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通度寺 應眞殿의 <釋迦說法圖> 연구 =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in Tongdo Tem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7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in Tongdo Temple is one of a series of works produced during the Tongdo Temple in 1775. The painting consists of Shakyamuni Buddha, the eight Bodhisattvas, two disciples Maha Kasyapa and Anada, Sixteen Arhats, and some guardians. It is unusual in that it contains sixteen Arhats, unlike the traditional Shakyamuni’s preaching. It has two uses, the painting of Shakyamuni’s preaching and the painting of Sixteen Arhats. In addition, by placing the sixteen Arhats on the front of the screen, it was highlighted. In 1775, paintings of Eight Scenes of Shakyamuni’s Life for YeongsanJeon Hall,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painting of Bhaisajyaguru Buddha Preaching for Yaksajeon hall, and Hyeonwangdo painting, based on the future Buddha of King Yama for daebeobdang Hall were produced together in Tongdo Temple. Tongdosa monks were the main sponsors and about 30 monk painters participated. Among them,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was led by the monk painter Jeongchong and Yuseong, and five other painters were assis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inting style, Jeongchong led the composi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Buddha and Bodhisattvas, and Yuseong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iconography and expression of Arhats.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in Tongdo Temple shows the unprecedented iconography among the Buddhist paintings produced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e same time, the painters’ production method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actice. I expect this picture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in Tongdo Temple is one of a series of works produced during the Tongdo Temple in 1775. The painting consists of Shakyamuni Buddha, the eight Bodhisattvas, two disciples Maha Kasyapa and Anada, Sixt...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in Tongdo Temple is one of a series of works produced during the Tongdo Temple in 1775. The painting consists of Shakyamuni Buddha, the eight Bodhisattvas, two disciples Maha Kasyapa and Anada, Sixteen Arhats, and some guardians. It is unusual in that it contains sixteen Arhats, unlike the traditional Shakyamuni’s preaching. It has two uses, the painting of Shakyamuni’s preaching and the painting of Sixteen Arhats. In addition, by placing the sixteen Arhats on the front of the screen, it was highlighted. In 1775, paintings of Eight Scenes of Shakyamuni’s Life for YeongsanJeon Hall,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painting of Bhaisajyaguru Buddha Preaching for Yaksajeon hall, and Hyeonwangdo painting, based on the future Buddha of King Yama for daebeobdang Hall were produced together in Tongdo Temple. Tongdosa monks were the main sponsors and about 30 monk painters participated. Among them,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was led by the monk painter Jeongchong and Yuseong, and five other painters were assis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inting style, Jeongchong led the composi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Buddha and Bodhisattvas, and Yuseong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iconography and expression of Arhats.
      Painting of Shakyamuni Preaching for Engjinjeon Hall in Tongdo Temple shows the unprecedented iconography among the Buddhist paintings produced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e same time, the painters’ production method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actice. I expect this picture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통도사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1775년 통도사에서 진행된 불화 불사 때 제작된 일련의 작품 중 하나이다. 화면은 석가와 팔대보살, 그리고 가섭·아난과 십육나한, 그리고 일부 호법신중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석가설법도와 달리 십육나한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특이한데, 이는 당시 응진전 내에 십육나한도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았기 때문에 두가지 용도를 동시에 지닌 작품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십육나한을 화면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서 기존과는 차별성있는 도상을 선보이고 있다. 통도사의 1775년 불화 불사에서는 영산전 <석가팔상도>, 응진전 <석가설법도>, 약사전 <약사설법도>, 대법당 <현왕도>가 제작되었다. 통도사 승려들이 주축이 되어 시주, 발원했으며 제작 화사로는 30여명이 대거 동참했다. 그중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정총과 유성이 주축이 되고 그 외에 5인의 화사가 보조했다. 화풍을 분석해본 결과, 정총은 화면의 전체 구도와 불보살의 표현 등을 주도했고 유성은 나한의 도상과 표현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통도사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조선후기 석가설법도 중 유례없는 도상을 선보인 작품인 동시에 화사들의 역할 분화에서도 기존 관행과는 다소 다른 작업 방식이 시도된 중요한 작품이다. 향후 관련 연구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번역하기

      통도사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1775년 통도사에서 진행된 불화 불사 때 제작된 일련의 작품 중 하나이다. 화면은 석가와 팔대보살, 그리고 가섭·아난과 십육나한, 그리고 일부 호법신중...

      통도사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1775년 통도사에서 진행된 불화 불사 때 제작된 일련의 작품 중 하나이다. 화면은 석가와 팔대보살, 그리고 가섭·아난과 십육나한, 그리고 일부 호법신중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석가설법도와 달리 십육나한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특이한데, 이는 당시 응진전 내에 십육나한도를 별도로 제작하지 않았기 때문에 두가지 용도를 동시에 지닌 작품으로 제작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십육나한을 화면의 전면에 배치함으로서 기존과는 차별성있는 도상을 선보이고 있다. 통도사의 1775년 불화 불사에서는 영산전 <석가팔상도>, 응진전 <석가설법도>, 약사전 <약사설법도>, 대법당 <현왕도>가 제작되었다. 통도사 승려들이 주축이 되어 시주, 발원했으며 제작 화사로는 30여명이 대거 동참했다. 그중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정총과 유성이 주축이 되고 그 외에 5인의 화사가 보조했다. 화풍을 분석해본 결과, 정총은 화면의 전체 구도와 불보살의 표현 등을 주도했고 유성은 나한의 도상과 표현에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음을 엿볼 수 있었다.
      통도사 응진전 <석가설법도>는 조선후기 석가설법도 중 유례없는 도상을 선보인 작품인 동시에 화사들의 역할 분화에서도 기존 관행과는 다소 다른 작업 방식이 시도된 중요한 작품이다. 향후 관련 연구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은석, "梁山 通度寺의 熙藏風 佛像" 통도사·불교미술사학회 6 : 2008

      2 "한국의 사찰벽화 시리즈" 문화재청․성보문화재연구원 2013

      3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남도" 문화재청·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 2011

      4 "한국의 불화 1-40"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5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6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한국미술연구소 2014

      7 박세진, "통도사 용화전 벽화의 제작시기 및 제작자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94 (294): 71-100, 2017

      8 이용윤, "조선후기 통도사의 僧侶門中과 畵僧 任閑" 불교미술사학회 23 : 127-158, 2017

      9 이용윤, "조선후기 영남의 불화와 승려문중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10 신은미, "조선후기 십육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1 송은석, "梁山 通度寺의 熙藏風 佛像" 통도사·불교미술사학회 6 : 2008

      2 "한국의 사찰벽화 시리즈" 문화재청․성보문화재연구원 2013

      3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남도" 문화재청·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 2011

      4 "한국의 불화 1-40"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5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6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한국미술연구소 2014

      7 박세진, "통도사 용화전 벽화의 제작시기 및 제작자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94 (294): 71-100, 2017

      8 이용윤, "조선후기 통도사의 僧侶門中과 畵僧 任閑" 불교미술사학회 23 : 127-158, 2017

      9 이용윤, "조선후기 영남의 불화와 승려문중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10 신은미, "조선후기 십육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11 김현수, "조선후기 불화사 임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12 김희경, "조선후기 나한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13 박은경, "조선전기 불화 연구" 시공사 2006

      14 신광희, "조선전기 민간발원 불화의 일례 : 일본 曹源寺 소장 <釋迦說法圖>" 불교미술사학회 13 : 41-64, 2012

      15 권진영, "조선시대 후기 영산회상도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16 신광희, "조선시대 釋迦說法圖의 범본 일본 四天王寺 소장 1587년 <석가설법도>"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163-196, 2012

      17 김정희, "조선 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7

      18 김수영, "조선 16~17세기 석가설법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19 박은경, "일본 소재 조선 전기 釋迦說法圖 연구" 석당학술원 (50) : 261-310, 2011

      20 신광희, "여수 흥국사 십육나한도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5 (255): 65-102, 2007

      21 박도화, "봉정사 대웅전 영산회후불벽화" 성보문화재연구원 17 : 2000

      22 양희정, "고려시대 아미타팔대보살도 도상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7 (257): 67-103, 2008

      23 신광희, "거조암 『오백성중청문』을 통해 본 한국의 오백나한 의례" 한국선학회 (51) : 225-251, 2018

      24 고경, "韓國의 佛畵 畵記集" 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25 이용윤, "雪松門中 출신 畵僧 慈雲堂 指演의 활동과 助力者" 동악미술사학회 (22) : 5-30, 2017

      26 엄기표, "通度寺의 朝鮮後期 石造浮屠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6 : 2008

      27 "通度寺誌"

      28 한정호, "通度寺 성보박물관 掛佛幀 특별전 5" 통도사성보박물관 2001

      29 정우택, "朝鮮時代 釋迦說法圖 一例" 한국문화사학회 (27) : 953-966, 2007

      30 김형곤, "朝鮮後期 畵僧 指演에 관한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11 : 107-140, 2011

      31 정우택, "日本 四國地域 朝鮮朝 前期 佛畵 調査 硏究" 동악미술사학회 (9) : 57-89, 2008

      32 유경희, "LA 카운티미술관 <神興寺 靈山會上圖>"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5) : 53-76, 2015

      33 김수영, "19세기 경북지역 석가여래후불도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 (20): 149-192, 2011

      34 장희정, "18세기 通度寺와 畵師 任閑" 불교미술사학회 6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Dongak Art History -> Association of Dongak Art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1 0.80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