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의 교육 내용 - ‘무슨’-수사의문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truc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f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ed on 'Museun'-rhetorical ques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89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useun'-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and studying on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focused on ironical usages through chunks. That is because the reason and the way of making rhetorical questions are not studied throughly. Also,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eaching rhetorical questions is not se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the semantic functions, types, forms, discourse functions and samples sentences of rhetorical questions should be constructed for systematically teaching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useun'-rhetorical questions is presented by analysis of 'museun'-rhetorical questions extracted from 4 kinds of drama scripts.
      'Museun'-rhetorical questions are basically showing that thought of listener or speaker about some events or facts is different from expectation of speaker. Also, types of 'museun'-rhetorical questions are divided into two types like the listener-centered type and speaker-centered type according to 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presented in sentence and meaning of sentence. The listener-centered type means that thought of listener(A) is different from expectation of speaker, and 'A-uen/nuen museun (A)?' or 'museun A?' showing this type could be interpreted as 'A-i/ga a-ni-da/eobs-da', 'A-ji anh-da', 'A-ji ma-la', 'A-ji anh-gess-da'. The speaker-centered type means the thought of speaker(B) is different from expectation of speaker, and 'museun B?' showing this type could be interpreted as 'B-i-da/-n-da'.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useun'-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and studying on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focused on ironical usages through chunks. That i...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useun'-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ing and studying on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been focused on ironical usages through chunks. That is because the reason and the way of making rhetorical questions are not studied throughly. Also,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eaching rhetorical questions is not se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the semantic functions, types, forms, discourse functions and samples sentences of rhetorical questions should be constructed for systematically teaching rhetorical quest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pape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museun'-rhetorical questions is presented by analysis of 'museun'-rhetorical questions extracted from 4 kinds of drama scripts.
      'Museun'-rhetorical questions are basically showing that thought of listener or speaker about some events or facts is different from expectation of speaker. Also, types of 'museun'-rhetorical questions are divided into two types like the listener-centered type and speaker-centered type according to relations between the expression presented in sentence and meaning of sentence. The listener-centered type means that thought of listener(A) is different from expectation of speaker, and 'A-uen/nuen museun (A)?' or 'museun A?' showing this type could be interpreted as 'A-i/ga a-ni-da/eobs-da', 'A-ji anh-da', 'A-ji ma-la', 'A-ji anh-gess-da'. The speaker-centered type means the thought of speaker(B) is different from expectation of speaker, and 'museun B?' showing this type could be interpreted as 'B-i-da/-n-d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에 대한 교육이나 연구는 반어적 용법에 치우쳐 있으며 이 또한 덩어리 형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화자의 진술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의문문의 형식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기술되지 못했으며, 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의 교육 내용이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무슨’-수사의문문을 대상으로 이것의 용례를 분석하여 ‘무슨’-수사의문문의 의미기능, 유형, 제시 형태, 담화 기능, 예문 등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무슨’-수사의문문은 기본적으로 ‘어떤 사건이나 사실에 대한 청자 또는 화자의 생각이 화자의 기대와 다름’을 나타낸다. 그리고 문장에 제시된 말과 문장 의미의 관계에 따라 청자 중심 ‘무슨’-수사의문문과 화자 중심 ‘무슨’-수사의문문으로 나뉜다. 청자 중심 ‘무슨’-수사의문문은 청자의 생각(A)이 질문의 대상이 되며 ‘무슨 A?’ ‘A-은/는 무슨 (A)?’의 형태로 제시된다. 청자의 생각이 화자의 기대와 다르거나 낯선 경우에는 청자의 생각을 인정하지 않으며, 맥락에 따라 금지나 거절의 의미를 나타내므로 ‘A-이/가 아니다/없다’, ‘A-지 않다’, ‘A-지 마라’, ‘A-지 않겠다’로 해석된다. 화자 중심 ‘무슨’-수사의문문은 화자의 생각(B)이 질문의 대상이 되면서 이것이 자신의 기대와 다름을 나타낸다. 어떤 사건이나 사실에 대한 화자의 생각이 ‘무슨 B?’의 형태로 표출되므로 문장에 제시된 말과 문장의 의미는 다르지 않으며 ‘B-이다/-ㄴ다’로 해석된다.
      번역하기

      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에 대한 교육이나 연구는 반어적 용법에 치우쳐 있으며 이 또한 덩어리 형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화자의 진술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의문문의 형식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에 대한 교육이나 연구는 반어적 용법에 치우쳐 있으며 이 또한 덩어리 형태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화자의 진술이 왜, 그리고 어떻게 의문문의 형식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기술되지 못했으며, 한국어 교육에서 수사의문문의 교육 내용이 정립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무슨’-수사의문문을 대상으로 이것의 용례를 분석하여 ‘무슨’-수사의문문의 의미기능, 유형, 제시 형태, 담화 기능, 예문 등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무슨’-수사의문문은 기본적으로 ‘어떤 사건이나 사실에 대한 청자 또는 화자의 생각이 화자의 기대와 다름’을 나타낸다. 그리고 문장에 제시된 말과 문장 의미의 관계에 따라 청자 중심 ‘무슨’-수사의문문과 화자 중심 ‘무슨’-수사의문문으로 나뉜다. 청자 중심 ‘무슨’-수사의문문은 청자의 생각(A)이 질문의 대상이 되며 ‘무슨 A?’ ‘A-은/는 무슨 (A)?’의 형태로 제시된다. 청자의 생각이 화자의 기대와 다르거나 낯선 경우에는 청자의 생각을 인정하지 않으며, 맥락에 따라 금지나 거절의 의미를 나타내므로 ‘A-이/가 아니다/없다’, ‘A-지 않다’, ‘A-지 마라’, ‘A-지 않겠다’로 해석된다. 화자 중심 ‘무슨’-수사의문문은 화자의 생각(B)이 질문의 대상이 되면서 이것이 자신의 기대와 다름을 나타낸다. 어떤 사건이나 사실에 대한 화자의 생각이 ‘무슨 B?’의 형태로 표출되므로 문장에 제시된 말과 문장의 의미는 다르지 않으며 ‘B-이다/-ㄴ다’로 해석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근, "현대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 —서법체계(속)"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2 (12): 23-, 1976

      2 김영란,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문사 어휘 정보와 교수 방법 연구" 상명대학교 2003

      3 한지현, "한국어 교육을 위한 수사의문문의 담화맥락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7

      4 이지혜,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적 의미에 대한 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0

      5 이창덕, "의문사문의 담화상 의미와 기능 , 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우리말학회 엮음)" 서울: 한국문화사 933-947, 1991

      6 김영희, "의문문의 이접적 특성" 문법연구회 2 : 70-, 1975

      7 박종갑, "의문문과 간접언어행위" 영남어문학회 9 : 59-61, 1982

      8 조세영,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반어법 교육 방안" 한양대학교 2008

      9 김태엽, "수사의문문의 간접표현에 대하여 —포항지역어를 중심으로" 영주경상전문대학 4 : 24-36, 1983

      10 이현희, "국어의 의문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52 : 3-11, 1982

      1 고영근, "현대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 —서법체계(속)"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2 (12): 23-, 1976

      2 김영란,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문사 어휘 정보와 교수 방법 연구" 상명대학교 2003

      3 한지현, "한국어 교육을 위한 수사의문문의 담화맥락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7

      4 이지혜,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반어적 의미에 대한 인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10

      5 이창덕, "의문사문의 담화상 의미와 기능 , 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우리말학회 엮음)" 서울: 한국문화사 933-947, 1991

      6 김영희, "의문문의 이접적 특성" 문법연구회 2 : 70-, 1975

      7 박종갑, "의문문과 간접언어행위" 영남어문학회 9 : 59-61, 1982

      8 조세영,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반어법 교육 방안" 한양대학교 2008

      9 김태엽, "수사의문문의 간접표현에 대하여 —포항지역어를 중심으로" 영주경상전문대학 4 : 24-36, 1983

      10 이현희, "국어의 의문법에 대한 통시적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52 : 3-11, 1982

      11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244-, 1999

      12 박영순, "국어 의문문의 의문성 정도에 대하여 , 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문집 (우리말학회 엮음)" 서울: 한국문화사 130-131, 1991

      13 류현미, "국어 의문문의 연구" 충남대학교 1999

      14 서순희, "국어 의문문의 개념 및 그 범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9 : 227-229,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2-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1.47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