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은석, "梁山 通度寺의 熙藏風 佛像" 통도사·불교미술사학회 6 : 2008
2 "한국의 사찰벽화 시리즈" 문화재청․성보문화재연구원 2013
3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남도" 문화재청·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 2011
4 "한국의 불화 1-40"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5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6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한국미술연구소 2014
7 박세진, "통도사 용화전 벽화의 제작시기 및 제작자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94 (294): 71-100, 2017
8 이용윤, "조선후기 통도사의 僧侶門中과 畵僧 任閑" 불교미술사학회 23 : 127-158, 2017
9 이용윤, "조선후기 영남의 불화와 승려문중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10 신은미, "조선후기 십육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1 송은석, "梁山 通度寺의 熙藏風 佛像" 통도사·불교미술사학회 6 : 2008
2 "한국의 사찰벽화 시리즈" 문화재청․성보문화재연구원 2013
3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남도" 문화재청·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 2011
4 "한국의 불화 1-40"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5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6 신광희, "한국의 나한도" 한국미술연구소 2014
7 박세진, "통도사 용화전 벽화의 제작시기 및 제작자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94 (294): 71-100, 2017
8 이용윤, "조선후기 통도사의 僧侶門中과 畵僧 任閑" 불교미술사학회 23 : 127-158, 2017
9 이용윤, "조선후기 영남의 불화와 승려문중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4
10 신은미, "조선후기 십육나한도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11 김현수, "조선후기 불화사 임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12 김희경, "조선후기 나한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13 박은경, "조선전기 불화 연구" 시공사 2006
14 신광희, "조선전기 민간발원 불화의 일례 : 일본 曹源寺 소장 <釋迦說法圖>" 불교미술사학회 13 : 41-64, 2012
15 권진영, "조선시대 후기 영산회상도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16 신광희, "조선시대 釋迦說法圖의 범본 일본 四天王寺 소장 1587년 <석가설법도>"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163-196, 2012
17 김정희, "조선 후반기 미술의 대외교섭" 예경 2007
18 김수영, "조선 16~17세기 석가설법도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8
19 박은경, "일본 소재 조선 전기 釋迦說法圖 연구" 석당학술원 (50) : 261-310, 2011
20 신광희, "여수 흥국사 십육나한도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5 (255): 65-102, 2007
21 박도화, "봉정사 대웅전 영산회후불벽화" 성보문화재연구원 17 : 2000
22 양희정, "고려시대 아미타팔대보살도 도상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7 (257): 67-103, 2008
23 신광희, "거조암 『오백성중청문』을 통해 본 한국의 오백나한 의례" 한국선학회 (51) : 225-251, 2018
24 고경, "韓國의 佛畵 畵記集" 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25 이용윤, "雪松門中 출신 畵僧 慈雲堂 指演의 활동과 助力者" 동악미술사학회 (22) : 5-30, 2017
26 엄기표, "通度寺의 朝鮮後期 石造浮屠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6 : 2008
27 "通度寺誌"
28 한정호, "通度寺 성보박물관 掛佛幀 특별전 5" 통도사성보박물관 2001
29 정우택, "朝鮮時代 釋迦說法圖 一例" 한국문화사학회 (27) : 953-966, 2007
30 김형곤, "朝鮮後期 畵僧 指演에 관한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11 : 107-140, 2011
31 정우택, "日本 四國地域 朝鮮朝 前期 佛畵 調査 硏究" 동악미술사학회 (9) : 57-89, 2008
32 유경희, "LA 카운티미술관 <神興寺 靈山會上圖>" 한국불교미술사학회 (45) : 53-76, 2015
33 김수영, "19세기 경북지역 석가여래후불도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 (20): 149-192, 2011
34 장희정, "18세기 通度寺와 畵師 任閑" 불교미술사학회 6 :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