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임석진, "null", 2009
2 경찰학, "null", 사전 법문사, 2012
3 윤정일, "교육리더십", 교육과학사, 서울:교육과학사, 2004
4 김병희, "교육사회학", 공동체, 교육과학사, 2009
5 한만봉, "교육정책학", 한국학술정보, 2007
6 유훈, "정책집행론", 대영문화사, 대영문화사, 2007
7 정정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서울:대명출판사, 2010
8 권기욱, "학교리더십", 보현사, 서울:보현사, 2009
9 채사장, "시민의 교양", 웨일북, (주)웨일북, 2015
10 김창환, 이석영, 우명숙, 남궁지영, "교육여론조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1 Fink, D., Stoll, L., "Changing Our Schools", Open University Press. Thomas, Margaret A. & Davis, Gary A. 저, 김재복 윤기옥 역(1992). 효과 적인 학교와 효과적인 교사. 교육과학사, 1996
12 김영찬, "생활 문화 교육",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1994
13 김인희, "학교교육혁신론", 한국학술정보, 2008
14 이무근, "직업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서울 : 교육과학사, 1993
15 이무근, "직업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16 김윤옥, "질적연구 실천방법", 교육과학사, 2009
17 박광배,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학지사, 2003
18 김영화, 이인효, 박현정,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1993
19 하연섭, "제도분석-이론과 쟁점-", 서울 : 다산출판사, 2013
20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박영사, 박영사, 2012
21 조석훈, 윤정일, "전환기의 한국교육정책", 학지사, 학지사, 2008
22 안병영, 하연섭, "5 31교육개혁 그리고 20년", 다산출판사, 2015
23 강충열, "학교혁신의 이론과 실제", 지학사, 서울: 학지사, 2013
24 이혜영, "학력주의와 청소년의 삶", 한국청소년개발원, 한국청소년연구, 30-45, 1995
25 김용일, "한국 교육개혁의 정치학", 학지사, 2014
26 이종각, "새로운 생각 새로운 정책", 서울 : 원미사, 2014
27 한홍진, "신뢰받는 학교의 7가지 미덕", 두남, 2012
28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Ⅰ : Bricoleur", 아카데미프레스, 2012
29 옥준필, "특성화고 교육혁신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2012
30 이기명, 천세영, "A초등학교는 왜 변하지 않을까?", 교육행정학연구, 29(3), 223-247, 2011
31 노순규, "학교장의 역할과 혁신의 리더십", 한국기업경영연구원, 한국기업경영연구원, 2011
32 강무섭, "실업계 고등학교 종합 대책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 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99-38, 2000
33 오석영, 진미석, 임정만, 임연, 이강주, "특성화고 진로이력분석 연구 2012", 서울시교육청, 2012
34 박병량, "학교발전과 변화 이론 연구 실제", 서울: 학지사, 2006
35 김병성, "학교효과론 : 연구방법 실천모듈",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1
36 이석열, 주삼환, 정일화, "미국의 최우수학교 블루리본스쿨", 서울: 학지 사, 2009
37 강태중, 송혜정, "고등학교 팽창과 실업계 교육 쇠퇴",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소. 17, 175-193, 2002
38 이병진,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 교육리더십", 서울:학지사, 2003
39 정철영, "실업계 고등학교의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16(1), 1-30, 1997
40 이인효, 정영재, 이종재, "한국인의 교육관:유형적 특성과 갈등",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개발원, 1981
41 박태준, "직업교육기피 현상의 사회문화적 접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 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보고서 03-42, 2003
42 노경란, 허선주, "특성화고 졸업 청년층의 취업결정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능력개발연 구, 15(2), 25-49, 2012
43 강영혜, 박소영, "특성화고등학교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009-01, 2008
44 박상완(Park Sang-wan), "개방형 자율학교의 학교혁신 사례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7(2), 177-201, 2009
45 김용식, 최희선, 이시용, "교육개혁 추진과정에 관한 분석적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 교육연구, 12(12), 187-210, 1998
46 하연섭, "실패한 정책들 –정책학습의 관점에서-", 박영사, 서울 : 박영사, 2015
47 성경래, "개방형 자율학교의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8 안주리, 정진철, 이현민, 이종범, 이건남, "충청북도 특성화고등학교 발 전 전략 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3(3), 23-47, 2011
49 이정선, "학교변화의 방법으로서 학교문화 변화전략", 한국교육인류학회, 교육인류학연구, 10(1), 127-154, 2007
50 최상근, "학업중단위기 학생의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2010
51 김환식, "고졸취업문화 정착을 향한 중등직업교육정책",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 포럼 223호(2012.1), 14-17, 2012
52 서용희(Seo, Yonghee), 주철안(Joo Chul-an), "미국의 성공적인 학교교육혁신사례 비교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육 연구, 17(3), 191-215, 2007
53 Dore, R., "The Diploma Disease: Education Qualiification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이건만 김성학 역(1996). 졸업장 열병: 학력사회의 교육병리. 서울: 양서원, 1976
54 한만길, 박인종, 이혜영, 성기선, "학교교육의 사회적 지위 획득 효과 분 석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8(2), 33-56, 1998
55 이혜영, 한준, 김미란, "학교교육이 사회계층 이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006-06, 2006
56 김선태, "교육과학기술분야 16대 중점과제 모니터링(2011)",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2011
57 강경종, 최수정, 남기곤, 김미란, "직업교육 투자의 사회경제적 효과 분 석. 2012-1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58 김정현, "학교개혁의 동인과 의미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9 이종각, 천세영, 진미석, 정제영, "이종재・김성열・돈 애덤스(편), 한국 교육 60년",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60 강경종, "참여정부에서의 직업교육훈련 중장기 발전 방향", 한국직업교육학회, 공동학술대회, 2003
61 이용환, 안선영, 금지헌, "교사가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의 문제점", 한국농업교육학회,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4), 59-81, 2007
62 나승일, 마상진,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교육 가치성향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 교육연구, 23(2), 41-57, 2004
63 장창성, 배상훈, 최은옥, "마이스터고 진학 학생의 특성 : 3년 (2010- 2012)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32(3), 49-76, 2013
64 강경종, 김종우, "생애능력 함양을 위한 실업교육 체제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2002-19, 2002
65 김경근, 변수용, "한국사회에서의 상급학교 진학 선택 결정 요인 연구", 교 육사회학연구, 16(4), 1-27, 2006
66 Ashton, D., Lauder, H., Brown, P., "The Global Auction: The Broken Promise of Education, Jobs, and Income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이혜진 정유진 역(2013). 더많이공부하면 더많이벌게될까. 개마고원, 2011
67 김용주, 류지훈,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관한 견해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20(2), 35-50, 2001
68 성열관(Sung Youl-Kwan), 김경근(Kim Kyung-keun), 김정숙(Kim, Jung-sook), "학력 부진 아동의 특징 및 발생 원인에 대한 면담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7(3), 27-52, 2007
69 강무섭,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직업교육훈련 정책의 방향과 과제", 공동학 술대회, 2003
70 박주호(Joo-Ho Park), "학교변화 촉진을 위한 교장의 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한국 HRD연구, 6(4), 89-111, 2011
71 유방란, "학교부적응 학생의 교육실태 분석: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7-11, 2007
72 심현애 ( Hyeon Ae Sim ), 김경연 ( Kyung Yun Kim ), "중학교 3학년생의 진학 고등학교 유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 62(4), 593-621, 2014
73 엄문영, 이쌍철, "특성화고 취업의 특징과 취업에 영향을 주는 학교 특징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41(3), 89-117, 2014
74 임유화 ( Yoo-hwa Im ), 이병욱 ( Byung-wook Lee ),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33(2), 1-16, 2014
75 박윤희, 허영준, 오계택, "고졸자 채용에 대한 특성화고 교사 학생 학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32(3), 117-140, 2013
76 배상훈, "우리나라 중등단계 직업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역대 정부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32(2), 45-71, 2013
77 임기흥, "국내 전문계고등학교 특성화 개선방안 및 인력양성방안에 관한 연구", 디지털 정책 연구, 9(6), 13-25, 2011
78 이종범, 최동선, "특성화고 졸업 취업자의 좋은 일자리로의 이행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32(1), 1-21, 2013
79 김성천, "“학교 혁신의 핵심 원리: 교장공모제를 실시한 D중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19(2), 59-89, 2009
80 오석영,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요인 분석 : 서울지역 진로결정 집단 별 비교",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구, 31(3), 135-151, 2012
81 김명한, 박종렬, "1996년 교육개혁 조치의 교육현장 정착상의 저해요인 분석과 그 해결 전략", 교육행정학연구, 15(3), 411-437, 1997
82 Hargreaves, A., Shirley, D., "The Fourth Way. SAGE PUBLIC -ATIONS, INC. 이찬승 김은영 역(2015). 학교교육 제4의 길", 서울 : 21 세기교육연구소, 2009
83 배상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수업몰입과 학습심리변인 및 교사 수업 행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4 김진환, 오원선, "전문(상업)계 고등학교의 교육내용과 기업의 채용 만족 도 간의 경로모델 분석", 경영교육연구, 58(10), 215-238, 2010
85 이종호, 최호승, "충남지역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의 취업정책 및 성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경영교육연구, 27(6), 353-372, 2012
86 Seidman I.,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박해준 이승연 역(2009).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서울 : 학지사, 2007
87 진동섭, "학교 변화의 새로운 요인 탐색: 폐교 위기를 극복한 J초등학교 D분 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345-371, 2014
88 김용식, 조경원, 정진곤, "교육개혁조치의 근본이념과 현장 적용성에 대 한 연구: 학교운영위원회제도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1, 345-368, 1997
89 서인석, 황홍익, 전용철, "e-비즈니스분야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 발을 위한 교육 필요성 분석 : 제천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상업교육학회, 상업교육연구, 26(3), 1-20, 2012
90 Fowler, F. C., "Policy Studies for Educational Leaders : An Introduction. Prentice Hall. 신현석 한유경 dur(2007). 교육정책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03
91 Fullan, M., Hagreaves, A., "What's worth fighting for in your school? : working together for improvement. 2nd ed. 최의창 역(2006).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 서울: 무지개사, 1996
92 홍지인, 조성범, 배상훈,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교 만족도에 대한 마이스터고 학교 효과: 3시점 유사종단자료 분석",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 육연구, 21(3), 179-205, 2013
93 Mintzberg, H., "1992, 1993, 1996, 1998). HARVARD BUSINESS REVIEW ON LEADERSHIP. 현대경제연구원 역(2009). 리더십-변하지 않는 리더십 원리의 기본", 서울:21세기 북스, 1990
94 황호진,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직업교육 정책방향. 공동학술대회. 현 주 이재분 이혜영(2003).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 한국교육 개발원, 2003
95 Yin, R. K., "Qualitative Research from Start to Finish. A Division of Guilford Publications, Inc. 박지연 이숙향 김남희 역(2013). 질적 연구 시작부터 완성까지", 서울 : 학지사, 2011
96 김환식, 배상훈, 김효선, "마이스터고 학생의 학교소속감, 학교만족도, 학교수업 및 진로지도에대한 인식: 특성화고 및 일반고 학생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능력개발연구, 14(3), 155-180, 2011
97 Hoy, W. K., Miskel, C. G.,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Boston : McGraw-Hill. 오영재 신현석 양성 관 박종필 역(2007). 교육행정- 이론, 연구, 실제", 서울 : 아카데미프레스, 2007
98 최호승, "상업계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정부의 취업 정책과 환경이 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고졸 취업자 인사 담당자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99 Fullan, M., Hargreaves, A., "Professional Capital: Transforming Teaching in Every School.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진동섭 역(2014). 교직과 교사의 전문적 자본-학교를 바꾸는 힘-", 서울 : 교육과학사,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