 거버넌스: 미국-유럽 GMO 무역 분쟁 사례" 21세기정치학회 18 (18): 211-232, 2008

      10 김종미 ; 김재원 ; 송용찬, "생명공학의 가치체계가 사회적 수용에 미치는 영향: 유전자 교정기술의 안전성 가치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6 (36): 1-21, 2022

      11 김종미 ; 정석창, "생명공학 거버넌스의 인과경로 분석" 한국비교정부학회 22 (22): 163-188, 2018

      12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1

      13 박진형, "부산지역 혁신교육지구의 협력적 거버넌스 분석"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5 (25): 277-303, 2022

      14 이재은, "발전원 위험의 사회적 수용결정요인" 687-707, 2006

      15 이명석, "거버넌스 신드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1

      16 Renn, O., "Risk Governance-towards an Integrative Approach" Iinternational Risk Governance Council 2005

      17 김정훈, "Q방법론을 활용한 재난 거버넌스의 구성요소에 대한 주관적 인식 연구: Ansell & Gash(2008)의 협력적 거버넌스 모형을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23 (23): 179-203, 2023

      18 김종미 ; 정석창, "GM 수용성의 인과구조에 관한 다중집단 분석 - 소비자, 공급자, 전문가집단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9 (29): 139-168, 2015

      19 Ansell, C.,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18 (18): 543-571, 2008

      20 Tait, J., "Adaptive Governance of Synthetic Biology" 13 (13): 579-,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