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Emotion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Nursing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51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보육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보육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교사효능감, 정서적 지지, 소진 정도를 측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t-검증, F-검증, 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연령, 결혼여부와 영아의 나이는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개인적 교사효능감보다 소진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었고, 영향력은 소진과 정서적 지지의 하위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정서적 지지에 비해 교사 효능감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emotion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nursing teach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3 infant nursing teachers who work in child care facilities in Busan. Coll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emotion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nursing teacher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3 infant nursing teachers who work in child care facilities in Busa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fant teachers` age, marital status and infants` ag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infant nursing teachers. Second, teacher efficacy influenced on psychological burnout of infant nursing teachers. General teacher efficacy has a stronger influence on psychological burnout than personal teacher efficacy. Third, emotional support influenced on psychological burnout of infant nursing teachers and it`s influence were different depending upon sub-factors of burnout and emotional support. Emotional exhaustion was influenced the most by emotional support. Fourth, teacher efficacy was more influential on the psychological burnout than emotional suppor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i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up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선순,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 양일, "초등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학교조직문화 간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3 양연숙, "장애전담 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7) : 175-195, 2006

      4 張恩株,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생활 만족도와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8

      5 이금란, "유치원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 권나연, "유치원교사의 직무환경의 위험요소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역할"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7 이은주, "유치원교사의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배영선, "유치원 일반학급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소진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이경화, "유치원 교사가 지각하는 교사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99-113, 2011

      10 김사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교수 효능감 및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1 신성아,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2 안상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3 장영희, "영아교육과정" 양서원 2003

      14 김지은, "영아교사의 개인적 배경 및 근무여건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8 (28): 149-162, 2007

      15 이은혜, "어린이집 영아반 운영의 실체" 교육과학사 2005

      16 유정혜,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17 신혜영,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18 안효진, "어린이집 교사의 귀인 성향,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8 (28): 221-232, 2007

      19 유영란, "성격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최혜윤,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279-300, 2003

      21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22 오유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23 허용남,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7

      24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한국아동학회 26 (26): 359-373, 2005

      25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69-79, 2005

      26 심순애,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7 이성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1-50, 2007

      28 이영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발달과의 관계"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9 유현정,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이직의도 간의 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0 김현화, "보육교사의 개인특성과 직무만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0

      31 유정이, "교육환경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교육학회 15 (15): 315-328, 2002

      32 이정숙, "교사의 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3 장기보, "간호장교의 심리적 소진과 사회적 지지 지각, 자기 효능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3

      34 金正輝, "敎師의 職務 스트레스와 精神·身體的 症狀 또는 脫盡과의 관계 : A형 性格과 社會的 支援의 緩衝 效果를 중심으로" 中央大學校 大學院 1992

      35 House, J. S.,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ddison-Wesley 1981

      36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perceived burnout" 2 : 99-113, 1981

      37 Paine, W. S., "The burnout phenomenon" 56 (56): 30-33, 1981

      38 Kirk, W., "Teacher support groups serve to minimize burnout" 102 : 147-150, 1981

      39 Ashton, P. T., "Teacher efficacy :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4 (34): 148-165, 1984

      40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28-32, 1984

      41 Cohen, 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98 : 310-357, 1985

      42 Baruch-Feldman, Caren, "Sources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7 (7): 84-93, 2002

      43 Cohen, S.,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tters of life change stress" 13 : 99-125, 1983

      44 Wangberg, E. G., "Helping teachers cope with stress" 39 : 452-454, 1981

      45 Moracco, J. C., "Burnou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 Prevention and remediation" 19 (19): 59-66, 198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6 2.26 2.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6 2.22 2.44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