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輸出企業과 海外輸入企業間 去來에서 信賴-關係行動-企業成果에 關한 實證硏究 = (An)Empirical Study on Trust-Relationship Behavior-Business Performance in the Tranctions between Exporters and Foreign Impor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601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신뢰가 기업성과의 산출로 이어지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출기업의 관계행동을 신뢰와 기업성과의 매개요인으로 하는 신뢰-관계행동-기업성과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수출경로에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신뢰를 접근함에 있어서 수출기업의 해외 수입기업에 대한 신뢰를 기본으로 하되, 본 연구의 확장으로 신뢰의 측정방식을 달리하여 해외수입기업의 수출기업에 대한 신뢰, 그리고 해외수입기업과 수출기업간의 신뢰차이를 기초로 신뢰-관계행동-기업성과간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비교 검토함으로써 신뢰기반 거래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제경영환경으로의 연구 확장으로 수출경로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제안한 모델에서 신뢰-관계행동-기업성과 관계에서 심리적 거리차이에 따른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실무적인 적용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모델은 259개 국내 IT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검증되었으며, 연구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관계행동 관계에서는 수출기업이 해외 수입기업을 신뢰할수록 수출기업의 관계투자나 정보교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행동-기업성과 관계에서는 수출기업의 정보교환 활동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제품성능개선과 관계만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보교환과 재무성과 간에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없었다. 그리고 관계투자의 경우에는 제품성능개선, 재무성과, 관계만족요인 모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교환을 통해 간접적으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성과간 관계에서는, 기업의 제품성능개선이 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가지고 재무성과는 다시 관계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관계만족 관계에서는, 수출기업의 해외 수입기업에 대한 신뢰는 수출기업의 해외수입기업과의 관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설검증결과를 토대로 신뢰가 기업성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면, 수출기업의 해외수입기업에 대한 신뢰는 해외수입기업의 니즈와 역량에 적응하기위한 관계투자와 정보교환을 증가시킴으로써 제품성능의 개선을 가져오고 이를 통해 수출기업의 재무성과는 높아지며 해외수입기업과의 정보교환과 재무성과로 인해 기업의 거래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신뢰측정과 관련된 두 번째 연구로서 두 가지 관점 즉, 해외수입기업의 수출기업에 대한 신뢰와 해외수입기업과 수출기업간의 신뢰차이를 기초로 신뢰-관계행동-기업성과 관계를 검증한 연구결과에서는, 본 연구의 검증결과와는 달리 신용성과 신용성차이는 관계투자와 관계만족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고, 우호성과 우호성의 차이는 정보교환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수출기업의 정보교환도 제품성능개선과 관계만족 뿐 만 아니라 재무성과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출기업의 해외수입기업에 대한 신뢰와 관계행동, 기업성과가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거리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에서는, 심리적거리가 신뢰와 정보교환간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정보교환과 제품성능개선, 신뢰와 제품성능 개선간의 관계에서는 심리적 거리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신뢰가 기업성과의 산출로 이어지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출기업의 관계행동을 신뢰와 기업성과의 매개요인으로 하는 신뢰-관계행동-기업성과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

      본 연구에서는 신뢰가 기업성과의 산출로 이어지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수출기업의 관계행동을 신뢰와 기업성과의 매개요인으로 하는 신뢰-관계행동-기업성과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수출경로에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신뢰를 접근함에 있어서 수출기업의 해외 수입기업에 대한 신뢰를 기본으로 하되, 본 연구의 확장으로 신뢰의 측정방식을 달리하여 해외수입기업의 수출기업에 대한 신뢰, 그리고 해외수입기업과 수출기업간의 신뢰차이를 기초로 신뢰-관계행동-기업성과간의 관계를 추가적으로 비교 검토함으로써 신뢰기반 거래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결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제경영환경으로의 연구 확장으로 수출경로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제안한 모델에서 신뢰-관계행동-기업성과 관계에서 심리적 거리차이에 따른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실무적인 적용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모델은 259개 국내 IT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검증되었으며, 연구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관계행동 관계에서는 수출기업이 해외 수입기업을 신뢰할수록 수출기업의 관계투자나 정보교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행동-기업성과 관계에서는 수출기업의 정보교환 활동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제품성능개선과 관계만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보교환과 재무성과 간에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없었다. 그리고 관계투자의 경우에는 제품성능개선, 재무성과, 관계만족요인 모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교환을 통해 간접적으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성과간 관계에서는, 기업의 제품성능개선이 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가지고 재무성과는 다시 관계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관계만족 관계에서는, 수출기업의 해외 수입기업에 대한 신뢰는 수출기업의 해외수입기업과의 관계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설검증결과를 토대로 신뢰가 기업성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면, 수출기업의 해외수입기업에 대한 신뢰는 해외수입기업의 니즈와 역량에 적응하기위한 관계투자와 정보교환을 증가시킴으로써 제품성능의 개선을 가져오고 이를 통해 수출기업의 재무성과는 높아지며 해외수입기업과의 정보교환과 재무성과로 인해 기업의 거래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신뢰측정과 관련된 두 번째 연구로서 두 가지 관점 즉, 해외수입기업의 수출기업에 대한 신뢰와 해외수입기업과 수출기업간의 신뢰차이를 기초로 신뢰-관계행동-기업성과 관계를 검증한 연구결과에서는, 본 연구의 검증결과와는 달리 신용성과 신용성차이는 관계투자와 관계만족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고, 우호성과 우호성의 차이는 정보교환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수출기업의 정보교환도 제품성능개선과 관계만족 뿐 만 아니라 재무성과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출기업의 해외수입기업에 대한 신뢰와 관계행동, 기업성과가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거리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에서는, 심리적거리가 신뢰와 정보교환간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정보교환과 제품성능개선, 신뢰와 제품성능 개선간의 관계에서는 심리적 거리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 a trust-relationship behavior-business performance model including relationship behavior as the mediating factor between trust and performance, and The research model is tested empirically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of 259 Korean IT export fir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trust an export firm shows toward its foreign import firm, the more it invests in the relationship and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foreign import firm.
      Secondly, whereas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roduct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an export firm was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activity between it and its foreign import firm, the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activity appeared no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s financial performance. Meanwhile, relationship investmen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any of the business performance factors
      Third, we found that the improvement in product performance resulting from an export firm’s relationship behavior (information exchange)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its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enhanced financial performance, in turn, produc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we found that the trust an export firm has in its foreign import firm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felt by it.
      번역하기

      This study propose a trust-relationship behavior-business performance model including relationship behavior as the mediating factor between trust and performance, and The research model is tested empirically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of 2...

      This study propose a trust-relationship behavior-business performance model including relationship behavior as the mediating factor between trust and performance, and The research model is tested empirically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a survey of 259 Korean IT export fir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trust an export firm shows toward its foreign import firm, the more it invests in the relationship and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foreign import firm.
      Secondly, whereas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roduct performance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an export firm was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activity between it and its foreign import firm, the level of information exchange activity appeared not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s financial performance. Meanwhile, relationship investmen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any of the business performance factors
      Third, we found that the improvement in product performance resulting from an export firm’s relationship behavior (information exchange)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its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enhanced financial performance, in turn, produce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Fourth, we found that the trust an export firm has in its foreign import firm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felt by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6
      • 제2장 이론적 고찰 11
      • 제1절 신 뢰(Trust) 11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6
      • 제2장 이론적 고찰 11
      • 제1절 신 뢰(Trust) 11
      • 제2절 관계 행동(Relationship Behavior) 19
      • 제3절 기업 성과(Business Performance) 24
      • 제3장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25
      • 제1절 연구 가설의 설정 25
      • 제2절 연구 모형 31
      • 제4장 연구 방법론 33
      • 제1절 표본 설계 및 설문 개발 33
      •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39
      • 제3절 분석 방법 41
      • 제5장 가설 검증 43
      • 제1절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43
      • 제2절 가설의 검증 45
      • 제3절 가설검증 결과의 토의 51
      • 제6장 신뢰의 측정방식에 따른 연구 확장 70
      • 제1절 해외수입기업의 수출기업에 대한 신뢰에 기초한 연구모 델 검증 71
      • 제2절 해외수입기업과 수출기업간 신뢰차이에 기초한 연구모델 검증 82
      • 제7장 국제 경영 환경으로의 연구 확장 - 심리적 거리를 중심으로 93
      • 제1절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93
      • 제2절 심리적 거리 95
      • 제3절 가설의 설정 98
      • 제4절 연구 방법 103
      • 제5절 가설 검증 결과 108
      • 제8장 결론 및 시사점 118
      •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118
      • 제2절 연구의 시사점 125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28
      • < 참고 문헌 > 130
      • < Abstract > 14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