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서해안 2개 갯벌지역 수평망식 굴, Crassostrea gigas의 성장과 폐사 비교 연구 = Comparisons of Growth and Mortality of the Mudflat Oyster Crassostrea gigas by the Net Bag Rack Culture System in Two Districts in Wester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1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mudflat oyster aquafarms to clarify effects of the mudflat environmental factors on growth and mortality of the mudflat oyster Crassostrea gigas by the Net Bag Rack Culture System in two districts i...

      We investigate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mudflat oyster aquafarms to clarify effects of the mudflat environmental factors on growth and mortality of the mudflat oyster Crassostrea gigas by the Net Bag Rack Culture System in two districts in Western Korea. Although the suitable sites of the singe mudflat oyster aquafarm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west coast of Korea, we have much difficulties in selection because the investigations on the regional growth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growh charateristics have been still not carried out at all. In this study, we have carried out the basic environmental investigation on growth of the single mudflat, water quality and sediments, etc. in Taean and Seosan districts, Choongcheongnam-do, where the single mudflat oyster Aquaculture have been performed by the net bag rack culture system. In June 2011 when the final survey carried out at the two districts in western Korea, the mortality in Seosan district was higher than that in Tae-an district. In this study, the growths of the single mudflat oyster by the net bag rack culture system in Taean district were larger than those in Seosan district. It is assumed that air temperatur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summer and winter seasons largely effected on survival of the single mudflat oyster. Aquaculture conditions in Taean district is more suitable than those in Seosan district. Judging from the results of growth and mortality of the single mudflat oysters investigated at two sites of Jinsan-ri in Taean and Chang-ri in Seosan districts, two results of Taean district showed higher growth and lower mortality than those of Seosan district. Therefore, Taean district appeared to be more suited for the inhabit conditions than those of Seosan district. It is assumed that the proper acceptable density possible for growth of the mudflat seeds and the secure of economics, in case of plastic cultivate net with the size of 50 x 80 cm, are about 200 individuals. In this study, It was clarified that selection of the suitable sites, the input into the net bag of high quality oyster seeds and selective dispersion in the optimal density of the single mudflat oyster have an effect on growth and mortality of the mudflat oyster. From 2012 year, Korean government selected the single mudflat oyster as one of the 10 big high value-added stretegic items, and has continued to promote as eco-friendly Aquaculture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서해안 2개 지역에서 수평망식 갯벌 굴의 성장과 폐사에 미치는 갯벌 환경요인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갯벌 굴 양식장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갯벌 굴의 양식 적지는 주로 서해안에 산...

      한국 서해안 2개 지역에서 수평망식 갯벌 굴의 성장과 폐사에 미치는 갯벌 환경요인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갯벌 굴 양식장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갯벌 굴의 양식 적지는 주로 서해안에 산재되어 있으나 지역별 생육환경 및 성장특성은 아직까지 전혀 조사된 바가 없어 양식적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평망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충남 태안지역과 서산지역에 대한 갯벌 굴의 성장 및 수질, 저질등에 관한 기초 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하계 및 동계의 기온과 수온, 염분 등은 갯벌 굴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양식여건은 서산에 비해 태안지역이 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 굴의 성장과 사망률을 측정한 결과태안지역이 서산지역에 비해 높은 성장률과 낮은 사망률을 보였다. 폐사율 역시 종료 시점인 2011년 6월에 서산지역의 폐사율이 높았다. 수평망식 갯벌 굴의 성장은 태안지역이 서산지역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갯벌 굴 종패의 성장 및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적정 수용밀도는 50 × 80 cm 크기의 플라스틱양성망의 경우 200개체 내외가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 갯벌굴의 양식적지 선정 및 우량종패의 입식과 적정 밀도로의 선별분산은 갯벌 굴의 성장과 폐사에 크게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양식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정부에서는 2012년부터 갯벌 굴을 수산물 10대 고부가가치 전략품목으로 선정하여 친환경 양식 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배,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양식시 살포시기와 환경 특성의 영향" 한국양식학회 20 (20): 31-40, 2007

      2 한명수, "태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과 바지락의 먹이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 26 (26): 145-158, 2008

      3 신윤경, "참굴, Crassostrea gigas의 대사율에 미치는 수온 및 개체크기의 영향" 한국패류학회 24 (24): 261-267, 2008

      4 박흥식, "저서생물상을 이용한 진해만 수하식 양식장의 저서환경 평가"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5 (5): 7-75, 2002

      5 이정미, "수하시기에 따른 참굴 인공종묘의 성장 비교" 한국패류학회 24 (24): 109-119, 2008

      6 신윤경,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온도 및 염분 내성" 33 (33): 213-218, 2000

      7 박종수, "굴 양식수역의 환경용량 산정 I.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거제 한산만 굴 먹이 공급량 추정" 한국수산과학회 35 (35): 395-407, 2002

      8 임현정, "갯벌참굴 (Crassostrea gigas) 양식을 위한 부착기질별 하나굴 종묘 생산과 수평망식 시설을 이용한 배수체별 치패 성장 비교" 한국수산과학회 44 (44): 259-266, 2011

      9 박영철, "가막만 양식 참굴의 성장과 환경용량 추정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 20 (20): 15-385, 2002

      10 Kim, Y.H., "oyster culture. in: invertebrate culture" Daekyoung press 11-69, 1999

      1 김정배,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Schrenck) 양식시 살포시기와 환경 특성의 영향" 한국양식학회 20 (20): 31-40, 2007

      2 한명수, "태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참굴과 바지락의 먹이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 26 (26): 145-158, 2008

      3 신윤경, "참굴, Crassostrea gigas의 대사율에 미치는 수온 및 개체크기의 영향" 한국패류학회 24 (24): 261-267, 2008

      4 박흥식, "저서생물상을 이용한 진해만 수하식 양식장의 저서환경 평가"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5 (5): 7-75, 2002

      5 이정미, "수하시기에 따른 참굴 인공종묘의 성장 비교" 한국패류학회 24 (24): 109-119, 2008

      6 신윤경,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의 온도 및 염분 내성" 33 (33): 213-218, 2000

      7 박종수, "굴 양식수역의 환경용량 산정 I.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거제 한산만 굴 먹이 공급량 추정" 한국수산과학회 35 (35): 395-407, 2002

      8 임현정, "갯벌참굴 (Crassostrea gigas) 양식을 위한 부착기질별 하나굴 종묘 생산과 수평망식 시설을 이용한 배수체별 치패 성장 비교" 한국수산과학회 44 (44): 259-266, 2011

      9 박영철, "가막만 양식 참굴의 성장과 환경용량 추정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 20 (20): 15-385, 2002

      10 Kim, Y.H., "oyster culture. in: invertebrate culture" Daekyoung press 11-69, 1999

      11 Shumway, S., "The effects of fluctuating salinity on the tissue water content of eight of bivalve molluscs" 116 : 269-285, 1977

      12 Widdows, J., "The effects of fluctuating and abrupt changes in salinity on the performance of Mytilus edulis, In Marine Biology of Polar Regions and effect of stress on marine orgarism" Wiley-Interscience 555-566, 1985

      13 Hyun, K.H., "The effect of food composition o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hunberg) growth in Korea: a modeling study" 199 : 41-62, 2001

      14 Jeong, W.G., "Suspended Time Dependenrt Meart Weight Increase of Oyster, Crassostrea gigas, in Pukman Bay, Korea" 15 (15): 41-47, 1999

      15 Soletchnik, P., "Summer Mortality of Crassostrea gigas (Tthunberg) in Relation to Environmental Rearing Conditions" 24 (24): 197-207, 2005

      16 Min, K.S., "Studies on the artificial apat collection method for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hunberg)" 57 : 35-41, 1999

      17 Jeong, W.G., "Studies on Proper Management of Oyster Farms in Pukman Bay, Korea. Ⅰ" 12 : 83-93, 1999

      18 Kim, B.Y., "Studies on Artificial Seeding Production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1996

      19 Lacoste, A., "Stress-induced immune chanfes in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26 : 1-9, 2002

      20 Royer, J., "Spatio-Temporal Changes in mortality, Growth and condition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Normandy (FRANCE)" 26 : 973-984, 2007

      21 Beaumont, A.R, "Ploidy Manipulation in molluscan shellfish: a review" 10 : 1-18, 1991

      22 Kinne, O., "Physiological of esturain organism with special reference to salinity and temperature: general aspect, In Esturaies"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525-540, 1967

      23 Cho, C.H., "Microenvironment in Oyster Farm Area 1. On the Eutrophication and Raft Density in Geoje Bay" 10 (10): 259-265, 1977

      24 Choi, S.D., "Mass Mortality of Oyster, Crassostrea gigas in kamark Bay 1. Environmental Factors Oyster Farming Area" 8 : 259-266, 1999

      25 Rico-Villa, B., "Influence of food density and temperature on ingestion, growth and settlement of Pacific oyster larvae, Crassostrea gigas" 287 : 395-401, 2009

      26 Davis, C.V., "Growth and survival of selected lines of eastern oysters, Crassostrea uirginica (Gmelin, 1791) affected by juvenile oyster disease" 178 : 253-271, 1999

      27 Mineur, F., "Experimental assessment of oyster transfers as a vector for macroalgal introductions" 137 : 237-247, 2007

      28 Hand, S.C., "Effects of tidal fluctuations of salinity on pericadial fluid composition of the American Crassostrea virginica" 42 : 259-271, 1977

      29 Gagnaire, B.,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haemocyte activities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hunberg)" 20 : 536-547, 2006

      30 Summerhayes, S.A., "Effects of oyster death and shell disarticulation on associated communities of epibiota" 379 : 60-67, 2009

      31 Bae, P.A., "Effects of Nursery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11 (11): 391-400, 1998

      32 Cheung, S.G., "Effect of salinity, temperature and acclimation on oxygen consumption of Nassarius festivus (Powys 1984) (Gastropoda: Nassatius festiidae)" 111 : 625-631, 1984

      33 Kheder, R.B., "Effect of nutrition on Crassostrea gigas larval development and the evolution of physiological indices. Part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et effects" 305 : 165-173, 2010

      34 Kim, Y.S., "Effciency of energy transfer by a population of the farm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in Geoje-Hansan Bay" 13 : 179-193, 1980

      35 Montes, J., "Determining culture strategies in populations of the European flat oyster, Ostrea edulis, affected by bonamiosis" 220 : 175-182, 2003

      36 Yoo, S.K., "Blological Studies on Oyter culture(Ⅲ)" 13 (13): 207-212, 1981

      37 Guo, X., "All-triploid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Thunberg) produced by mating tetraploids and diploids" 142 : 149-161, 1996

      38 Calvo, G.W., "A Comparative Field Study of Crassostrea ariakensis and Crassostrea virginica in Relation to Salinity in Virgini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331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