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 덕천리유적 목곽묘단계의 시・공간적특징으로 본 집단과 계층 =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of Duckcheon-ri, Gyeongju: Groups and Status as Seen through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01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escribe differences in term of groups status as seen through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at Duckcheon-ri, in Gyeongju. Firstl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eight stages based on the ex...

      This paper aims to describe differences in term of groups status as seen through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at Duckcheon-ri, in Gyeongju. Firstly,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eight stages based on the excavated artifacts. Based on a comparison with the artifacts of other Gyeongju tombs belonging to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Duckcheon-ri tombs had been established between CE 180 and 340.
      The wooden chamber tomb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 large, medium, and small — according to scale. Based on the fact that a difference in the nature of grave goods could be observed between the large wooden chamber tombs of the north and south areas, it was possible to suggest a difference in the groups buried in the respective areas. The size of the wooden chamber tomb of each particular type appears to have determined the quantity of pottery deposited and use of iron weaponr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 social hierarchy was already in place, and that a differentiation in terms of wooden chamber tomb size existed from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of Korea in Gyeongju. It was also possible to observe that a differentiation existed in terms of the number of grave goods, their composition, and their typ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준, "한반도 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영남고고학회 (58) : 35-77, 2011

      2 이성주, "토기제작의 技術革新과 生産體系" 학연문화사 2014

      3 박형열, "원삼국시대 유개대부호의 편년" 호남고고학회 50 : 70-91, 2015

      4 김성남, "와질토기논쟁고" 진인진 2013

      5 전옥년, "영남지역에 있어서 후기와질토기의 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1988

      6 이현주, "압형토기고 —3~4세기를 중심으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4 : 1995

      7 박광열, "신라·가야 토기의 성립과 분화" 嶺南考古學會 2015

      8 최병현, "신라 조기양식토기의 설정과 편년" 영남고고학회 (63) : 105-156, 2012

      9 최병현, "신라 조기 경주지역 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내부의 통합과정" 한국고고학회 (95) : 102-159, 2015

      10 최병현,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성립" 중부고고학회 12 (12): 5-58, 2013

      1 이희준, "한반도 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영남고고학회 (58) : 35-77, 2011

      2 이성주, "토기제작의 技術革新과 生産體系" 학연문화사 2014

      3 박형열, "원삼국시대 유개대부호의 편년" 호남고고학회 50 : 70-91, 2015

      4 김성남, "와질토기논쟁고" 진인진 2013

      5 전옥년, "영남지역에 있어서 후기와질토기의 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1988

      6 이현주, "압형토기고 —3~4세기를 중심으로" 부산광역시립박물관 4 : 1995

      7 박광열, "신라·가야 토기의 성립과 분화" 嶺南考古學會 2015

      8 최병현, "신라 조기양식토기의 설정과 편년" 영남고고학회 (63) : 105-156, 2012

      9 최병현, "신라 조기 경주지역 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내부의 통합과정" 한국고고학회 (95) : 102-159, 2015

      10 최병현,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성립" 중부고고학회 12 (12): 5-58, 2013

      11 안재호, "삼한시대 후기 와질토기의 편년 —하대유적을 중심으로" 嶺南考古學會 14 : 1994

      12 신경철, "동래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1995

      13 장기명, "경주지역 원삼국시대 분묘의 철기부장유형과 위계" 한국고고학회 (92) : 80-123, 2014

      14 이재흥, "경주지역 목곽묘 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2006

      15 안재호, "경주지역 대부직구호의 지역상" 한국고고학회 (97) : 98-133, 2015

      16 이희준, "경주 황성동유적으로 본 서기전 1세기~서기 3세기 사로국" 신라문화연구소 38 : 137-186, 2011

      17 양아림, "韓半島 出土 水晶多面玉의 展開樣相과 特徵" 한국고고학회 (93) : 46-81, 2014

      18 신경철, "陶質土器의 발생과 확산" 부산고고학연구회 (11) : 89-117, 2012

      19 최종규, "陶質土器 成立前夜와 展開" 韓國考古學會 12 : 1982

      20 신경철, "金海 禮安里 160號墳에 대하여"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한국고대사연구소 1 : 1992

      21 이성주, "辰·弁韓地域 墳墓 出土 1~4世紀 土器의 編年" 嶺南考古學會 24 : 1999

      22 박형열, "羅州地域 甕棺古墳 編年 —甕棺을 中心으로" 대한문화재연구원 2 : 2010

      23 이성주, "新羅式 木槨墓의 展開와 意義 in 신라고고학의 제문제" 韓國考古學會 1996

      24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德泉里遺蹟 IV —木槨墓·甕棺墓 外" 2009

      25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德泉里遺蹟 III —木槨墓" 2009

      26 이석범, "慶州 德川里遺蹟 IV" 嶺南文化財硏究院 2009

      27 이재현, "弁·辰韓 社會의 발전과정 —木槨墓의 출현배경과 관련하여" 嶺南考古學會 17 : 1995

      28 김용성, "土器에 의한 大邱·慶山地域 古代墳墓의 編年" 韓國考古學會 35 : 1996

      29 이동관, "古代 따비에 대한 考察" 한국고고학회 78 : 29-54, 2011

      30 최종규, "三韓考古學硏究" 書景文化社 1995

      31 김영민, "三韓後期 辰韓勢力의 成長過程硏究" 신라문화연구소 (23) : 33-70,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9 1.49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2 1.4 2.51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