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 of Long-term Care Workers’ Health Awareness on Life Satis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64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long-term care workers,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approach.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influe nce of long-te...

      Backgroun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long-term care workers,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approach.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influe nce of long-term care workers’ health awareness on their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600 long-term care workers working at Nursing homes and Nursing facilities located in Seou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are analyzed with Multi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ameters to the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are as follows: marriage, education, religion and work places. And as the minor parameters that influence the rate of life satisfaction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otional health (β=0.178, p<0.01) and the intellectual health (β=0.281, p<0.001)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 as follows: there is a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aware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more women than men, and the higher income, the higher health awareness. The findings point out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intellectual health and efforts to promote better health and demand for a societal change in health awareness.
      This study provides the baseline data for a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 and political suggestion by examining how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awarenes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of long-term care workers, and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배경: 지금까지 요양보호사 본인의 지적·정신적·정서적·사회적 건강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다. 향후 장기요양서비스 핵심 인력인 요양보호사의 건강과 생활만족을 증진시키는 �...

      연구 배경: 지금까지 요양보호사 본인의 지적·정신적·정서적·사회적 건강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다. 향후 장기요양서비스 핵심 인력인 요양보호사의 건강과 생활만족을 증진시키는 방안과 공공영역에서의 적극적, 예방적 관리시스템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자 조사는 2013년 11월 10일부터 2013년 12월30일까지 서울시내의 요양시설과 재가(방문)센터 요양보호사600명을 무작위 선정하여 임의표집 방식으로 설문조사하였고,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 응답지 582부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50부를 제외하고 분석에 활용된 최종 자료는 총532부이다.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인식 수준을 보면 60세 이상의 연령대가 40대, 50대에 비해 건강인식이 낮았고, 기혼자일 경우와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 경우에, 월 소득이 많을수록, 건강 수준이 높았다. 근무지별 특성은재가(방문)센터 종사자가 ‘기타’라고 응답한 종사자에 비해 건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cheffe test를 실시한 결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낸 변수는 결혼, 학력, 종교, 근무지인 것으로 밝혀졌다. 요양보호사의 주관적 건강인식 평균은3.74 (standard deviation [SD], 0.56)점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가 중간 이상이라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개인 특성은 결혼, 학력, 종교, 월 소득이었고 기혼자가 사별, 별거, 이혼중인사람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았으며 고학력일수록, 종교를 가진경우에, 월 소득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의 하위변수로는 정서적건강(β=0.178, p<0.01)과 지적 건강(β=0.281, p<0.001)이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
      넷째,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가 r<0.8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요양보호사의 건강인식은 결혼, 교육, 종교, 월 소득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령, 근무연수, 근무지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생활만족도와 주요 변인과의 상관관계는 연령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결혼, 교육, 종교, 월 소득, 건강인식과는 양의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연구 결과 요양보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인식이 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정서적건강과 지적 건강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활동 참여가 많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의 5가지 변인별 분석 가운데 지적 건강이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때, 지적 건강 증진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정서적・지적 건강의 중요성과 개인인식변화, 건강증진 노력, 우리 사회의 의식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혜,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2 (22): 209-225, 2002

      2 이윤진, "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 노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35-59, 2013

      3 이여진,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145-153, 2012

      4 정순둘,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249-272, 2012

      5 곽미정, "수도권 법인과 개인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및 서비스 질 영향요인 연구 : 교육, 직무 스트레스, 업무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명일, "서울시 거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연구: 다층모형 적용을 통한 개인의 노후준비와 지역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327-360, 2013

      7 이형하, "건강타운 이용노인의 삶의 질 변화 결정요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7 (17): 201-209, 2012

      8 Anspaugh D., "Wellness: concepts and application" Mosby 1994

      9 Hettler B., "Wellness : encouraging a lifetime pursuit of excellence" 8 : 13-17, 1984

      10 Campbell A.,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awarenes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1976

      1 한경혜,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2 (22): 209-225, 2002

      2 이윤진, "은퇴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 노후준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4 (24): 35-59, 2013

      3 이여진,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145-153, 2012

      4 정순둘,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249-272, 2012

      5 곽미정, "수도권 법인과 개인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및 서비스 질 영향요인 연구 : 교육, 직무 스트레스, 업무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6 김명일, "서울시 거주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연구: 다층모형 적용을 통한 개인의 노후준비와 지역효과 검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327-360, 2013

      7 이형하, "건강타운 이용노인의 삶의 질 변화 결정요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7 (17): 201-209, 2012

      8 Anspaugh D., "Wellness: concepts and application" Mosby 1994

      9 Hettler B., "Wellness : encouraging a lifetime pursuit of excellence" 8 : 13-17, 1984

      10 Campbell A.,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awarenes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1976

      11 Lee HR.,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home helper" Daegu Haany University 2012

      12 Neugarten BI.,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16 : 134-143, 1961

      13 Kim GJ., "The effect on work stress in service quality taken by care provid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9

      14 Kim YM., "Study of relative variable to the life satisfaction degree of old people" 5 : 15-28, 2001

      15 Kim HJ., "Study of life satisfaction of retired older men" 21 : 253-280, 2009

      16 Kim JS., "Studie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1987

      17 Medly ML.,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person sixty-five and older : a causal model" 31 : 448-455, 1976

      18 Oh YH.,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health status and self-perceived health of Korean older persons" Hanyang University 2005

      19 Lee YS., "Quality in life of elderly" 5 : 281-284, 2001

      20 Kim IG., "Patterns of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and the life satisfaction" 20 : 156-168, 2000

      21 Seo MH., "On the service quality of care helpers job stress and job burnout effect" Daegu Haany University 2012

      22 Yeo MY., "On satisfaction of life of elderly health behaviors affect" 1 : 113-130, 2010

      23 Kim SJ., "Long-term care workers’ treatment improvement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improvement" City Management Institute 2011

      24 Choi SG., "Life satisfaction scale study of the elderly" 49 : 233-258, 1986

      25 Sin HG., "Life satisfaction of retirement satisfaction in the labor market retirement" Korea Labor Institute 2007

      26 Gu HJ,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regional community and affecting health related variables" Daegu Haany University 2008

      27 O’Donnell MP., "Health promotion in the workplace. 2nd ed" Delmar Publisher 1994

      28 Ware JE.,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instruments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 and other care variables" DHEW Publication 1979

      29 Kim MY., "Factors that influence satisfaction level towards the life by the leisure activity of the users of the senior citizens’ leisure welfare facilities" Daegu Haany University 2009

      30 Jang IH., "Elderly welfar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0

      31 Edward JN., "Correlate of life satisfaction : A reexamination" 28 : 497-502, 1973

      32 Choi SY.,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related measures ROHAS" Ewha Womans University 2009

      33 Kalish RA., "Adulthood: perspectives on hum an development" Cole Publishing Co 1975

      34 Kim WG.,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in the long-term care system" Konyang University 2011

      35 Choi YA.,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elf-perceived health of the elderly in community" 33 : 79-87, 2007

      36 Park GN., "A study of the necessity for integrating gender approach with the elderly"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9-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노인병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외국어명 : Journal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KCI등재
      2016-07-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 Journal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9 0.67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