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 어려움에 관한 질적(CQR)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Multicultural Families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fficulties Lif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83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multicultural families female marriage immigrantsexperience life in Korea to evaluate the difficulty. To this end, a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accomplished femalemarriage immigrants choose eight people to consensual conduct in-depthinterviews with qualitative analysis methods(CQR) were analyzed using.
      The findings in the three categories and therefore the region of 49 to12 depending on the frequency analysis. Female marriage immigrantsliving in Kore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experienced inthe relationship with your spouse, in-laws and relations, communicationproblems, difficulties in expressing emotional difficulties, respectively.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experienced discriminatory gaze,economic hardship, as a multicultural families become psychologicalatrophy, life, customs, and cultural differences, respectively. The processof coping with these experiences self-help meetings, participate incultural programs, and community systems were used. By the results ofthis study multicultural families immigrant women to help overcomedifficulties in the practical help and social services to the communitythrough the ongoing support system was required to suggestions.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multicultural families female marriage immigrantsexperience life in Korea to evaluate the difficulty. To this end, a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accomplished femalemarriage immigrants choose eight people to co...

      In this study, the multicultural families female marriage immigrantsexperience life in Korea to evaluate the difficulty. To this end, a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accomplished femalemarriage immigrants choose eight people to consensual conduct in-depthinterviews with qualitative analysis methods(CQR) were analyzed using.
      The findings in the three categories and therefore the region of 49 to12 depending on the frequency analysis. Female marriage immigrantsliving in Kore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experienced inthe relationship with your spouse, in-laws and relations, communicationproblems, difficulties in expressing emotional difficulties, respectively.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experienced discriminatory gaze,economic hardship, as a multicultural families become psychologicalatrophy, life, customs, and cultural differences, respectively. The processof coping with these experiences self-help meetings, participate incultural programs, and community systems were used. By the results ofthis study multicultural families immigrant women to help overcomedifficulties in the practical help and social services to the communitythrough the ongoing support system was required to sugges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들의 한국생활 경험의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에 거주하며 다문화 가정을 이룬 여성결혼이주자 8명을 선택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3개의 범주에서 12개 영역 및 그에 따른 49개의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을 하였다.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에서 심리⋅정서적 경험의 어려움에서 배우자와 관계, 시댁과의 관계, 의사소통 문제, 표현의 어려움, 정서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경험의 어려움은 차별적 시선,경제적 어려움, 다문화가정으로서 위축감, 생활⋅관습⋅문화 차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대처하는 과정으로는 자조모임, 다문화프로그램 참여, 지역사회체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다문화 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이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 서비스와 지역사회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들의 한국생활 경험의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에 거주하며 다문화 가정을 이룬 여성결혼이주자 8명을 선택하여 심층면접...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들의 한국생활 경험의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에 거주하며 다문화 가정을 이룬 여성결혼이주자 8명을 선택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3개의 범주에서 12개 영역 및 그에 따른 49개의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을 하였다.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에서 심리⋅정서적 경험의 어려움에서 배우자와 관계, 시댁과의 관계, 의사소통 문제, 표현의 어려움, 정서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경험의 어려움은 차별적 시선,경제적 어려움, 다문화가정으로서 위축감, 생활⋅관습⋅문화 차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대처하는 과정으로는 자조모임, 다문화프로그램 참여, 지역사회체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다문화 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이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 서비스와 지역사회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경기개발연구원, "한국 이민정책의 새로운 탐색" 118 : 1-21, 2013

      2 임안나, "한국 남성과 결혼한 필리핀 여성의 가족관계와 초국가적 연망" 서울대학교 2005

      3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4 홍기혜,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2000

      5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2012

      6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2008

      7 이선애,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낼 때 중소도시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겪는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8 이금연, "이주여성의 결혼과 가족" 2003

      9 이수자, "이주여성 디아스포라-국제성별분업, 문화혼성성, 타자화와 섹슈얼리티-" 한국사회학회 38 (38): 189-219, 2004

      10 "안전행정부"

      1 경기개발연구원, "한국 이민정책의 새로운 탐색" 118 : 1-21, 2013

      2 임안나, "한국 남성과 결혼한 필리핀 여성의 가족관계와 초국가적 연망" 서울대학교 2005

      3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4 홍기혜,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2000

      5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2012

      6 여성가족부,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2008

      7 이선애,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낼 때 중소도시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겪는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8 이금연, "이주여성의 결혼과 가족" 2003

      9 이수자, "이주여성 디아스포라-국제성별분업, 문화혼성성, 타자화와 섹슈얼리티-" 한국사회학회 38 (38): 189-219, 2004

      10 "안전행정부"

      11 홍현미라, "사회복지연구방법론의 실제" 학지사 2008

      12 전우택,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오름 출판사 2000

      13 채옥희,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61-74, 2007

      14 김유경,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정책 방안" 5-, 2009

      1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다문화가족의 변화전망과 정책과제" 45-62, 2011

      16 조한숙,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정체감 연구: 어머니 양육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8 (48): 87-102, 2010

      17 보건복지부, "국제여성결혼이주자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 방안" 2005

      18 권구영,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조사연구소 8 (8): 187-219, 2007

      19 김민정,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59-193, 2006

      20 권오희, "국내 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문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6

      21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22 이경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 한국건강심리학회 17 (17): 697-709, 2012

      23 Lundstedt, S., "introduction to some evolving problems in cross-cultural research" 14 : 1-9, 1963

      24 Castles, S.,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The Guilford Press 2003

      25 Adams, B, N., "The Family: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3rd ed)" T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 1990

      26 Ataca, B.,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 in canada" 37 (37): 13-26, 2002

      27 James, S., "Marit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of sojourner adjustment: Expanding the field of enquiry" 28 : 111-126, 2004

      28 Piper, N., "Introduction : Marriage and Migration in an Age of Globalization"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3

      29 Constable, N., "Introduction : Cross-Border Marriages, Gendered Mibility and Global Hypergamy" University of Philadelphia Press 2005

      30 Ward, C., "Home and host culture influences of sojourner adjustment" 2 : 291-306, 2001

      31 Oberg, K., "Culture shock and the problem of adjustment to new cultural environments" 7 : 170-179, 1960

      32 Hill, C.,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rative Research" 25 (25): 517-572, 1977

      33 하밍타잉,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 : 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 ->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Extension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6 1.05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