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젊은 세대 공무원들의 공직이탈 문제가 공직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설명하는 다양한 원인 가운데 그 중에서도 특히 공직문화는 이러한 현상의 주원인으로 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29933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9-107(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젊은 세대 공무원들의 공직이탈 문제가 공직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설명하는 다양한 원인 가운데 그 중에서도 특히 공직문화는 이러한 현상의 주원인으로 빈...
최근 들어 젊은 세대 공무원들의 공직이탈 문제가 공직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를설명하는 다양한 원인 가운데 그 중에서도 특히 공직문화는 이러한 현상의 주원인으로 빈번하게지목되어왔다. 그러나 이러한 주목에도 불구하고 조직문화가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실증분석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또한, 그동안은 밀레니얼과 Z세대를 MZ세대라는 동질집단으로간주하고 정책담론을 전개한 경우가 일반적이었으나 두 세대는 이질적 특성을 지닌 고유집단으로서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각기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본 연구는 조직문화가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관계에 있어 세대별 조절효과를실증분석하였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22년 공직생활실태조사」데이터를 바탕으로 순서형 로짓(ordered logit)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합리문화, 혁신문화, 관계문화, 위계문화 중에서 공무원의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주는 문화는 위계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밀레니얼과 Z세대는조직문화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서로 다른 조절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레니얼세대의경우 조직문화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있어 부(-)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문화는 혁신문화이며, Z세대의 경우는 관계문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문화는 두 세대 모두가 정(+)의 조절효과를내는 문화이며, 합리문화는 밀레니얼세대에게만 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문화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growing attention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government, which has been frequently cited as a key reason for the rapidly increasing turnover rate among young public officials,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Despite growing attention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government, which has been frequently cited as a key reason for the rapidly increasing turnover rate among young public officials,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urnover intention have been limited. Moreover, discourse about generational effects within public administration communities tends to focus on the MZ generation, which combines the Millennial and Generation Z into the same group. However,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and examine the effects of each generation on public administr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public officials by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s of the Millennial and Generation Z. By utilizing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s 2022 Public Employee Viewpoint Survey and employing ordered logit reg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a hierarchical cultur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Moreover, we found that the effects of adhocracy culture on turnover intention are negatively moderated by Millennials, and the effects of clan culture on turnover intention are negatively moderated by Generation Z. In addition, the effects of hierarchical culture on turnover intention are positively moderated by both generations, and only the Millennial generation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onal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offer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자체평가가 정부업무평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패널순서형 프로빗 모형 이용
정부공정성 인식이 사회적 포용에 미치는 영향: 정부신뢰와 사회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공조직의 일하는 방식 혁신에 관한 연구 : 조직 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