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술교육 효과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과 적용 =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of Art Education Eff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15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of Art Education Effect.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e study adopted ‘Modified Delphi Technique’ based onthe existing literary and FGI were examined to list the elements measuring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of Art Education Effect.
      In order to achieve the aim, the study adopted ‘Modified Delphi Technique’ based onthe existing literary and FGI were examined to list the elements measuring the arteducation effect . Process of sorting several unitizing concepts, categorizing constructsand theming constructs generated a proposed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of arteducation effect.
      These elements again were developed into 32 items under a total of 7 componentcategories according to the art effects and variables in consideration of the uniquecharacteristics of art effectsb as a field of culture and art.
      The scale of art education effect is based on the seven underlying dimensions:enjoyment, cooperation, stress, communication, consideration, self-control capability,desire. Finally, 32 items could be selected through a measurement verification ofgoodness of fits to the date. The high level of GFI value shows that standardsdeveloped in this study are effective as a tool to measure the art education effect.
      The study will make contributions to academic achievement of the art education eff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술교육 효과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라는 두 가지 연구목적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예술교육 효과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을 위해 예술교육...

      본 연구는 예술교육 효과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라는 두 가지 연구목적에 대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예술교육 효과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을 위해 예술교육의 구성요인과 구성요인별 문항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둘째,델파이 방법을 통하여 10명의 전문가들이 2회에 걸쳐 35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고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결과 총 32문항,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7개의 요인은 즐거움, 협동, 스트레스, 소통, 배려심, 자기조절, 희망 요인이다. 신뢰도분석 결과 하위영역별 신뢰도 및 문항 전체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확정된 예술교육효과 측정도구의 문항들이 7개의 요인구조를타당하게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상대적합도 지수들을 살펴보면 TLI 값은 .81, CFI 값은 .89로 적합한수준을 나타내었다. 절대적합도 지수인 RMSEA는 .05로 적합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술교육효과의 측정 모형의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와 타당도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예술교육효과 측정 척도 모형의 구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연,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연구" 6 (6): 265-285, 2006

      2 김미현, "청소년 문화 활동의 참여목적, 태도, 정도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상명대학교 2010

      3 김성애, "집단 이야기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2009

      4 김계수, "인과분석연구방법론" 청람 2006

      5 이순묵, "요인분석" 학지사 1995

      6 윤재석, "온라인 예술교육 실태와 효과에 관한 연구 : 순수음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2007

      7 고경화,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학지사 2003

      8 유혜영, "예술교육" 학연사 2002

      9 탁진국,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1996

      10 이승현, "사회적 소수자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다문화적 접근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08

      1 이주연,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연구" 6 (6): 265-285, 2006

      2 김미현, "청소년 문화 활동의 참여목적, 태도, 정도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상명대학교 2010

      3 김성애, "집단 이야기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2009

      4 김계수, "인과분석연구방법론" 청람 2006

      5 이순묵, "요인분석" 학지사 1995

      6 윤재석, "온라인 예술교육 실태와 효과에 관한 연구 : 순수음악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2007

      7 고경화, "예술교육의 역사와 이론" 학지사 2003

      8 유혜영, "예술교육" 학연사 2002

      9 탁진국,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1996

      10 이승현, "사회적 소수자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다문화적 접근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08

      11 장기범, "배경과 실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정체성" 한국음악교육공학회 (11) : 25-40, 2010

      12 우주희, "방과후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두 가지 모델: 강사지원모델과 단체지원모델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예술교육학회 6 (6): 35-47, 2008

      13 한국정책개발원, "미국 공연예술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 방안" 10 : 153-174, 1998

      14 고경자, "문화예술교육이 학습자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2009

      15 김송아, "문화예술교육이 시민문화의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천시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2010

      16 황연주, "문화예술교육의 미술교육적 논의" 한국미술교육학회 19 (19): 1-28, 2005

      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에 대하여-교정시설 및 소년원 학교를 중심으로"

      18 곽윤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아동복지시설 아동의 우울성향, 자아상,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1-14, 2010

      19 윤쌍웅,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예술복지 활성화 방안연구 - 노인인구를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25) : 165-203, 2013

      20 김정선,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21 임연철, "문화예술 홍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2 이병준, "문화역량과 문화예술교육 문화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 교육과학사 2010

      2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연감" 2007

      24 노승룡, "델파이기법: 전문적 통찰로 미래 예측하기" 299 : 53-62, 2006

      25 오지향, "국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분석-학교 문화예술교육 관점에서" 민족음악학회 (40) : 205-234, 2010

      26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27 이학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6. 0" 학지사 2007

      28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2007

      29 남상문, "교육학개론" 선인출판 2007

      30 김린경, "교육연극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1

      31 배호순, "교육 프로그램 평가론" 원미사 2008

      32 Chen, G, "Validation of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 4 (4): 62-83, 2001

      33 Bamford. A, "The Wow Factor; Global research ompendium on the impact of the arts in education" Waxmann Munster 2006

      34 Kotler, Philip, "Standing Room Only" 김영사 1997

      35 Devellis, Robert 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placations: Newbury Park" Sage 1991

      36 Kotler & Scheff, "Marketing the Arts in Cleveland: An In-Depth Survey" Cleveland Foundation 73-, 1997

      37 Catterall, J, "Learning in he visual arts and the worldviews of young children" 37 (37): 543-560, 2007

      38 Crockner, L,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Rinehart and Winston 1986

      39 Imam, S, "General Self-Efficacy Scale; Dimensionality, Internal Consistency,And Temporal Stability Paper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Redesigning Pedagogy; Culture" 2007

      40 Bergonzi, L, "Effects of Arts Education on Participation in the Arts" NEA 1996

      41 Carman, J. M,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 An Assessment of SERVQUAL the Dimensions" 66 (66): 35-55, 1990

      42 Moorefield-Lang, H, "Arts Voices;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 Arts to their Motivation and Self-Efficacy" 15 (15): 1-17,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4-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KCI등재
      2021-04-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ssociation of arts management -> Journal of Arts Management and Polic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7 1.28 1.48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