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성견에서 교정적 고정원으로서의 티타늄 미니스크류에 대한 연구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 dogs = A Study on Titanium Miniscrew as Orthodontic Anchor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33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정치료에서 원하는 치아이동을 위해서는 안정된 고정원이 필요한데 티타늄 미니스크류가 매식과 제거가 쉽고, 구강 내 여러 부위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이나 비용적...

      교정치료에서 원하는 치아이동을 위해서는 안정된 고정원이 필요한데 티타늄 미니스크류가 매식과 제거가 쉽고, 구강 내 여러 부위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이나 비용적인 부담이 적고, 제거 후에 치유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어 최근에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티타늄 미니스크류를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한 임상 예들이 여러 편 발표되었는데 미니스크류의 이완이 가장 큰 실패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고된 논문들에서 교정적 고정원으로 안정성을 줄 수 있는 스크류의 식립 길이에 관한 연구가 없는 상태이다. 교정적 고정원으로 미니스크류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립 부위에 따른 골구조와 골밀도 차이를 고려한 식립 길이에 관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견의 상악골과 하악골에서 직경 2mm 티타늄 미니스크류를 다양한 길이로 식립하고 교정력을 적용한 후 그 안정성을 평가하여 교정적 고정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미니스크류의 식립 길이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미니스크류가 상악에서는 6mm이상, 하악에서는 4mm 이상이 골 내에 식립될 때 8주 동안 200g의 교정력에 동요도나 위치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식립 부위로는 부착치은 부위 치근 사이에 식립될 때 구강청결이 유지되고 미니스크류 주변 치은조직에 자극을 주지 않아 정상적인 조직으로 유지 될 수 있었다. 또한 교정력 적용 8주 후 치근단 방사선 사진검사에서 스크류 주변 치근 흡수나 치조골 흡수, 치주 인대 손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 ㆍ 하악 골밀도와 골구조의 차이를 고려하여 미니스크류의 골내 식립 길이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교정적 고정원으로 티타늄 미니스크류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itanium miniscrews are being used increasingly as an anchorage for tooth movement, because they are easy to place and to remove, increase the number of sites available, give minimum strain to patients regarding surgical procedures, and offer uneventf...

      Titanium miniscrews are being used increasingly as an anchorage for tooth movement, because they are easy to place and to remove, increase the number of sites available, give minimum strain to patients regarding surgical procedures, and offer uneventful healing after removal. The use of titanium miniscrews as an orthodontic anchorage has been reported in clinical case reports, but clinicians hove experienced screw loosening when using such screws. To our knowledge, there are no published reports evaluating the stability of miniscrews.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miniscrews used in relation to the location is of some importance, as stability will vary depending on bone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variety of lengths of miniscrews (diameter: 2mm) which were inserted in maxilla or mandible and to demonstrate in a dog moedl which miniscrew provides fundamental stability in the jaws.
      10 mm long miniscrews in the maxilla and 8mm long miniscrews in the mandible showed no clinical mobility and retained their position throughout an 8 weeks force (200g) application. The mucosal condition around the screws was healthy in cases in which miniscrews were inserted in the alveolar bone between the roots and the head of the screws emerged into the attached gingiva. When the force application was terminated, radiographic analysis revealed neither root resorption nor periodontal pathology around the miniscrews that remained stable during the entire treatment period. This study suggests that if titanium miniscrews with adequate length are properly used depending on the location, they provide sufficient stability for orthodontic anchor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연구재료 및 방법
      • 가.연구 방법
      • 나.평가 항목
      • Ⅲ.결과
      • Ⅰ.서론
      • Ⅱ.연구재료 및 방법
      • 가.연구 방법
      • 나.평가 항목
      • Ⅲ.결과
      • Ⅳ.고찰
      • Ⅴ.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