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농촌공간변화와 ‘국가-농장원’의 행위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Rural Space and the Behavior Strategy of ‘State-Farmers’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4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ural homes are being built throughout North Korea in 2022. North Korea is promoting chang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tructure, improvement of the rural living environment, and reform of farmers' consciousness and cultural life. This is called 'socialist civilization'. But, The state and the actor of farmers have different aims and purposes. The state is constantly implementing the policy of becoming a farm worker, and farmers are continuously accumulating the experience of breaking away from the farm worker.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strategy of the country and the behavior of being a farm worker in North Korea's rural space. In addition, it was studied that in North Korea's rural space, farm workers who want to become de-farmers and farm workers of the civilized socialist class coexist, and the dual nature of the state-dependent farmers and farmers-dependent states intersect.
      In conclusion, the rural spatial strategy developed by the state and the policies of the peasant class will continue. However, the country's financial resources are insufficient and investment capacity is insufficient. It is skeptical that the state takes control of the rural space and entrenched the peasant class.
      번역하기

      Rural homes are being built throughout North Korea in 2022. North Korea is promoting chang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tructure, improvement of the rural living environment, and reform of farmers' consciousness and cultural life. This is called ...

      Rural homes are being built throughout North Korea in 2022. North Korea is promoting changes in the agricultural production structure, improvement of the rural living environment, and reform of farmers' consciousness and cultural life. This is called 'socialist civilization'. But, The state and the actor of farmers have different aims and purposes. The state is constantly implementing the policy of becoming a farm worker, and farmers are continuously accumulating the experience of breaking away from the farm worker.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strategy of the country and the behavior of being a farm worker in North Korea's rural space. In addition, it was studied that in North Korea's rural space, farm workers who want to become de-farmers and farm workers of the civilized socialist class coexist, and the dual nature of the state-dependent farmers and farmers-dependent states intersect.
      In conclusion, the rural spatial strategy developed by the state and the policies of the peasant class will continue. However, the country's financial resources are insufficient and investment capacity is insufficient. It is skeptical that the state takes control of the rural space and entrenched the peasant cla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22년 북한 전역에서 농촌살림집이 건설되고 있으며, 농업생산구조의 변화, 농촌생활환경의 개선, 농장원의 의식과 문화생활 개변을 ‘사회주의 문명’의 이름으로 추동하고 있다. 농촌 공간을 둘러싼 국가와 농민이라는 행위자는 지향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국가는 끊임없이 ‘농장원 되기’의 정책을 수행하고, 농민은 지속적으로 ‘농장원 탈피’의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공간에서 행해지고 있는 국가의 공간 전략과 농장원의 되기(becoming)의 행위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북한의 농촌 공간에는 탈농민화 하려는 농장원과 문명화된 사회주의 계급으로서의 농장원이 공존하며, 국가-의존적인 농민과 농민-의존적인 국가가 실재하는 이중성이 교차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었다. 결론적으로 국가가 틀어쥔 농촌 공간과 농민계급의 정책은 유효할 것으로 보이나, 미비한 국가의 재원과 투자 여력이 얼마만큼 농촌 공간을 장악하고 농민계급을 고착시킬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라고 보았다.
      번역하기

      2022년 북한 전역에서 농촌살림집이 건설되고 있으며, 농업생산구조의 변화, 농촌생활환경의 개선, 농장원의 의식과 문화생활 개변을 ‘사회주의 문명’의 이름으로 추동하고 있다. 농촌 공...

      2022년 북한 전역에서 농촌살림집이 건설되고 있으며, 농업생산구조의 변화, 농촌생활환경의 개선, 농장원의 의식과 문화생활 개변을 ‘사회주의 문명’의 이름으로 추동하고 있다. 농촌 공간을 둘러싼 국가와 농민이라는 행위자는 지향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국가는 끊임없이 ‘농장원 되기’의 정책을 수행하고, 농민은 지속적으로 ‘농장원 탈피’의 경험을 축적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공간에서 행해지고 있는 국가의 공간 전략과 농장원의 되기(becoming)의 행위를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북한의 농촌 공간에는 탈농민화 하려는 농장원과 문명화된 사회주의 계급으로서의 농장원이 공존하며, 국가-의존적인 농민과 농민-의존적인 국가가 실재하는 이중성이 교차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었다. 결론적으로 국가가 틀어쥔 농촌 공간과 농민계급의 정책은 유효할 것으로 보이나, 미비한 국가의 재원과 투자 여력이 얼마만큼 농촌 공간을 장악하고 농민계급을 고착시킬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라고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대호, "협동농장관리운영경험" 사회과학출판사 1989

      2 북한통계포털, "행정구역명" 통일부

      3 질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03

      4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김천식, "주체의 계급리론"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1

      6 김상선, "주민등록사업참고서" 사회안전부출판사 1993

      7 "조선중앙통신"

      8 "조선의 오늘"

      9 김필수,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생산력배치에 관한 탁월한 리론" 사회과학출판사 1975

      10 박희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북한의 식량·안보체계 강화와 남북관계 전망" 138-157, 2022

      1 오대호, "협동농장관리운영경험" 사회과학출판사 1989

      2 북한통계포털, "행정구역명" 통일부

      3 질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새물결 2003

      4 질 들뢰즈,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5 김천식, "주체의 계급리론"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2001

      6 김상선, "주민등록사업참고서" 사회안전부출판사 1993

      7 "조선중앙통신"

      8 "조선의 오늘"

      9 김필수,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생산력배치에 관한 탁월한 리론" 사회과학출판사 1975

      10 박희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북한의 식량·안보체계 강화와 남북관계 전망" 138-157, 2022

      11 "우리민족끼리"

      12 현인애, "북한의 주민등록제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3 차문석, "북한의 신노동자 일공(日工)과 혼종성: 혼종, 변동 그리고 경계" 북한학연구소 16 (16): 159-190, 2020

      14 권태진, "북한의 농업부문 시장화 실태와 전망" 249 : 1-16, 2018

      15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북한사회Brief-도시화"

      16 라이너 도멜스, "북한도시의 내부구조에 관한 연구" 북한학연구소 12 (12): 37-64, 2016

      17 박성열, "북한도시 선행연구 분석" 42-46, 2021

      18 정은찬, "북한 협동농장 개혁에 대한 고찰: 협동농장 경영방식 변화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아세아문제연구원 65 (65): 209-239, 2022

      19 최지영, "북한 일상생활 공동체의 변화" 통일연구원 187-, 2021

      20 차은지, "북한 사회구조 변화와 농민층의 사회불평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1 박희진, "북한 도시-농촌의 연접공간과 파생되는 계층들" 평화연구소 7 (7): 211-241, 2020

      22 양문수, "북한 8차 당대회가 북한경제 및 농업에 미치는 영향" 22 (22): 3-17, 2021

      23 우약영, "북·중 농업관리체계 비교와 북한 농업 전망" 46-51, 2022

      24 "민주조선"

      25 "류경"

      26 "로동신문, 2019.12.30. 2022.01.06. 2022.01.11. 2022.05.08. 2022.05.10. 2022.07.16. 2022.07.25. 2022.08.04. 2022.08.13. 2022.08.26. 2022.09.14. 2022.09.23. 2022.09.25. 2022.11.07. 2022.11.15. 2022.11.16. 2022.11.21. 2022.11.25. 2022.11.28"

      27 아르노 빌라니, "들뢰즈 개념어 사전" 갈무리 2013

      28 임을출, "김정은 시대의 북한 경제: 사금융과 돈주" 한울아카데미 145-, 2016

      29 김경미, "김정은 시대 북한 농업정책의 변화" 136-137, 2019

      30 최용호, "김정은 시대 북한 농업부문 개혁 및 정책 동향과 과제" 68 : 68-96, 2021

      31 이상림, "고난의 행군기 이후의 북한 내 인구이동: 도시-농촌 간 인구이동" 평화문제연구소 25 (25): 29-60, 2013

      32 조문영, "계급적 소비의 거부: 중국 하얼빈 노동자 빈곤층의 주택 구입 열망을 바라보는 인류학적 시선" 한국문화인류학회 44 (44): 79-119, 2011

      33 김소영, "경제위기 이후 북한 농업부문의 계획과 시장" 북한대학원대학교 2017

      34 Bryn Rosenfeld, "The Autocratic Middle Class: How State Deendency Reduces the demand for Democrac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35 Judith Pallot, "Russia’s Unknown Agriculture: Household Production in Post-Communist Russia"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6 Mark Weber, "Economy and Society: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Bedminster Press 1968

      37 "Daily NK"

      38 최봉대, "1990년대 말 이후 북한 도시 사적 부문의 시장화와 도시가구의 경제적 계층분화 - 개별가구의 비공식적 연결망자원의 계층화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북한대학원대학교 11 (11): 7-41,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