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새로운 과거: 쿠르트 레빈의 'action-research'를 중심으로 = A New Past of Acti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action-research' of Kurt Lew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62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ti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Kurt Lewin (1890-1947), famous progenitor of action research and social psychology. He was an American social psychologist and social practitioner. This will help us find a way of performing it in Korean school situation.
      Lewin had tried to establish Psychology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from philosophy or physiology by scientifically explaining human behavior. The Field Theory was his answer to his project. The field is a subjective inter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of a person. The field constructs his life space and determines his behavior.
      On the basis of field theory, Lewin tried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s of discrimination between social groups of Jews and Anglo or black and white. He suggests that the spiral process of planning, execution, diagnosis is necessar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He called this as social practice or rational social management. The ke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is an action that is able to transform the behavior determined by the field of a person. It is the need to observe and interview the person to comprehend his life space from his perspective. A comparative experiment will let us find out the proper action to change his behavior. Lewin called this process of inquiry as ‘action-research.’ The ‘action-research’ of Lewin is an inquiry exploring an action that can change existing behaviors that cause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in intergroup relationships into new behaviors. The primary purpose of his ‘action-research’ is to transform the behavior of practitioner. It is a means to change society.
      The social practice and ‘action-research’ of Lewin would be useful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schools. Viewing from a pupil’s perspective can be a case of Lewin’s ‘action-research’ for Korean school teac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ti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Kurt Lewin (1890-1947), famous progenitor of action research and social psychology. He was an American social psychologist and social practitioner. This will help us f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ction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Kurt Lewin (1890-1947), famous progenitor of action research and social psychology. He was an American social psychologist and social practitioner. This will help us find a way of performing it in Korean school situation.
      Lewin had tried to establish Psychology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from philosophy or physiology by scientifically explaining human behavior. The Field Theory was his answer to his project. The field is a subjective inter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of a person. The field constructs his life space and determines his behavior.
      On the basis of field theory, Lewin tried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s of discrimination between social groups of Jews and Anglo or black and white. He suggests that the spiral process of planning, execution, diagnosis is necessar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He called this as social practice or rational social management. The key to resolve the social problem is an action that is able to transform the behavior determined by the field of a person. It is the need to observe and interview the person to comprehend his life space from his perspective. A comparative experiment will let us find out the proper action to change his behavior. Lewin called this process of inquiry as ‘action-research.’ The ‘action-research’ of Lewin is an inquiry exploring an action that can change existing behaviors that cause problems such as discrimination in intergroup relationships into new behaviors. The primary purpose of his ‘action-research’ is to transform the behavior of practitioner. It is a means to change society.
      The social practice and ‘action-research’ of Lewin would be useful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schools. Viewing from a pupil’s perspective can be a case of Lewin’s ‘action-research’ for Korean school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흔히 실행연구로 번역되는 ‘action research’를 사회심리학자이자 사회실천가인 레빈(Kurt Lewin, 1890-1947)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 현장에서 ‘action research’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지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빈은 인간의 행동(behavior)을 과학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심리학을 철학이나 생리학으로부터 독립된 학문으로서 정립하고자 했다. 그 목적을 위해서 그는 장이론(field theory)을 개발했다. 장은 한 사람의 주변에 놓여있는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이 그의 의식 속에서 상호의존적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한 사람의 주관적인 생활공간(life space)을 구성한다. 한 개인의 행동은 그가 어떤 장에 놓여있는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레빈은 이러한 장이론을 바탕으로 집단 간 차별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는 집단 간 관계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획, 실행, 사실-발견의 나선적 순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것을 사회적 실천 또는 합리적인 사회 관리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적 실천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에 의해서 구속되는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도록 해야 하는데,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행위(action)이라고 불렀다. 그런 행위를 찾기 위해서는 장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가운데 한편으로는 당사자들을 관찰하고 면담하여 그들의 생활공간을 그들의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비교 실험 등을 통해서 그들의 기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행위들을 찾아야 한다. 레빈은 이러한 탐구의 과정을 ‘action-research’라고 불렀다.
      레빈의 ‘action-research’는 집단 간 관계에서 차별 등과 같은 문제를 유발하는 기존의 행동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행위를 탐구하는 연구이다. 그러기 위해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가의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실천가들의 행동을 변화함으로서 사회를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레빈의 이러한 사회적 실천과 그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action-research’는 현재 한국의 학교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그러한 사례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흔히 실행연구로 번역되는 ‘action research’를 사회심리학자이자 사회실천가인 레빈(Kurt Lewin, 1890-1947)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 현장에서 ‘action research’가 어떻게 이루...

      이 연구는 흔히 실행연구로 번역되는 ‘action research’를 사회심리학자이자 사회실천가인 레빈(Kurt Lewin, 1890-1947)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 현장에서 ‘action research’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한지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레빈은 인간의 행동(behavior)을 과학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심리학을 철학이나 생리학으로부터 독립된 학문으로서 정립하고자 했다. 그 목적을 위해서 그는 장이론(field theory)을 개발했다. 장은 한 사람의 주변에 놓여있는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이 그의 의식 속에서 상호의존적으로 결합된 것으로서, 한 사람의 주관적인 생활공간(life space)을 구성한다. 한 개인의 행동은 그가 어떤 장에 놓여있는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레빈은 이러한 장이론을 바탕으로 집단 간 차별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는 집단 간 관계의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획, 실행, 사실-발견의 나선적 순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것을 사회적 실천 또는 합리적인 사회 관리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러한 사회적 실천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에 의해서 구속되는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도록 해야 하는데,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행위(action)이라고 불렀다. 그런 행위를 찾기 위해서는 장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가운데 한편으로는 당사자들을 관찰하고 면담하여 그들의 생활공간을 그들의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비교 실험 등을 통해서 그들의 기존 행동을 변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행위들을 찾아야 한다. 레빈은 이러한 탐구의 과정을 ‘action-research’라고 불렀다.
      레빈의 ‘action-research’는 집단 간 관계에서 차별 등과 같은 문제를 유발하는 기존의 행동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행위를 탐구하는 연구이다. 그러기 위해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가의 기존의 행동을 변화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한다. 실천가들의 행동을 변화함으로서 사회를 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레빈의 이러한 사회적 실천과 그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action-research’는 현재 한국의 학교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으며,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는 그러한 사례 가운데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정호, "현장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에 대한" 26-28, 2002

      2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3 기다 겐, "현상학 사전" 도서출판 b 2011

      4 서근원,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의 성찰적 이해: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교육인류학회 21 (21): 43-92, 2018

      5 김영천, "학교교육현상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35 (35): 135-170, 1997

      6 최의창, "학교교육의 개선, 교사연구자, 그리고 현장개선연구" 16 (16): 373-399, 1998

      7 서근원, "학교 혁신의 패러독스 : 교민(敎民)에서 회인(誨人)으로" 강현출판사 2012

      8 서근원, "풀뿌리 교육론 :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 교육과학사 2016

      9 김경희, "평생교육 연구방법 탐색: 반성적 실천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55-80, 2005

      10 사카베 메구미, "칸트사전" 도서출판 b 2009

      1 조정호, "현장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에 대한" 26-28, 2002

      2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3 기다 겐, "현상학 사전" 도서출판 b 2011

      4 서근원,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수업의 성찰적 이해: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교육인류학회 21 (21): 43-92, 2018

      5 김영천, "학교교육현상탐구를 위한 질적 연구의 방법과 과정" 35 (35): 135-170, 1997

      6 최의창, "학교교육의 개선, 교사연구자, 그리고 현장개선연구" 16 (16): 373-399, 1998

      7 서근원, "학교 혁신의 패러독스 : 교민(敎民)에서 회인(誨人)으로" 강현출판사 2012

      8 서근원, "풀뿌리 교육론 : 교육과정과 수업, 그리고" 교육과학사 2016

      9 김경희, "평생교육 연구방법 탐색: 반성적 실천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11 (11): 55-80, 2005

      10 사카베 메구미, "칸트사전" 도서출판 b 2009

      11 박병기, "장이론" 교육과학사 1998

      12 이용숙, "인류학적 실행연구" 2002

      13 이우주, "영어교육 실행연구 논문 분석을 통한 실행연구 방법론 방향성 연구" 현대영어교육학회 20 (20): 104-116, 2019

      14 서근원,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교육적 실천으로서의 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 2009

      15 김희연, "실행연구자(action researcher)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일고"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235-255, 2004

      16 조재성, "실행연구 이론과 방법" 아카데미프레스 2016

      17 조영태, "수업방법" 배영사 1-169, 1989

      18 서근원, "수업, 어떻게 볼까? : 아이의 눈을 찾아서" 교육과학사 2013

      19 서근원, "수업 개선의 대안적 방안 탐색:교육인류학의 수업대화" 교육연구소 9 (9): 95-132, 2008

      20 송호열, "세계 지명 유래 사전" 성지문화사 2006

      21 김춘경, "상담학 사전" 학지사 2016

      22 Lewin, K, "사회적 갈등 해결하기" 부글북스 2016

      23 Lewin, K, "사회과학에서의 장이론" 민음사 1987

      24 성열관, "반성적 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실천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61-282, 2005

      25 양창삼, "밀물 3권" 66-72, 1983

      26 유기웅, "미래사회와 경력개발" 박영스토리 189-212, 2020

      27 변기용, "근거이론적 방법: 현장 기반 이론 생성을 위한 질적 연구" 학지사 2020

      28 김경은, "국내 유아교육분야 실행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 한국육아지원학회 11 (11): 133-156, 2016

      29 강후동, "국내 영어교육분야 실행연구 동향 분석" 한국영어교육학회 71 (71): 111-139, 2016

      30 강지영,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197-224, 2011

      31 이용숙,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는 실행연구방법" 학지사 2005

      32 정택희, "교육학대백과사전" 하우 2897-2902, 1998

      33 서울대학교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 사전" 하우 1994

      34 유재봉, "교육평가용어사전" 학지사 2004

      35 서근원, "교육인류학의 수업 이해 과정과 그 의의에 관한 질적 사례 기술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4 (14): 77-128, 2011

      36 이상욱, "과학으로 생각한다: 과학 속 사상, 사상 속 과학" 동아시아 2007

      37 경기도교육연수원, "고교 학점제 전문가 과정"

      38 서근원,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한 일본의 치료놀이 방안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111-1141, 2020

      39 Lewin, K., "Resolving Social Conflict" Harper & Row 201-216, 1948

      40 Lewin, K., "Patterns of aggressive behavior in experimentally created “social climates”" 10 : 271-299, 1939

      41 Lewin, K., "Action research and minority problems" 2 (2): 34-46, 1946

      42 전라남도교육연수원, "2020 교사미래교육과정 특별연수 운영 계획"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nthropology of Education -> The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 1.903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