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물들의 플랫폼으로서 디지털 폴리스와 행위자 네트워크 - 블랙박스를 펼치는 물의 정치를 향하여 = Actor-networks Theory and Digital polis as a platform of things -Toward a politics of things unfolding a black bo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747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standing anthropocene as a product of modernity and critiquing it, this paper seeks to explore a digital polis that escapes the utopian image of linear historical developm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community assumed by modernity. In order to do so, it proposes to present the digital polis as a platform of things through the turn to things and actor network theory, to explain black-boxing and digital task-scape as one aspect of digital polis, and to transform the community of the digital polis into a filed of politics of things. The politics of things appears as a strategy of becoming-imperceptibility and how not to be seen, and it reveals the capacity of utopia as a non-existent place by unfolding heterogeneous networks.
      번역하기

      Understanding anthropocene as a product of modernity and critiquing it, this paper seeks to explore a digital polis that escapes the utopian image of linear historical developm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community assumed by mode...

      Understanding anthropocene as a product of modernity and critiquing it, this paper seeks to explore a digital polis that escapes the utopian image of linear historical developmen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echnological community assumed by modernity. In order to do so, it proposes to present the digital polis as a platform of things through the turn to things and actor network theory, to explain black-boxing and digital task-scape as one aspect of digital polis, and to transform the community of the digital polis into a filed of politics of things. The politics of things appears as a strategy of becoming-imperceptibility and how not to be seen, and it reveals the capacity of utopia as a non-existent place by unfolding heterogeneous net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인류세를 근대성의 산물로 이해하고 이를 비판하면서, 근대성이 상정한 선형적 역사의 발전상인 기술유토피아라는 상에서 벗어나 디지털 폴리스를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물로의 전회와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통과해 디지털폴리스를 사물들의 플랫폼으로 제시하고, 블랙박스화와 디지털 행위 경관을 디지털 폴리스의 한 양상으로 설명하면서, 디지털폴리스라는 공동체를 물의 정치의 장으로 변모시킬 것을 제안한다. 물의 정치는 지각불가능하게 되기와 안보여주기의 전략으로 나타나며, 이종적 네트워크를 펼치며 없는 장소로서 유토피아의 역량을 드러낸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인류세를 근대성의 산물로 이해하고 이를 비판하면서, 근대성이 상정한 선형적 역사의 발전상인 기술유토피아라는 상에서 벗어나 디지털 폴리스를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인류세를 근대성의 산물로 이해하고 이를 비판하면서, 근대성이 상정한 선형적 역사의 발전상인 기술유토피아라는 상에서 벗어나 디지털 폴리스를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물로의 전회와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통과해 디지털폴리스를 사물들의 플랫폼으로 제시하고, 블랙박스화와 디지털 행위 경관을 디지털 폴리스의 한 양상으로 설명하면서, 디지털폴리스라는 공동체를 물의 정치의 장으로 변모시킬 것을 제안한다. 물의 정치는 지각불가능하게 되기와 안보여주기의 전략으로 나타나며, 이종적 네트워크를 펼치며 없는 장소로서 유토피아의 역량을 드러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현대미술관, "히토 슈타이얼 : 데이터의 바다" 국립현대미술관 2022

      2 이광석, "피지컬 커먼즈" 갈무리 2021

      3 김리원, "택배도시 현상 연구-마켓컬리 행위 경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2

      4 프리드리히 키틀러,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과지성사 2019

      5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2001

      6 베르나르 스티글러, "자동화사회 1 알고리즘 인문학과 노동의 미래" 새물결 2019

      7 최명애 ; 박범순, "인류세 연구와 한국 환경사회학 : 새로운 질문들" 한국환경사회학회 23 (23): 7-41, 2019

      8 브루노 라투르,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59-304, 2010

      9 브루노 라투르,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95-124, 2010

      10 홍성욱,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15-35, 2010

      1 국립현대미술관, "히토 슈타이얼 : 데이터의 바다" 국립현대미술관 2022

      2 이광석, "피지컬 커먼즈" 갈무리 2021

      3 김리원, "택배도시 현상 연구-마켓컬리 행위 경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2

      4 프리드리히 키틀러, "축음기, 영화, 타자기" 문학과지성사 2019

      5 질 들뢰즈, "천개의 고원:자본주의와 분열증 2" 새물결 2001

      6 베르나르 스티글러, "자동화사회 1 알고리즘 인문학과 노동의 미래" 새물결 2019

      7 최명애 ; 박범순, "인류세 연구와 한국 환경사회학 : 새로운 질문들" 한국환경사회학회 23 (23): 7-41, 2019

      8 브루노 라투르,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59-304, 2010

      9 브루노 라투르,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95-124, 2010

      10 홍성욱, "인간·사물·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15-35, 2010

      11 이한구, "유토피아에 대한 역사철학적 성찰과 유형화" 한국철학회 (110) : 27-48, 2012

      12 히토 슈타이얼, "스크린의 추방자들" 워크룸 2018

      13 어슐러. 르 귄, "세상 끝에서 춤추다: 언어, 여자, 장소에 대한 사색" 황금가지 2021

      14 스마트도시정책관, "서울의 신대륙, 메타버스 서울 추진 기본계획"

      15 김환석, "사회과학의 ‘물질적 전환(material turn)’을 위하여" 비판사회학회 (112) : 208-231, 2016

      16 박진홍 ; 강민규, "사물인터넷 기반 도시데이터 센서를 활용한 서울시 유동인구의 측정 및 입지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7 (57): 40-56, 2022

      17 안미현, "사물 지향 이론들에 관한 고찰과 문학과의 절합 가능성" 한국독일어문학회 29 (29): 201-225, 2021

      18 이성훈 ; 이동우, "빅데이터 처리 프로세스 및 활용"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67-271, 2013

      19 존 어리, "모빌리티" 아카넷 2014

      20 루크 도멜, "만물의 공식" 반니 2014

      21 허욱,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 새물결 2021

      22 김은주, "디지털 폴리스의 정의와 커먼즈를 다시 사유하기" 도시인문학연구소 14 (14): 93-112, 2022

      23 김용찬, "도시의 디지털화: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도시’의 커뮤니케이션 이슈들" 언론정보연구소 57 (57): 95-149, 2020

      24 마우라치오 랏자라또, "기호와 기계: 기계적 예속 시대의 자본주의와 비기표적 기호계 주체성의 생산" 갈무리 2017

      25 발터 벤야민,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 사진의 작은 역사 외" 길 2007

      26 박경환, "글로벌 시대 인문지리학에 있어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의 적용 가능성" 한국도시지리학회 17 (17): 57-78, 2014

      27 알렉산더 R. 갤러웨이, "계산할 수 없는: 장기 디지털 시대의 유희와 정치" 장미와동백 2023

      28 박일준, "객체지향의 철학: 초객체와 네트워크 그리고 공생" 인문과학연구소 55 : 5-30, 2021

      29 Chakrabarty, D, "The climate of history: Four theses" 35 : 197-222, 2009

      30 Ingold, Thim, "The Temporality of the Landscape" 25 (25): 152-174, 1993

      31 Sharp, Hasana, "The Impersonal Is Political: Spinoza and a Feminist Politics of Imperceptibility" 24 (24): 84-103, 2009

      32 Haraway, Donna, "The Haraway Reader" Routledge 63-124, 2004

      33 Barad, Karen, "Posthumanist Performativity" 28 (28): 801-831, 2003

      34 Mol, A., "Living with omega-3: new materialism and enduring concerns" 33 : 4-19, 2015

      35 Crutzen, P. J., "Geology of mankind" 415 : 23-, 2002

      36 케이트 크로퍼드, "AI 지도책 세계의 부와 권력을 재편하는 인공지능의 실체" 소소의책 2022

      37 Elizabeth Grosz, "A politics of imperceptibility :A response to Anti-racism, multiculturalism and the ethics of identification" 28 (28): 463-472, 2002

      38 Parikka, Jussi, "A Geology of Media"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4

      39 김홍중, "21세기 사회이론의 필수통과지점: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 이론" 한국이론사회학회 (43) : 7-56, 202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