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큐멘터리 사진의 정치적 변용에 관한 연구-FSA 사진과 <승리로 가는 길>전시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Political Acculturation of Documentary Photographs-focused on FSA project and exhibition of <Road to Vic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28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FSA 다큐멘터리 사진이 원래 유통되던 신문이나, 잡지 등의 매체를 떠나 미술관이라는 예술 제도권 공간에서전시됨으로서 발생하는 의미 변화와 변용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사진 ...

      본 연구는 FSA 다큐멘터리 사진이 원래 유통되던 신문이나, 잡지 등의 매체를 떠나 미술관이라는 예술 제도권 공간에서전시됨으로서 발생하는 의미 변화와 변용 과정에 관한 연구이다. 사진 제작과 유통 과정에서의 맥락의 변화는 원래의 의미를 제거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사진이 매체와 맥락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 유통될 수 있는작용을 한다. 이 ‘탈맥락화’와 ‘재맥락화’ 과정에서 의미와 가치를 변용시킬 수 있는, 드러나지 않게 작용했던 국가적 또는개인적 ‘권력’의 실체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사진이 현실을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도구라는 순진한 믿음을 기반으로 국가 정책 선전 도구와 국가 정체성 표상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드러냄으로써 사진의 속성과사진의 역사에 대한 지금까지의 편협했던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이 글은 1930 년대 미국의 대공황기를 극복하기위한 뉴딜 정책의 일환인 FSA 프로젝트가 시대적인 요청과 정치적인 목적에서 시작되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리고 로이스트라이커가 FSA 사진 아카이브를 생산, 구축, 유통시키는 과정에서 어떻게 사진 이미지를 ‘진실’을 생산해내는 통제의장치로 사용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더불어 에드워드 슈타이켄이 MoMA 에서 2 차 세계대전 중 미국인의 애국심 고취를 위해 기획한 <승리로 가는 길>과 냉전기 휴머니티 회복을 위해 기획한 <인간 가족>사진전의 이면을 1940 년대, 50 년대 미국의 정치적 상황, MoMA 와 정부 기관과의 공모 관계를 바탕으로 분석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help our understanding of how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FSA (Farm Security Administration) documentary photographs, originally produced to be circulated in the media including newspapers and magazines, go through the process of t...

      This study is to help our understanding of how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FSA (Farm Security Administration) documentary photographs, originally produced to be circulated in the media including newspapers and magazines, go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when they are displayed in art institutions such as museums.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or distribution of photographs, the change of context means tha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photographs can be removed and given with a new meaning; and the same photo can be distributed with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types of media and contex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existence of communal or individual ‘power’ which can unobtrusively cause transformation of the meaning and value in the process of the ‘decontextu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This study intends to widen our narrow and somewhat naiv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history of photography that photographs are tool of recording the reality, as photographs can often be effectively used in formulating national identity and policy propaganda. This study intends to express the fact that FSA Project was started as a part of New Deal policy to fulfill its political and social goal of overcoming the Great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30s. The study will further look into the method that Roy Striker used images of photographs as devices of control to produce ‘truth’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circulation of FSA Project.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s Edward Steichen`s two exhibitions in MoMA, <Road to Victory> which was designed to promote American people`s patriotism during the World War I, and <The Family of Man> which was designed to recover the sense of humanity during the Cold War.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United States during 1940s and 50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MA and government agencies during the era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그라함 클라크, "포토그래피-이미지를 읽는 새로운 방법" 시공사 2006

      2 매리 앤 스타니제프스키, "파워 오브 디스플레이-20 세기 전시 설치와 공간 연출의 역사" 디자인 로커스 2007

      3 윤난지, "전시의 담론" 눈빛 2002

      4 주형일, "이방인이 본 한국의 모습: 〈매그넘코리아〉사진전 사진 분석" 한국언론학회 55 (55): 199-218, 2011

      5 리차드 볼턴, "의미의 경쟁-20 세기 사진 비평사" 눈빛 2001

      6 최봉림, "에드워드 슈타이켄, 성공 신화의 셔터를 누르다" 디자인하우스 2000

      7 샤를르 아장, "아메리카, 암흑시대" 열화당 1986

      8 최봉림, "세계사진사 32 장면" 디자인하우스 2003

      9 뷰먼트 뉴홀, "사진의 역사" 열화당 1987

      10 아더 로드스타인, "다큐멘터리 사진론" 눈빛 1994

      1 그라함 클라크, "포토그래피-이미지를 읽는 새로운 방법" 시공사 2006

      2 매리 앤 스타니제프스키, "파워 오브 디스플레이-20 세기 전시 설치와 공간 연출의 역사" 디자인 로커스 2007

      3 윤난지, "전시의 담론" 눈빛 2002

      4 주형일, "이방인이 본 한국의 모습: 〈매그넘코리아〉사진전 사진 분석" 한국언론학회 55 (55): 199-218, 2011

      5 리차드 볼턴, "의미의 경쟁-20 세기 사진 비평사" 눈빛 2001

      6 최봉림, "에드워드 슈타이켄, 성공 신화의 셔터를 누르다" 디자인하우스 2000

      7 샤를르 아장, "아메리카, 암흑시대" 열화당 1986

      8 최봉림, "세계사진사 32 장면" 디자인하우스 2003

      9 뷰먼트 뉴홀, "사진의 역사" 열화당 1987

      10 아더 로드스타인, "다큐멘터리 사진론" 눈빛 1994

      11 Rosalind Krauss, "Thinking about Exhibitions" 1986

      12 Peter Pollack, "The Picture History of Photography" Harry N. Abrams, Inc. 1969

      13 Beaumont Newhall, "The History of Photography: From 1839 to the Present" Museum of Modern Art 1982

      14 John Tagg, "The Burden of Representation : Essays on Photographies and Histories" Macmillan Education Ltd. 1988

      15 Michel Foucault,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Pantheon 1980

      16 Abigal Solomon-Godeau, "Photographs at the Dock: Essays on Photographic Hi story, Institutions and Practic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1

      17 James Curtis, "Mind’s eye, Mind’s Truth: FSA Photography Reconsidered" Temple University Press 1989

      18 Roy Emerson Stryker, "In This Proud Land: America 1935-1943 As Seen in the FSA Photographs" New York Graphic Society LTD 2002

      19 Herbert Bayer, "Aspects of Design of Exhibition and Museums" 4 (4): 19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