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와 문화의 발달에 따라 소비자의 시각적 안목은 과거에 비하여 월등히 높아졌으며, 그에 따라 소비자를 자극시키는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술을 많이 마시는 과거의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59158
서울 : 성균관대학교, 2015
학위논문(석사) -- 성균대학교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과 , 2015. 8
2015
한국어
745.4 판사항(23)
서울
Research on RTD liquor package design preference for female consumers
x, 129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李京炫
참고문헌: p. 119-12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경제와 문화의 발달에 따라 소비자의 시각적 안목은 과거에 비하여 월등히 높아졌으며, 그에 따라 소비자를 자극시키는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술을 많이 마시는 과거의 문...
경제와 문화의 발달에 따라 소비자의 시각적 안목은 과거에 비하여 월등히 높아졌으며, 그에 따라 소비자를 자극시키는 다양한 브랜드와 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술을 많이 마시는 과거의 문화에서 이제는 술을 가볍게 즐기는 음주 문화가 확산되면서 주류시장은 문화를 주도하는 젊은층 타깃을 사로잡기 위한 제품을 내놓게 되는데 가장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가 RTD(Ready To Drink : 저도주)주류다. 특히 여성은 자본주의가 형성된 이래 꾸준한 구매력을 가진 소비자이므로 그에 따라 주류시장도 여성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RTD주류가 등장 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저도주의 매출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 여성의 구매 비율이 67.5%에 달한다고 한다. 순한 소주와 탄산, 과즙을 첨가해 달고 상큼한 맛을 내는 RTD주류는 현대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마실 때 부담이 적은 것을 선호하게 된 배경에서 나온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런 RTD주류는 과일의 맛과 도수를 제외하면 크게 차이가 없기에 패키지디자인의 역할이 더욱더 중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RTD주류 패키지디자인의 국내·해외 사례 연구와 패키지디자인의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구매력이 높은 20대 30대 여성소비자를 중심으로 타깃을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RTD주류의 패키지디자인 사례분석과 여성소비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을 비교분석한 결과 서로 일치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국내·해외 RTD주류 사례에 분석 차이는 다르게 나타났다.
라벨 메인이미지는 타이포 중심이 사례연구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소비자 선호도에서는 과일이미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표현방법에서는 로고강조형이 사례연구와 소비자 선호도가 일치하였다. 색상에서는 푸른색계열이 사례연구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 반면, 소비자 선호도에서는 붉은색계열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용기유형별에서도 일반형이 사례연구와 소비자 선호도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익숙한 형태의 용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다음으로 높은 선호도를 얻은 잡기 편한 슬림형 또한 좀 더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용기재질에서도 투명유리가 사례연구와 소비자 선호도가 일치하였으며, 이는 투명유리재질의 고급스러움이 RTD주류의 색상과 이미지와 잘 어울려져 많은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RTD주류 패키지디자인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고 향후 제작 방향과 디자인 발전에 필요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