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등학교 ‘통합사회’ 운영 실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 = Trends and Directions of ‘Integrated Societ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상징적 과목으로 신설된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에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상징적 과목으로 신설된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에 담겨있는 통합사회의 교과적 의의 및 논리를 고찰하고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한 연구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현행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사회과 교육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 일반사회 전공 교사 설문조사를 통해 통합사회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2022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통합사회 교육과정의 개발은 다학문적 접근에서 간학문적 접근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으며, 통합사회의 핵심개념은 향후 사회과 교육과정 전체의 스트랜드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일반사회 전공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 결과, 통합사회의 교과적 의의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부족하다는 것이 파악되었으며, 교사들의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향상하는 것이 과제이다. 통합사회의 핵심개념 중에서 분과적 성격이 상대적으로 강해서 가르치기 어렵다고 인식하는 내용들은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양성 기관에서 통합사회 전문성 육성을 위한 교과과정 개편이 시급하며, 통합사회 교수 전문성을 향상하도록 직무연수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2022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수업 방법 및 평가 방법의 안내, 그리고 자료 개발이 확충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Societ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Societ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experiences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eam. Also,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62 social studies teachers. The curriculum of ‘Integrated Society’ was developed based on interdisciplinary principles. Further, the key concepts of the subject have the potential to serve as strands for future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For the 2022 curriculum, content elements of some key concepts should be revised so that they could be more integrated. Teacher literacy of the curriculum should be enhanced and more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lso,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revised curriculum, pre-service programs need to change and more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offered for social studies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운선, "통합교육과정 방향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 개발원리와 실제 : 고등학교1학년을 대상으로" 34 : 463-488, 2001

      2 허숙, "왜 2009 개정 교육과정인가?" 34 : 16-19, 2009

      3 모경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21

      4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5 허수미, "사회과 교사가 인식하는 ‘통합’의 의미와 실천 양상: 2015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과목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39-766, 2017

      6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7 구정화, "문․이과 통합 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2014

      8 구정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과목 개발에 대한 성찰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29, 2015

      9 김경자,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연구(총론)" 교육부 2015

      10 이희현, "국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개발 : 초중학교 인문사회" 한국교육개발원 2016

      1 강운선, "통합교육과정 방향에 따른 사회과 교과서 개발원리와 실제 : 고등학교1학년을 대상으로" 34 : 463-488, 2001

      2 허숙, "왜 2009 개정 교육과정인가?" 34 : 16-19, 2009

      3 모경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21

      4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5 허수미, "사회과 교사가 인식하는 ‘통합’의 의미와 실천 양상: 2015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과목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739-766, 2017

      6 교육부,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7 구정화, "문․이과 통합 사회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 교육부 2014

      8 구정화,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 과목 개발에 대한 성찰적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29, 2015

      9 김경자,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연구(총론)" 교육부 2015

      10 이희현, "국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개발 : 초중학교 인문사회" 한국교육개발원 2016

      11 이희현, "국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 : 초중학교 인문사회" 한국교육개발원 2016

      12 이동원, "공통사회 탄생 과정을 통해 본 통합·분과 논쟁" 8 : 83-98, 2001

      13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Ⅰ)"

      14 김국현, "‘행복’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위한 ‘통합사회’의교육내용 구성 방안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42) : 251-281, 2016

      15 김남준, "‘통합사회’ 교육과정과 그 개발 과정에 대한 성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4) : 181-214, 2017

      16 Wraga, W. G., "The interdisciplinary imperative for citizenship education" 21 (21): 201-231, 1993

      17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 A framework for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NCSS publications 2010

      18 Drake, S. M.,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4

      19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National Council for the Social Studies 1994

      20 Cogan, J. J., "Citizenship for the 21st Century" Kogan Page 2000

      21 박은아, "<통합사회>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과 연수 요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50 (50): 53-78, 2018

      22 교육부,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방향"

      23 교육부,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사항 발표"

      24 모경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8 (48): 1-30, 2016

      25 옥일남, "2015 개정 교육과정기 ‘통합사회’ 개발 과정과 쟁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19): 49-75, 2016

      26 이정우,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과목 운영 실태 조사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58 (58): 183-194, 2019

      27 임은진,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8 (58): 37-56, 2019

      28 박철웅,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통합사회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29 구정화,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 통합사회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 1.5 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1.81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