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영근, "현대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 —서법체계(속)"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2 (12): 23-, 1976
2 김영란,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문사 어휘 정보와 교수 방법 연구" 상명대학교 2003
3 한지현, "한국어 교육을 위한 수사의문문의 담화맥락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7
4 이지혜,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적 의미에 대한 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0
5 이창덕, "의문사문의 담화상 의미와 기능 , 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우리말학회 엮음)" 서울: 한국문화사 933-947, 1991
6 김영희, "의문문의 이접적 특성" 문법연구회 2 : 70-, 1975
7 박종갑, "의문문과 간접언어행위" 영남어문학회 9 : 59-61, 1982
8 조세영,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반어법 교육 방안" 한양대학교 2008
9 김태엽, "수사의문문의 간접표현에 대하여 —포항지역어를 중심으로" 영주경상전문대학 4 : 24-36, 1983
10 이현희, "국어의 의문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52 : 3-11, 1982
1 고영근, "현대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 —서법체계(속)"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2 (12): 23-, 1976
2 김영란,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문사 어휘 정보와 교수 방법 연구" 상명대학교 2003
3 한지현, "한국어 교육을 위한 수사의문문의 담화맥락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7
4 이지혜,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적 의미에 대한 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0
5 이창덕, "의문사문의 담화상 의미와 기능 , 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우리말학회 엮음)" 서울: 한국문화사 933-947, 1991
6 김영희, "의문문의 이접적 특성" 문법연구회 2 : 70-, 1975
7 박종갑, "의문문과 간접언어행위" 영남어문학회 9 : 59-61, 1982
8 조세영,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반어법 교육 방안" 한양대학교 2008
9 김태엽, "수사의문문의 간접표현에 대하여 —포항지역어를 중심으로" 영주경상전문대학 4 : 24-36, 1983
10 이현희, "국어의 의문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52 : 3-11, 1982
11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244-, 1999
12 박영순, "국어 의문문의 의문성 정도에 대하여 , 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우리말학회 엮음)" 서울: 한국문화사 130-131, 1991
13 류현미, "국어 의문문의 연구" 충남대학교 1999
14 서순희, "국어 의문문의 개념 및 그 범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9 : 227-229,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