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 The Research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Influence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89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how experiences related to multicultural issues influence the understanding, perception, attitudes, and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512 earl...

      This research examines how experiences related to multicultural issues influence the understanding, perception, attitudes, and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512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participated. Their multiculture-related experiences and their understanding, multiculture-related characteristics(perception, attitudes,and self-efficacy concerning multiculture)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re preservice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took multiculture-related courses, had experiences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raveled to other countries, and took courses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 than their counterparts in Korea.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 according to their multiculture-related experiences between Korean and the United States preservice teacher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ulticultural experiences and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On the contrary,Korean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classes wit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bette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Regarding self-efficacy, there were no differences with varying multiculture-related experiences in the United States, whereas Korean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multiculture-related courses exhibited higher degree of self-efficacy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영자,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한울 2007

      2 이승하,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황과 다문화 교육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0

      3 김영연, "한국과 미국에서의 다문화 유아음악교육 비교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01-321, 2010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2008

      5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2006

      6 임주용,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경희대학교 2009

      7 교육부,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8 지성애,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실태와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51-369, 2006

      9 윤갑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를 통해 본 유아다문화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33-257, 2011

      10 이은진,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운영 실태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69-297, 2008

      1 양영자,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한울 2007

      2 이승하,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황과 다문화 교육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0

      3 김영연, "한국과 미국에서의 다문화 유아음악교육 비교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01-321, 2010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2008

      5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2006

      6 임주용, "청소년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효능감" 경희대학교 2009

      7 교육부,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8 지성애,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실태와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51-369, 2006

      9 윤갑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를 통해 본 유아다문화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33-257, 2011

      10 이은진,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 운영 실태 및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269-297, 2008

      11 김윤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국민대학교 2009

      12 윤현숙,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415-430, 2008

      13 채영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적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2 (12): 165-190, 2008

      14 성영화, "유아교사의 다문화 신념 측정도구 개발 및 교사 관련 변인 탐색" 성균관대학교 2010

      15 장지영,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광주여자대학교 2008

      16 전덕수,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및 실제" 연세대학교 2008

      17 박미경,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다문화 교육의 개념,실천 형태 및 실천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5-27, 2008

      18 최윤영, "유아교사 관련 변인에 따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 계명대학교 2008

      19 김영옥,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6 (6): 1-38, 2002

      20 김현주,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17-128, 2008

      21 김낙흥,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지식적 기반과 교수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2 (12): 215-240, 2008

      22 송지연,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다문화교육 신념연구:다문화가정 영유아 지도유무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2008

      23 노명옥,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연구:서울시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09

      24 김래경, "반편견 교육에 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전남대학교 2001

      25 정진경,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 23 (23): 101-136, 2004

      26 이영석, "다문화시대 현장유아교육의 나아갈 길"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55-75, 2007

      27 박성혁, "다문화교육정책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정책의 방향 모색"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97-127, 2009

      28 최인순,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연구" 군산대학교 2008

      29 정선희,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 1997

      30 이경우, "다문화 환경 체크리스트에 관한 기초" 1 : 83-98, 1999

      31 문화일보, "다문화 아이들도 미래 주역, 지금 끌어안아야"

      32 조해동, "다문화 아이들도 미래 주역, 지금 끌어안아야"

      33 임갑자, "다문화 배경을 가진 유아의 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 총신대학교 2008

      34 최유경,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배재대학교 2011

      35 이미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및 교육 실제 비교" 가톨릭대학교 2004

      36 김혜자,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효능감 및 교육실제" 건국대학교 2009

      37 노은영,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육실제연구" 경기대학교 2008

      38 이춘자, "다문화 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8 (8): 19-47, 2008

      39 하숙현, "다문화 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양육실제 연구조사" 성균관대학교 2000

      40 손정미, "다문화 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교 2009

      41 모경환,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63-182, 2007

      42 Dariling-Hammond, L., "desig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Jossey-Bass 390-441, 2005

      43 Merryfield, M. M., "Why aren’t teachers being prepared to teach or diversity, equity, and global interconnectedness?: A study of lived experiences in the marking of multicultural and global education" 16 : 429-443, 2000

      44 Colon-Muniz, A., "What do graduate say abou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19 (19): 85-108, 2010

      45 Capella-Santana, N., "Voices of teacher candidates: Positive changes in multicultural attitudes and knowledge" 96 (96): 182-190, 2003

      46 Adam, M., "The sociomoral development of undergraduates in a " social diversity" course: Developmental theory, research and instructional applications" Eric 1993

      47 Guyton, E. M.,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7 (7): 21-29, 2005

      48 Cooper, J. E., "Strengthening the case for community-based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58 (58): 245-255, 2007

      49 Gainer, J., "Reproducing and interrupting subtractive schooling in teacher education" 17 (17): 41-47, 2010

      50 Barry, N. H.,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about and awareness of multicultural teaching and learning" 11 (11): 149-161, 1995

      51 Xu, H., "Preservice teachers integrate understandings of diversity into literacy instruction: An adaptation of the ABC’s model" 51 (51): 135-142, 2000

      52 Vescio, V., "Preparing multicultural teacher educators: Toward a pedagogy of transformation" 36 (36): 5-24, 2009

      53 Kivisto, P., "Multiculturalism in a global society" Blackwell publishing 2002

      54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Allyn & Bacon 1993

      55 Cho, G., "Is ignorance bliss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89 (89): 24-28, 2005

      56 Szabo, S., "Helping teacher candidates examine their multicultural attitude" 87 : 190-197, 2009

      57 Hill-Jackson, V., "Having our say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43 (43): 174-181, 2007

      58 Dillard, C. B., "From lessons of self to lessons of others: Exploring the role of autobiography in the process of multicultural learning and teaching" 4 (4): 33-37, 1996

      59 Ambe, E. B., "Fostering multicultural appreciation in pre-service teachers through multicultural curricular transformation" 22 (22): 690-699, 2006

      60 Ladson-Billings, G., "Fighting for our lives: Preparing teachers to teach African American studies" 51 (51): 206-214, 2000

      61 Moule, J., "Face-to-face over race: Personal challenges from instituting a social justice perspective in our teacher education program" 16 (16): 121-142, 2003

      62 Tatto, M. T., "Examining values and beliefs about teaching diverse students: Understanding the challenges or teacher education" 18 (18): 155-180, 1996

      63 Irvine, J. J., "Educating teachers for diversity: Seeing with a cultural eye" Teachers College Press 2003

      64 Levin, A., "Educating school teachers" The Education Schools Project

      65 Villegas, A., "Educat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A cohesive approac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66 Ladson-Billings, G., "Crossing over to Canaan: The journeys of new teachers in diverse classrooms" Jossey-Bass 1999

      67 Carpenter-LaGattuta, A., "Challenges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9 (9): 27-29, 2002

      68 Smith, E.,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hilosophical frameworks and models for teaching" 16 (16): 45-50, 2009

      69 U.S. Census Bureau, "Annual estimates of the resident poulation by age, sex, race, and Hispanic origin for counties"

      70 Banks, J. 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2nd ed.)" Allyn & Bacon 1999

      71 Grant, C., "A decade of research on the changing terrain of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In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2nd ed)" Jossey-Bass 184-207, 2004

      72 이은화, "21세기에 대비한 반편견 교육" 1 : 9-14,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7 2.161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