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토지 및 건축물특성에 따른 정비사업 추진 분석 -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 Considering Land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98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vernment has been operating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the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as a type of a remedial measure for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However, inrecent years,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slowdown in economic growth. After observing the depression in a number of projects,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ausality and improve the promotion of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In the trend of resear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land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on the improvement projec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represent different phases of improvement project as specified in the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The independent variables represent land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which refer to the criteria used in the designation process of maintenance area according to the act. The empirical analysis uses the ordered logit model.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suggest that geographical condition, factors related to the number of union members, factors related to the parcel price and condition of a location have impact on the promotion of the improvement proj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majority of the factors are related to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jects.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 is a part of urban planning projects that rehabilitates deteriorate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life of public. Accordingly, we hope that such projects are reasonable and take effective approach to those with urgent needs rather than to focus on profitability. Also, potential administrative and economical loss should be avoided by taking necessary planning measures in advance.
      번역하기

      The government has been operating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the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as a type of a remedial measure for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However...

      The government has been operating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through the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as a type of a remedial measure for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However, inrecent years,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slowdown in economic growth. After observing the depression in a number of projects,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ausality and improve the promotion of the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s. In the trend of resear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land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on the improvement projec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represent different phases of improvement project as specified in the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The independent variables represent land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which refer to the criteria used in the designation process of maintenance area according to the act. The empirical analysis uses the ordered logit model.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suggest that geographical condition, factors related to the number of union members, factors related to the parcel price and condition of a location have impact on the promotion of the improvement proj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majority of the factors are related to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jects. Residential improvement project is a part of urban planning projects that rehabilitates deteriorate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life of public. Accordingly, we hope that such projects are reasonable and take effective approach to those with urgent needs rather than to focus on profitability. Also, potential administrative and economical loss should be avoided by taking necessary planning measures in adv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부는 노후불량주거지에 대한 개선책으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을 통한 주거지정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경제성장 하락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정비사업 추진은 난항을 겪고 있다. 정비사업의 추진실적이 저조함에 따라, 그 원인을 규명하여 사업의 추진성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의 동향에서, 본 연구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토지 및 건축물특성에 따른 정비사업 추진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간 종속변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추진단계를 종합적·단계적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정비(예정)구역 지정 시 기준이 되는 토지 및 건축물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순서형로짓모형을 통해 이를 분석하였으며, 지형적 여건, 조합원 수와 관련된 요인, 분양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입지적 여건이 사업 추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수의 요인이 사업의 경제성과 연관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노후불량주거지에 대한 도시계획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주거지정비사업은 공공성이 요구되는 사업인 만큼, 단순 사업의 경제성과 연관된 요인에 편중되기보다 해당 정비구역의 주거환경을 고려하여 정비 시급성에 의한 사업추진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따라, 신속하고 합리적인 사업 추진을 당부하는 바이며, 사업추진 지연에 따른 행정적·경제적 손실 등을 미연에 방지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정부는 노후불량주거지에 대한 개선책으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을 통한 주거지정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경제성장 하락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

      정부는 노후불량주거지에 대한 개선책으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을 통한 주거지정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경제성장 하락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정비사업 추진은 난항을 겪고 있다. 정비사업의 추진실적이 저조함에 따라, 그 원인을 규명하여 사업의 추진성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의 동향에서, 본 연구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토지 및 건축물특성에 따른 정비사업 추진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간 종속변수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추진단계를 종합적·단계적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정비(예정)구역 지정 시 기준이 되는 토지 및 건축물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순서형로짓모형을 통해 이를 분석하였으며, 지형적 여건, 조합원 수와 관련된 요인, 분양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입지적 여건이 사업 추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수의 요인이 사업의 경제성과 연관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노후불량주거지에 대한 도시계획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주거지정비사업은 공공성이 요구되는 사업인 만큼, 단순 사업의 경제성과 연관된 요인에 편중되기보다 해당 정비구역의 주거환경을 고려하여 정비 시급성에 의한 사업추진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따라, 신속하고 합리적인 사업 추진을 당부하는 바이며, 사업추진 지연에 따른 행정적·경제적 손실 등을 미연에 방지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완, "주택재개발사업에 있어서 주거환경의 유형화를 통한 특성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1361-1372, 2015

      2 김영관, "주택재개발사업구역내 토지등소유자의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찬반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동대문구 이문?휘경 뉴타운사업지구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95-108, 2007

      3 김동현, "주거환경정비사업 추진시 사업지연에 미치는 요소별 영향 분석 - 서울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163-178, 2011

      4 임재문, "정비사업추진단계별 입지변수들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33 (33): 2135-2146, 2013

      5 김민주, "전문가 조사를 통한 경사주거지 경관개선을 위한 설계요소와 정비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21-30, 2013

      6 이도길, "재개발사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3 (23): 239-254, 2010

      7 최열, "여가행태 및 여가공간에 관한 선호 결정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271-282, 2011

      8 김태선, "서울시 주택재개발・주택재건축사업 추진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주택재개발・주택재건축사업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169-185, 2015

      9 최열, "로짓모형을 이용한 월세 거주자의 주거비부담능력 결정요인 분석-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학회 (59) : 45-58, 2014

      10 김성훈, "도시환경정비사업의 토지 등 소유자 찬ㆍ반 영향요인에 관한 사례분석 - 가리봉 도시환경정비구역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77-92, 2016

      1 김태완, "주택재개발사업에 있어서 주거환경의 유형화를 통한 특성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1361-1372, 2015

      2 김영관, "주택재개발사업구역내 토지등소유자의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찬반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동대문구 이문?휘경 뉴타운사업지구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95-108, 2007

      3 김동현, "주거환경정비사업 추진시 사업지연에 미치는 요소별 영향 분석 - 서울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을 대상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163-178, 2011

      4 임재문, "정비사업추진단계별 입지변수들의 영향력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33 (33): 2135-2146, 2013

      5 김민주, "전문가 조사를 통한 경사주거지 경관개선을 위한 설계요소와 정비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9 (29): 21-30, 2013

      6 이도길, "재개발사업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3 (23): 239-254, 2010

      7 최열, "여가행태 및 여가공간에 관한 선호 결정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6 (46): 271-282, 2011

      8 김태선, "서울시 주택재개발・주택재건축사업 추진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주택재개발・주택재건축사업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169-185, 2015

      9 최열, "로짓모형을 이용한 월세 거주자의 주거비부담능력 결정요인 분석-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학회 (59) : 45-58, 2014

      10 김성훈, "도시환경정비사업의 토지 등 소유자 찬ㆍ반 영향요인에 관한 사례분석 - 가리봉 도시환경정비구역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1 (51): 77-92, 2016

      11 이삼수, "도시정비사업의 사업추진 실적 및 주택공급 기여도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4 (24): 39-63, 2011

      12 임윤환, "단독주택지 주택재정비사업에서 소유자의 동의여부 결정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89-99, 2008

      13 강세진, "개별행태적·시계열적 모형에 의한 주택재개발사업 추진의 영향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7-130, 2007

      14 구만수, "가구 특성을 고려한 주택구입자금 대출에 관한 분석" 한국부동산학회 (55) : 5-16, 2013

      15 Titman, S., "Urban Land Prices under Uncertainly" 75 (75): 505-514, 1985

      16 Lee, J. H., "The issue of Busan, exit strategy of redevelopment project" 68 : 1-12, 2010

      17 Liu, I., "The analysis of ordered categorical data - An overview and a survey of recent developents" 14 (14): 1-73, 2005

      18 McCullagh, P., "Regression models for ordinal data" 42 (42): 109-142, 1980

      19 Rosenthal, S., "Redevelopment and the urban land price gradient" 35 : 182-200, 1994

      20 Kim, Y. J., "Real estate theory" Kspumsem 1972

      21 Williams, J. T., "Real estate development as an option" 4 (4): 191-208, 1991

      22 Armstrong, B. G., "Ordinal regression models for epidemiologic data" 129 (129): 191-204, 1989

      23 Rosenthal, S., "Old homes, externalities and poor neighborhoods - A model of urban decline and renewal" 63 (63): 816-840, 2008

      24 "Municipal Ordinance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Republic of Korea

      25 Liu, I., "Mantel-Haenszel-type inference for cumulative Odds ratios with a stratified ordinal response" 1223-1234, 1996

      26 Park, W. S.,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 of urban redevelopment in Korea" 3 (3): 239-262, 1990

      27 Kim, W. J., "Issue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deteriorated housing redevelopment" 1996 (1996): 70-82, 1996

      28 Brueckner, J., "Gentrification and neighborhood housing cycle - will america's future downtowns be rich?" 91 (91): 725-743, 2006

      29 Williams, J. T., "Equilibrium and options on real assets" 6 (6): 825-850, 1993

      30 Quiqq, L., "Empirical testing of real option - pricing models" 48 (48): 621-640, 1993

      31 Clapp, J. M., "Empirical estimation of the option premium for residential redevelopment" 42 (42): 240-256, 2012

      32 Seo, J. G., "Developmental direction of urban redevelopment policy" 3 (3): 241-260, 1998

      33 Choi, S. B., "Book reviews: The city builders / property, politics, and planning in London and New York, by Susan S. fainstein cambridge, MA: blackwell publishers 1995" 4 (4): 207-227, 1998

      34 Lim, J. M.,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urban renewal projects in Korea - focused on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nd housing reconstruction projects" 4 (4): 333-348, 2013

      35 Agresti, A.,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John Wiley 1996

      36 Lee, H. Y.,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Theory" Moonwoo 2013

      37 "Act on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of Urban Areas and Dwelling Conditions for Residents"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Republic of Korea

      38 Park, J. H., "A study on redevelopment and urban poor" 3 : 47-58, 1993

      39 Choi, Y. K., "A study on analysis for effective factors for enforcement of residential redevelopment project in Busan" Youngsan University 2009

      40 An, H. S., "A comparison study between renewal for housing rehabilitation and redevelopment for residential area in term of urban aesthetic" 4 : 111-132, 1999

      41 Busan Metropolitan City, "2030 Busan Comprehensive Plan" 2011

      42 Busan Metropolitan City, "2020 Busan Metropolitan City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Comprehensive Plan Datasets" 2015

      43 Busan Metropolitan City, "2020 Busan Metropolitan City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Comprehensive Plan" 2013

      44 Busan Metropolitan City, "2020 Busan Metropolitan City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Comprehensive Edit Plan"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