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전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인구 중 80%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일상생활의 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17752
서울: 동국대학교, 2015
학위논문(석사) --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 멀티미디어학과 , 2015. 8
2015
한국어
005.26 판사항(22)
서울
69 p.: 삽도; 26 cm.
동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정진헌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는 전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인구 중 80%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일상생활의 필...
21세기는 전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인구 중 80%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될 일상생활의 필수품이 되었다. 이중 실버세대의 사용자들은 시각적, 청각적, 물리적인 노화가 진행되고 있고, 정보의 80% 이상을 처리하는 시각이 노화함에 따라 GUI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GUI의 기본 구성 요소인 색상, 글자(text), 아이콘(icon) 요소에 대해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조사함으로써 적합한 시각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GUI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논문 및 관련서적 등의 내용을 고찰하여 UX디자인 전문가와 평가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설문에 필요한 화면을 디자인 및 제작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실버세대 65세 이상 남녀 101명을 조사하였고, 이 중 평가 대상군을 65세?70세, 71세?80세, 81세 이상으로 나누었으며 남녀 비율은 남성 41명, 여성 60명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방법으로 조사대상자의 연령대를 고려하여 연구자가 설문대상자에게 질문을 상세히 설명해 드리고 답변을 연구자가 기재하는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조사 수행시 VEGA R3 스마트폰 3대의 화면에서 그래픽 타입을 비교 평가 할 수 있도록 조사 환경을 조성하였다.
첫째, 글자는 검정, 회색, 흰색배경 중 어느 색상에서 가독성이 좋은가? 둘째, 5.3inch 화면에서 선호하는 글자크기와 글자체는 무엇인가? 셋째, 선호하는 아이콘 타입은 무엇이며 적합하게 생각하는 아이콘의 레이아웃은 무엇인가? 넷째, 선호하는 아이콘 색상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색의 선호도는 텍스트와 아이콘 요소에서 검정색배경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이들 요소는 검정배경일 때 시인성과 가독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GUI Theme를 결정할 경우 검정색으로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가독성이 좋은 서체는 돋움, 굴림 순으로 선호도가 높게 조사됨에 따라 글자의 끝부분이 깔끔하게 마무리된 산세리프체가 가독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아이콘 타입은 아이콘의 사각형배경이 있는 픽토스타일을 선호하였고 아이콘 레이아웃은 3x4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메뉴바의 아이콘 색상은 채도가 높은 순인 A사, P사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기 때문에 아이콘을 제작할 경우 채도가 높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실버세대를 고려한 GUI가 효과적으로 디자인된다면 질적인 삶의 영위가 가능할 것이고 더불어 사회적인 소외감으로 인한 박탈감 또한 덜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고려하여 GUI를 디자인한다면 그 사용성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st Century is getting into Super aging society worldwide basis. Currently, 80% of Korean population uses smartphone and it has become an essential commodity for the good quality of everyday life. Among those population, silver(aged) generation users...
1st Century is getting into Super aging society worldwide basis. Currently, 80% of Korean population uses smartphone and it has become an essential commodity for the good quality of everyday life. Among those population, silver(aged) generation users’ physical condition, such as sight, hearing and body, is getting older, especially sight ability which processes 80% of input data, it requires us studying new smartphone GUI designs convergence for the elderly. In light of this social phenomenon, this study suggests smartphone GUI designs convergence guideline for the silver generation through the research of text, icon which are basic elements of smartphone GUI with proper visual attributes. I had inferred UX designs, expert group and evaluation categories from existing papers, related books and designed some displays for the survey. and for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101 males and females whose ages were over 65 and lived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cities were investigated, the target groups were divided into those of their ages ranged 65∼70, 71~80 and over 81 and ratio of male and female was 41 males and 60 females.
The questionnaire survey carried out in the way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questions in detail to the objects and filled in the forms considering the ages of the objects as the method of survey.
And, the investigation environment was established to compare and evaluate graphic type in 3 units of smart phone, VEGA R3 when performing the investigation.
First, in which colors do the characters show the better readability among black, grey and white background? Second, what is the preferred character size and font in the screen of 5.3 inches? Third, what is the preferred icon type and what is the layout of icon that i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urth, what is the preferred color of ic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ing.
First, as the black background showed the high preference in the factors of text and icon, it could be judged that those factors showed the high visibility and readability when the background was black. So, it was needed to be black color when deciding GUI theme.
Second, as Dotum and Gulim fonts were investigated as the ones with good readability in sequential order, it was recognized that sans serif font that has the good outlines turned out to have the good readability.
Third, picto style that has square-shaped outline was preferred as icon type and they answered 3x4 was proper as the layout of icon.
Fourth, now that the preference of icon color for menu bar was shown company A and B in sequential order of satura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saturation should be high when producing the icons.
It was judged that qualified life could be enjoyed if GUI that considers silver generation was designed efficiently and the deprivation caused by social alienation could be reduced as well. So, if GUI is designed by considering smart phone users in silver gener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usability would be improved much mo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