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동로, "중학생들의 물질의 상태변화에 대한 오개념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17 (17): 223-242, 2005
2 박선양, "일상적 상황에서 물의 상태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석:분자운동 관점에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3 정소현, "밀도 개념 학습에서 중학생의 인지수준에 따른 문제해결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4 임명혁, "물의 상태변화와 상태변화의 조건에 대한 유아,초등,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5 김효남,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18 (18): 357-369, 1998
6 정완호, "과학과 수업모형" 교육과학사 1998
7 이원식, "과제의 상황(일상적 상황과 과학적 상황)이 입자개념에 관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3 (23): 451-461, 1996
8 교육인적자원부, "개정 초․중등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7-79호"
9 신애경,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인지발달 가속과 인지과정 기능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10 Lin, H-S., "The Assessment of students and teachers' understanding of gas law" 77 (77): 235-238, 2000
1 신동로, "중학생들의 물질의 상태변화에 대한 오개념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17 (17): 223-242, 2005
2 박선양, "일상적 상황에서 물의 상태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석:분자운동 관점에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3 정소현, "밀도 개념 학습에서 중학생의 인지수준에 따른 문제해결유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6
4 임명혁, "물의 상태변화와 상태변화의 조건에 대한 유아,초등,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5 김효남,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18 (18): 357-369, 1998
6 정완호, "과학과 수업모형" 교육과학사 1998
7 이원식, "과제의 상황(일상적 상황과 과학적 상황)이 입자개념에 관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3 (23): 451-461, 1996
8 교육인적자원부, "개정 초․중등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2007-79호"
9 신애경, "Thinking Science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인지발달 가속과 인지과정 기능의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10 Lin, H-S., "The Assessment of students and teachers' understanding of gas law" 77 (77): 235-238, 2000
11 Ben-Zvi, R., "Students vs. Chemistry: A study of student conceptions of structure and process. Unpublished manuscript,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Rehovot 1982
12 Shephard, D. L., "Students understandings and misunderstandings of states of matter and density changes" 82 (82): 650-657, 1982
13 Hogan,K, "Relating students' personal frameworks for science learning to Their cognition in collaborative Contexts" 83 (83): 1-32, 1999
14 Adey, P., "Really rasing standards" Routledge 1994
15 Novick, S., "Pupils' understand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 cross-age study" 65 (65): 187-196, 1981
16 Osborne, R. J., "Children's conception of the change of state of water" 20 (20): 825-838,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