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 무대미술의 '인간과 공간'에 관한 연구 : Oskar Schlemmer의 <삼화음 발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Huhman and Space' in Modern scenography : focusing on Oskar Schlemmer's <Triadic Ball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75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초 시대적·사회적 변화는 예술의 변화도 함께 가져왔다. 산업사회의 발달에 따른 기계와 기능주의의 등장으로 연극은 새로운 재료와 형태를 추구하는 공간조형의 추상적 시도로써의 무대미술을 낳았다. 이는 빛, 색채, 소리, 형태 등의 다양한 조형요소들의 종합적 연극으로 무대 위에서 배우가 인간자체의 의미로 존재하지 않는 ‘예술형상(Art Figure)’으로 표현되는 인물극으로 발전되었다. 이것은 자연적인 것에서 단순하고 기하학적이며 기계적인 형태로의 변화와 내용전달의 이야기 극보다 내면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시각적 이미지극’의 탄생을 예고하였다. 이 시대의 여러 사회적 변화에 영향을 받은 독일의 바우하우스는 이러한 사상의 실천과 함께 모든 예술요소의 총체적 결합, 이론과 실무의 통합이라는 이념아래 설립되어 후대에 큰 영향을 주며 지금까지도 그 연구는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바우하우스의 무대공방의 마이스터로 공헌을 한 오스카 슐렘머(Oskar Schlemmer)의 이론 전반에 나타나는 과학적이고 추상적, 기계적인 세계관을 논거로 했고, 그의 인생을 통해서 나타나는 ‘인간’과 ‘공간’이라는 어휘를 중심으로 택했다. 바우하우스 이전의 그의 작품에서부터 그가 활발히 활동했던 바우하우스의 무대공방에서의 교육, 그리고 그의 이론이 적용된 결과물로써의 공연인 <삼화음발레>에 나타난 ‘예술형상’의 ‘형태(Form)’와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슐렘머의 ‘인간과 공간’이론과 표현요소들을 이해하고, 그 후 바우하우스 무대공방에서 슐렘머의 연구와 실험이 현대에 와서 무대미술의 공간조형에 있어서 가지는 의의를 알아봄으로 그의 연구와 업적이 현대 무대미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연구하였다.
      오스카 슐레머는 공간개념을 ‘인간과 공간의 종합’으로 보고, 공연의 다양한 요소들을 결합하여 이를 추상적이고 기계적인 형상으로 표현하려 하였다. 이러한 표현을 위해 ‘의상’과 ‘가면’을 표현방법으로 택하였으며, 이러한 ‘예술형상’을 의상의 관점에 본 네 가지 ‘인체변형의 법칙’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그는 이 네 가지 법칙을 작품에 응용하였다. 이는 3차원의 입체공간의 법칙으로 신체의 각 부분이 직육면체의 구성으로 추상적인 공간의 법칙이 인체에 전이되어 형상화된 ‘보행하는 건축물’, 공간과 관련된 인체의 법칙으로 신체형태의 규격화를 의미하며 신체 부위를 단순한 형태로 변형시켜 상징화한 ‘꼭두각시’, 인체가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궤적을 기하학적 모양으로 단순화시킨 ‘기술적 유기체’, 인체의 팔과 다리의 추상적 상징을 형이상학적인 의미로 왜곡, 과장되게 표현하는 ‘탈물질화(비물질화)’이다.
      그리고, 무대에서의 예술형상으로 나타나는 연기자와 무용수들의 움직임으로 공간을 구성하는 인체의 개념은 무대미술이 단순히 장치 디자인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닌 공간의 활용, 그리고 의상 및 가면 등의 장치가 아닌 다른 요소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해보임으로 무대미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열었다. 즉, 공간 안에서 단순하고 기하학적 예술형상의 움직임은 그 무대 전체가 ‘총체적 예술표현’이며 ‘시각적 창조물’임을 증명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슐렘머의 사상은 바우하우스의 축제를 통해 구현되었고, 그의 <삼화음 발레>는 공연, 공간, 인체개념이 통합된 최고의 작품이라 하겠다. 이 작품 속에서 새로운 예술형상으로써 무대의상의 역할, 무대라는 공간과의 관계,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예술형상’별로 살펴보고, 이후 논의되어진 오스카 슐렘머의 이론을 사전 지식의 중심에 두고 그의 영향을 받은 현대 무대미술가들 아힘 프라이어(Achim Freyer), 요셉 스보보다(Josef Svoboda),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의 예술이론과 대표적 작품을 비교·분석하여 그들의 실험적인 양식인 기하학적 예술형상의 조화를 통한 시각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오스카 슐렘머의 ‘인간과 공간’에 대한 연구는 무대작업에서 나타난 공간해석과 신체조형개념들이 추상적 공간에서의 조형요소들과 인간의 사고와 끊임없는 교류를 통하여 조화를 이루고, 새로운 질서체계를 구축하여 새로운 무대 조형적 예술형상으로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바우하우스 무대공방에서의 오스카 슐렘머의 연구와 실험이 과거 원근법적 사고에서 새로운 시각으로의 예술창조물 제시로 인해 현대무대미술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20세기 초 시대적·사회적 변화는 예술의 변화도 함께 가져왔다. 산업사회의 발달에 따른 기계와 기능주의의 등장으로 연극은 새로운 재료와 형태를 추구하는 공간조형의 추상적 시도로써�...

      20세기 초 시대적·사회적 변화는 예술의 변화도 함께 가져왔다. 산업사회의 발달에 따른 기계와 기능주의의 등장으로 연극은 새로운 재료와 형태를 추구하는 공간조형의 추상적 시도로써의 무대미술을 낳았다. 이는 빛, 색채, 소리, 형태 등의 다양한 조형요소들의 종합적 연극으로 무대 위에서 배우가 인간자체의 의미로 존재하지 않는 ‘예술형상(Art Figure)’으로 표현되는 인물극으로 발전되었다. 이것은 자연적인 것에서 단순하고 기하학적이며 기계적인 형태로의 변화와 내용전달의 이야기 극보다 내면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시각적 이미지극’의 탄생을 예고하였다. 이 시대의 여러 사회적 변화에 영향을 받은 독일의 바우하우스는 이러한 사상의 실천과 함께 모든 예술요소의 총체적 결합, 이론과 실무의 통합이라는 이념아래 설립되어 후대에 큰 영향을 주며 지금까지도 그 연구는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바우하우스의 무대공방의 마이스터로 공헌을 한 오스카 슐렘머(Oskar Schlemmer)의 이론 전반에 나타나는 과학적이고 추상적, 기계적인 세계관을 논거로 했고, 그의 인생을 통해서 나타나는 ‘인간’과 ‘공간’이라는 어휘를 중심으로 택했다. 바우하우스 이전의 그의 작품에서부터 그가 활발히 활동했던 바우하우스의 무대공방에서의 교육, 그리고 그의 이론이 적용된 결과물로써의 공연인 <삼화음발레>에 나타난 ‘예술형상’의 ‘형태(Form)’와 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슐렘머의 ‘인간과 공간’이론과 표현요소들을 이해하고, 그 후 바우하우스 무대공방에서 슐렘머의 연구와 실험이 현대에 와서 무대미술의 공간조형에 있어서 가지는 의의를 알아봄으로 그의 연구와 업적이 현대 무대미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연구하였다.
      오스카 슐레머는 공간개념을 ‘인간과 공간의 종합’으로 보고, 공연의 다양한 요소들을 결합하여 이를 추상적이고 기계적인 형상으로 표현하려 하였다. 이러한 표현을 위해 ‘의상’과 ‘가면’을 표현방법으로 택하였으며, 이러한 ‘예술형상’을 의상의 관점에 본 네 가지 ‘인체변형의 법칙’을 통하여 표현하였다.
      그는 이 네 가지 법칙을 작품에 응용하였다. 이는 3차원의 입체공간의 법칙으로 신체의 각 부분이 직육면체의 구성으로 추상적인 공간의 법칙이 인체에 전이되어 형상화된 ‘보행하는 건축물’, 공간과 관련된 인체의 법칙으로 신체형태의 규격화를 의미하며 신체 부위를 단순한 형태로 변형시켜 상징화한 ‘꼭두각시’, 인체가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궤적을 기하학적 모양으로 단순화시킨 ‘기술적 유기체’, 인체의 팔과 다리의 추상적 상징을 형이상학적인 의미로 왜곡, 과장되게 표현하는 ‘탈물질화(비물질화)’이다.
      그리고, 무대에서의 예술형상으로 나타나는 연기자와 무용수들의 움직임으로 공간을 구성하는 인체의 개념은 무대미술이 단순히 장치 디자인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닌 공간의 활용, 그리고 의상 및 가면 등의 장치가 아닌 다른 요소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해보임으로 무대미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열었다. 즉, 공간 안에서 단순하고 기하학적 예술형상의 움직임은 그 무대 전체가 ‘총체적 예술표현’이며 ‘시각적 창조물’임을 증명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슐렘머의 사상은 바우하우스의 축제를 통해 구현되었고, 그의 <삼화음 발레>는 공연, 공간, 인체개념이 통합된 최고의 작품이라 하겠다. 이 작품 속에서 새로운 예술형상으로써 무대의상의 역할, 무대라는 공간과의 관계,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효과를 ‘예술형상’별로 살펴보고, 이후 논의되어진 오스카 슐렘머의 이론을 사전 지식의 중심에 두고 그의 영향을 받은 현대 무대미술가들 아힘 프라이어(Achim Freyer), 요셉 스보보다(Josef Svoboda),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의 예술이론과 대표적 작품을 비교·분석하여 그들의 실험적인 양식인 기하학적 예술형상의 조화를 통한 시각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오스카 슐렘머의 ‘인간과 공간’에 대한 연구는 무대작업에서 나타난 공간해석과 신체조형개념들이 추상적 공간에서의 조형요소들과 인간의 사고와 끊임없는 교류를 통하여 조화를 이루고, 새로운 질서체계를 구축하여 새로운 무대 조형적 예술형상으로 나타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바우하우스 무대공방에서의 오스카 슐렘머의 연구와 실험이 과거 원근법적 사고에서 새로운 시각으로의 예술창조물 제시로 인해 현대무대미술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istor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led to changing trends of modern art. Owing to the advent of machinery and functionalism under the influence of developing industrial society, dramatic performance created theater art as a part of abstract attempts to form new spaces in pursuit of new materials and shapes. Theater art refers to a sort of comprehensive dramatic performance based on a variety of formative elements like light, color, sound and form. Historically, it evolved into character drama that is expressed with ‘art figure’ where every actor doesn't exist in the sense of human itself on the stage. This character drama foretold the advent of ‘visual image drama’ focusing more on a change from natural form into simple, geometric and mechanical one as well as worth of inner world rather than storytelling drama to communicate something to the audience.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social chan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Bauhaus in Germany was established with a view to perform these ideological practices and implement total integration of all artistic elements as well as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t has been much influential even in the follow-up generation of modern performing arts, and there are still a series of academic explorations into Bauhaus.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started from scientific, abstract and mechanical worldview revealed in overall performing art theories of Oskar Schlemmer, a reputable stage design studio meister who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Bauhaus. And this study adopted two keywords, i.e. ‘human’ and ‘space’ shown in his life. It focused on analyzing the ‘form’ of ‘art figure’ and the its ‘motion’ in space, which are shown in his early artworks before entering Bauhaus, his education in stage design studio at Bauhaus as an arena in which he played an active part, and his performing art work titled “Triadic Ballet”, an outcome of his performing art theories. Based on such analysis,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O. Schlemmer's theories on ‘human and space’ and his expression elements, and find potential significance of his studies and experiments at the stage design studio of Bauhaus for spatial formativeness of Modern Scenography, so that it could examine the consequence of implications that his academic and artistic achievements have for our Modern Scenography.
      O. Schlemmer conceptualized a space as ‘the synthesis of human and space’ and sought to adopt a combination of various performance elements and thereby express them into abstract and mechanical figures. In order to realize such an expression, he adopted ‘costume’ and ‘mask' as a means of expression, and tried to express the ‘art figure’ according to four major ‘formulas of human body de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costume.
      These 4 formulas that Schlemmer applied to his performing artworks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Working building’ where each part of body is reorganized in form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under the rule of 3-dimensional solid space, and the rule of abstract space becomes transferred and embodied into human body, 2) ‘Marionette’ that signifies standardized figure of human body under the space-related rule of human body and deforms figure of human body members into simple and symbolized form, 3) ‘Technical organism’ that simplified a locus of human body motions in a space into geometrical form, and 4) ‘De-materialization’ intended to distort and overdraw abstract symbolism of human arms and legs in a metaphysical sense.
      And Schlemmer's concept on human body, where a space is made up of motions made by actors and dancers appearing in art figure onstage, demonstrates that Scenography can be implemented using space, not simply relying upon design of stage setting (mise en scene) and using other elements apart from settings like costume and mask. As a result, it successfully opened up a new insight into theater art. That is, simple and geometric motions of art figure in a space demonstrate that performance stage itself is a ‘total art expression’ and ‘visual creation.’
      Such a creative idea of O. Schlemmer was realized in the festival of Bauhaus, and his “Triadic Ballet” deserves a title of greatest masterpiece that consolidates performance, space and human body concept into one stag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cused on each ‘art figure’ to deal with possible roles of costume (as a new art figure in the Triadic Ballet), relationships of costume with stage as a space, and potential effects of their combination. And based on Oskar Schlemmer's performing art theories as discussed later as the core of background knowledge,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and analyze related artistic theories and representative artworks of 3 other Modern Scenographers inspired by Schlemmer, i.e. Achim Freyer, Josef Svoboda and Robert Wilson.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find out visual effects from a harmony of geometric art figures, which belong to the experimental styles of these artists.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O. Schlemmer's studies on ‘human and space’ intend to harmonize spatial interpretation and formative human body concepts, which are shown in stage setting work, with formative elements and human ideas in abstract space via continuous interactions, and thereby create a new order system to embody into a new theatrical formative art figure. Based on such academic efforts, it is concluded that a variety of studies and experiments tried by O. Schlemmer at stage design studio of Bauhaus could accelerate the proposal of artistic creations from new insights beyond conventional perspective thinking, ultimately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development of Modern Scenography.
      번역하기

      Histor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led to changing trends of modern art. Owing to the advent of machinery and functionalism under the influence of developing industrial society, dramatic performance created theater art as a part o...

      Historical and social chan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led to changing trends of modern art. Owing to the advent of machinery and functionalism under the influence of developing industrial society, dramatic performance created theater art as a part of abstract attempts to form new spaces in pursuit of new materials and shapes. Theater art refers to a sort of comprehensive dramatic performance based on a variety of formative elements like light, color, sound and form. Historically, it evolved into character drama that is expressed with ‘art figure’ where every actor doesn't exist in the sense of human itself on the stage. This character drama foretold the advent of ‘visual image drama’ focusing more on a change from natural form into simple, geometric and mechanical one as well as worth of inner world rather than storytelling drama to communicate something to the audience.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social chan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Bauhaus in Germany was established with a view to perform these ideological practices and implement total integration of all artistic elements as well as combination of theory and practice. It has been much influential even in the follow-up generation of modern performing arts, and there are still a series of academic explorations into Bauhaus.
      The discussions of this study started from scientific, abstract and mechanical worldview revealed in overall performing art theories of Oskar Schlemmer, a reputable stage design studio meister who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Bauhaus. And this study adopted two keywords, i.e. ‘human’ and ‘space’ shown in his life. It focused on analyzing the ‘form’ of ‘art figure’ and the its ‘motion’ in space, which are shown in his early artworks before entering Bauhaus, his education in stage design studio at Bauhaus as an arena in which he played an active part, and his performing art work titled “Triadic Ballet”, an outcome of his performing art theories. Based on such analysis,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O. Schlemmer's theories on ‘human and space’ and his expression elements, and find potential significance of his studies and experiments at the stage design studio of Bauhaus for spatial formativeness of Modern Scenography, so that it could examine the consequence of implications that his academic and artistic achievements have for our Modern Scenography.
      O. Schlemmer conceptualized a space as ‘the synthesis of human and space’ and sought to adopt a combination of various performance elements and thereby express them into abstract and mechanical figures. In order to realize such an expression, he adopted ‘costume’ and ‘mask' as a means of expression, and tried to express the ‘art figure’ according to four major ‘formulas of human body de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costume.
      These 4 formulas that Schlemmer applied to his performing artworks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Working building’ where each part of body is reorganized in form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under the rule of 3-dimensional solid space, and the rule of abstract space becomes transferred and embodied into human body, 2) ‘Marionette’ that signifies standardized figure of human body under the space-related rule of human body and deforms figure of human body members into simple and symbolized form, 3) ‘Technical organism’ that simplified a locus of human body motions in a space into geometrical form, and 4) ‘De-materialization’ intended to distort and overdraw abstract symbolism of human arms and legs in a metaphysical sense.
      And Schlemmer's concept on human body, where a space is made up of motions made by actors and dancers appearing in art figure onstage, demonstrates that Scenography can be implemented using space, not simply relying upon design of stage setting (mise en scene) and using other elements apart from settings like costume and mask. As a result, it successfully opened up a new insight into theater art. That is, simple and geometric motions of art figure in a space demonstrate that performance stage itself is a ‘total art expression’ and ‘visual creation.’
      Such a creative idea of O. Schlemmer was realized in the festival of Bauhaus, and his “Triadic Ballet” deserves a title of greatest masterpiece that consolidates performance, space and human body concept into one stag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cused on each ‘art figure’ to deal with possible roles of costume (as a new art figure in the Triadic Ballet), relationships of costume with stage as a space, and potential effects of their combination. And based on Oskar Schlemmer's performing art theories as discussed later as the core of background knowledge,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and analyze related artistic theories and representative artworks of 3 other Modern Scenographers inspired by Schlemmer, i.e. Achim Freyer, Josef Svoboda and Robert Wilson.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find out visual effects from a harmony of geometric art figures, which belong to the experimental styles of these artists.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O. Schlemmer's studies on ‘human and space’ intend to harmonize spatial interpretation and formative human body concepts, which are shown in stage setting work, with formative elements and human ideas in abstract space via continuous interactions, and thereby create a new order system to embody into a new theatrical formative art figure. Based on such academic efforts, it is concluded that a variety of studies and experiments tried by O. Schlemmer at stage design studio of Bauhaus could accelerate the proposal of artistic creations from new insights beyond conventional perspective thinking, ultimately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development of Modern Scenograph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1. 연구목적 = 1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3
      • Ⅱ. 바우하우스 무대미술 = 5
      • 2.1 바우하우스의 시대적·사상적 배경 = 5
      • Ⅰ. 서론 = 1
      • 1.1. 연구목적 = 1
      • 1.2. 연구범위 및 방법 = 3
      • Ⅱ. 바우하우스 무대미술 = 5
      • 2.1 바우하우스의 시대적·사상적 배경 = 5
      • 2.2 바우하우스 교육이념의 변화 = 7
      • 2.3 바우하우스 무대공방 = 12
      • 2.4 Oskar Schlemmer의 무대공방 교육 프로그램 = 18
      • 2.5 공연을 통한 무대교육의 성과 = 19
      • Ⅲ. 오스카 슐렘머(Oskar Schlemmer)의 무대미술 = 25
      • 3.1 오스카 슐렘머의 공연개념(Mechanism) = 27
      • 3.2 인체개념 : 인간과 인공인물 = 28
      • 3.3 공간개념 : 인간과 공간 = 35
      • 3.4 기계적 발레 (Mechanical Ballet) 의 요소 : 의상, 인형, 가면 = 42
      • 3.5 무대의 시각적 조형요소 : 조화, 수학, 기하학적 형태의 변형, 유머와 그로데스크 = 46
      • Ⅳ. <삼화음 발레(Triadic Ballet)>의 예술형상 = 51
      • 4.1 분석의 대상과 범위 = 51
      • 4.2 분석의 방법 = 51
      • 4.3 생성배경과 내용 = 52
      • 4.4 삼화음 발레의 예술형상 분석 = 57
      • 4.5 오스카 슐렘머의 예술이념이 현대 무대미술에 미친 영향 = 80
      • Ⅴ. 결론 = 97
      • 참고문헌 = 105
      • ABSTRACT = 1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