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오쿠보 코리아타운의 형성과정 ─ 일본의 다문화공생정책 변화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662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일본의 대표적 다문화공생거리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도쿄 신주쿠의 신오쿠보에 형성된 코리아타운에 대해 일본의 다문화공생정책 변화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뉴커머인 한국...

      오늘날 일본의 대표적 다문화공생거리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도쿄 신주쿠의 신오쿠보에 형성된 코리아타운에 대해 일본의 다문화공생정책 변화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뉴커머인 한국인들이 지역민들의 편견과 차별을 극복하고 어떻게 서로의 문화를 인정하는 다문화공생거리로 탈바꿈하게 되었는지를 종래의 올드커머들에 의해 형성된 에스닉타운과의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 나아가, 일본 최대의 상업지역인 JR신주쿠역과 가부키쵸와 인접해 있다는 신오쿠보의 입지조건이 코리아타운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관해서도 고찰하였다. 또한, 1990년 중반부터 외적인 국제화를 통한 다문화공생으로 변모한 일본의 외국인 주민정책이 2006년, 총무성의 ‘다문화공생연구회보고서’ 발표이후 외국인 주민을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 정주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이 진일보하였는데, 이러한 일본 행정의 변화가 신오쿠보 코리아타운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신쿠구청과 신오쿠보의 지역민이 다문화공생사회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round a typical Multicultural Korea Town, which is formed in the ShinOkubo in Shinjuku, Tokyo that receives evaluation of a representative multicultural streets of Japan in Today, overcoming discrimination newcomer Korea people and prejudice of local...

      Around a typical Multicultural Korea Town, which is formed in the ShinOkubo in Shinjuku, Tokyo that receives evaluation of a representative multicultural streets of Japan in Today, overcoming discrimination newcomer Korea people and prejudice of local residents, new commer the Koreans overcom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local people, and how it transformed into a Multicultural Coexistence avenue that recognizes the cultural distance of each other, I was discuss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thnic town, which is formed by conventional old comer. Furthermore, I was investigated with regard to whether the location that is closed to JR Shinjuku Station and Kabukicho, the Japan's largest commercial area, affect the formation Korea Town. In addition, I discussed that foreign residents of Japan policy through the external globalization transformed multicultural coexistence from mid-1990, and "Multicultural Society Report"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since 2006, foreign migrants policies were advanced in the direction of settlement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whether such a change in the Japanese government gave what effect in Koreatown formation Shin Okubo, also, what efforts residents of ShinOkubo and the Shinjuku Ward Office have been made for the multicultural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要旨
      • I. 머리말
      • II. 신오쿠보의 코리아타운과 일본의 3대 차이나타운
      • III. 가부키쵸 개발과 신오쿠보의 발자취
      • IV. 신오쿠보의 뉴커머 한국인의 유입과 일본행정의 변화
      • 要旨
      • I. 머리말
      • II. 신오쿠보의 코리아타운과 일본의 3대 차이나타운
      • III. 가부키쵸 개발과 신오쿠보의 발자취
      • IV. 신오쿠보의 뉴커머 한국인의 유입과 일본행정의 변화
      • V. 손님에서 생활인으로 변모한 신오쿠보의 뉴커머
      • VI. 맺음말
      • 參考文獻
      • 要旨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언, "한류에 대한 일본인의 의식조사 -신오쿠보 코리아타운 방문자를 대상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57) : 459-473, 2013

      2 정진성, "재일한국인 뉴커머 형성과정과 집주지역의 특징::: 오쿠보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0) : 313-354, 2011

      3 조현미, "일본의 다문화공생정책의 추진경과와 현황" 2 : 244-245, 2012

      4 박수경, "이문화접변지 신오쿠보의 로컬리티: 간판언어와 거리명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67) : 267-284, 2015

      5 이호상, "에스닉 커뮤니티 성장에 따른 지역사회의 변화: 도쿄 신오쿠보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4 (14): 125-137, 2011

      6 유연숙, "동경의 코리아타운과 한류: 오쿠보지역을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25) : 79-108, 2011

      7 사토 아키히토, "도쿄 오쿠보(大久保) 외국인 집주지구 형성과 ‘다문화 병생(倂生)’ : 한국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3 : 42-, 2010

      8 임영상, "도쿄 신오쿠보 코리아타운의 갈등구조와 해소방안 연구 -신오쿠보 스타일과 코리아타운 축제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35) : 1-37, 2015

      9 최병두, "다문화 공생:일본의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과 지역사회의 역할" 푸른길 152-, 2011

      10 川村千鶴子, "移民国家日本と多文化共生論: 多文化都市・新宿の深層" 明石書店 56-57, 2008

      1 임영언, "한류에 대한 일본인의 의식조사 -신오쿠보 코리아타운 방문자를 대상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57) : 459-473, 2013

      2 정진성, "재일한국인 뉴커머 형성과정과 집주지역의 특징::: 오쿠보 코리아타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0) : 313-354, 2011

      3 조현미, "일본의 다문화공생정책의 추진경과와 현황" 2 : 244-245, 2012

      4 박수경, "이문화접변지 신오쿠보의 로컬리티: 간판언어와 거리명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문화학회 (67) : 267-284, 2015

      5 이호상, "에스닉 커뮤니티 성장에 따른 지역사회의 변화: 도쿄 신오쿠보를 사례로" 한국도시지리학회 14 (14): 125-137, 2011

      6 유연숙, "동경의 코리아타운과 한류: 오쿠보지역을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25) : 79-108, 2011

      7 사토 아키히토, "도쿄 오쿠보(大久保) 외국인 집주지구 형성과 ‘다문화 병생(倂生)’ : 한국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3 : 42-, 2010

      8 임영상, "도쿄 신오쿠보 코리아타운의 갈등구조와 해소방안 연구 -신오쿠보 스타일과 코리아타운 축제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35) : 1-37, 2015

      9 최병두, "다문화 공생:일본의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과 지역사회의 역할" 푸른길 152-, 2011

      10 川村千鶴子, "移民国家日本と多文化共生論: 多文化都市・新宿の深層" 明石書店 56-57, 2008

      11 長友麻苗未, "横浜中華街の発展とプランドイメージ" 東京学芸大学 70-71, 2009

      12 稲葉佳子, "東京における外国人居住者の住まいと住環境に関する比較研究-大久保地区の10年間の変容と新たな課題"

      13 朴正義, "大久保コリアンタウンの人たち" 国書刊行会 3-4, 2014

      14 山脇啓造, "多文化共生政策へのアプローチ" 明石書店 25-26, 2011

      15 横倉節夫, "在日外国人と日本社会のグローバル化―神奈川県横浜市を中心に" お茶の水書房 135-136, 2008

      16 浮葉正親, "名古屋市における新来コリアンの流入とコリアンタウンの形成" 国立民族学博物館 179-180, 2007

      17 "www.immi-moj.go.jp/tetuduki/kanri/qaq5.html"

      18 "https://www.city.shinjuku.lg.jp"

      19 "http://www.soumu.go.jp/kokusai"

      20 "http://www.shujutoshi.jp/gaiyou/index.htm"

      21 "http://www.immi-moj.go.jp/hourei"

      22 "http://www.city.shinjuku.lg.jp/foreign/japanese/plaza.html"

      23 "http://www.cas.go.jp/jp/seisaku/gaikokujin"

      24 石田智恵, "1990年入管法改正を経た<日系人>カテゴリーの動態:名づけと名乗りの交錯を通して" 立命館大学 5 : 9-, 2011

      25 손미경, "'문화플랫폼'으로서 도쿄·오사카 코리아타운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Center for Japanese Studies ->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10-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Japanese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8 0.966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