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지방자치법상 지방자치 실현에 있어서 쟁점이 되고 있는 사항으로써 자치단체의 원활한 통합, 자치단체의 적정한 사무배분,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와 구제제도의 활성화, 조례제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71476
2013
-
자치단체 ; 통폐합 ; 기능배분 ; 주민통제 ; 조례제정 ; 지방의회 ; 지방자치단체장 ; 권한남용 ; 지도감독 local government ; merge ; functional division ; control of residents ; establishment of regulation ; local council ; local government head ; abuse of authority ; supervision
360
KCI등재
학술저널
315-346(3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행 지방자치법상 지방자치 실현에 있어서 쟁점이 되고 있는 사항으로써 자치단체의 원활한 통합, 자치단체의 적정한 사무배분,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와 구제제도의 활성화, 조례제정...
현행 지방자치법상 지방자치 실현에 있어서 쟁점이 되고 있는 사항으로써 자치단체의 원활한 통합, 자치단체의 적정한 사무배분, 자치단체에 대한 주민통제와 구제제도의 활성화, 조례제정에 있어서의 발전방안, 지방자치행정에 대한 정당개입 배제, 자치단체장의 권한행사 통제, 지방재정의 건전화 방안,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력 방안 등이 요망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사안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제도적 보완과 더불어 정책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자치단체의 원활한 통폐합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법상 구체적인 절차적 규정이 요망된다.
둘째, 자치단체의 사무배분에 있어서도 명확한 배분은 물론 충분하고도 적정한 재원배분도 함께 이루어지도록 제도보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셋째, 지방자치제도에 대한 주민통제방식으로써, 우선 주민투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주민참여 절차가 보장되도록 제도보완이 뒤따라야 하고, 주민투표의 지속적인 홍보와 캠페인 등을 펼쳐야 할 것이며 투표의 공정성을 위해서 위법ㆍ부당한 행위에 대하여는 엄중한 처벌이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감사청구에 대하여도 청구의 대상과 범위를 확대하고, 감사청구요건도 재무적인 사항은 물론 비재무적인 사항까지 확대하여야 하며 감사청구 과정에서 수사와 재판의 방해 및 개인의 사생활에 있어서 공익상 범위를 확대하여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민소환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주민결정권의 강화를 위해서 소환요건과 범위, 절차의 완화 등 제도보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아울러 주민소송제도의 활성화를 위해서 그 대상 범위를 확대하고 감사전치주의를 선택적 감사전치로 전환하여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정보활용을 통한 주민소송의 실효성확보도 중요하다.
넷째, 의회의 조례제정에 있어서 법령의 예속성을 지양하고 자율적인 제정력과 의원의 전문성 확보 및 의회차원의 지원에 대한 제도보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섯째, 지방자치행정에 대한 정당개입을 배제하기 위하여 지방선거의 공영제 실시와 지방자치단체장 및 지방의회의원의 무당적을 유지할 수 있는 제도보완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자치단체장의 권한행사의 오ㆍ남용으로 인한 부정부패를 막기위해 외부통제 및 내부통제를 강화하고 특히 독립적인 감사기구의 설치 및 감사위원의 선정도 필요하다.
일곱째, 지방재정의 건전화를 위해서 국가의 의존재원과 자주재원을 확충하는 방안이 요망된다. 이를 위해서는 국세의 재분배, 국고보조사업에 대한 지원, 지방세의 확충 및 수입의 확충 등이 뒤따라야 한다.
여덟째,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위해서 권력적 지도ㆍ감독 관계를 지양하고 조언과 지원제도를 확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지방자치법상 현실적으로 제기되는 문제점을 시정하고 그 개선방안을 적용함으로써 바람직한 지방자치를 실현하는 것이 요망된다. 따라서 위에서 제시한 지방자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제도보완이 이루어짐으로써 지방자치가 추구하는 진정한 의미의 지역발전과 주민복리가 확립되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a rising issue in terms of realizing autonomy administration within the current Local Autonomy Law, where moderate integration, business distribution, residence ontrol, active relief system, ways of developing regulation establishment in local o...
It is a rising issue in terms of realizing autonomy administration within the current Local Autonomy Law, where moderate integration, business distribution, residence ontrol, active relief system, ways of developing regulation establishment in local organizations and excluding political party interference to local autonomy administration, regulating abuse of authority power of leaders in autonomy organization, means to make transparent local finance, means of cooperation among nation and local autonomy organizations are desired.
Therefore, following systematic supplementation and its political researches are requir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mentioned issues.
First, Autonomy organizations need to have a concrete process regulation within local autonomy law, in order to have moderate merger and regulation.
Second, policy supplementation shall be made not only to have accurate business distribution, but also sufficient and moderate distribution in resource.
Third, Activation of residents' vote, audit request, recall system and etc as resident regulation method, and resident lawsuit policy as a relief system shall be required as a means of regulating residents to local autonomy policy. first, In order to activate residents' voting, policy supplementation in guaranteeing residents' participation shall be present, and increase in administrative service and continuous promotion and campaign in residents' participation shall follow through. Also, illegalㆍunjust act shall be strictly punished as fair and transparent voting results are considered mandatory. and In terms of audit request, expand the subject and the boundary of requests, and non-financial issues shall be dealt as much as financial issues, as requirements of audit request. Policy supplementation shall be initiated in order to expand the common benefit prize to not only investigations, but also to personal life boundaries. or In order to activate residents' recall system, residents' decision making power shall be strengthened through policy supplementations such as relieving requirements, boundaries and procedures of recall. and In order to activate residents' lawsuit policy, the extent shall be expanded, and policy supplementation shall be made by changing audit transposition to selective audit transposition, so direct lawsuit can be made. Also,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residents' lawsuit due to disclosure of information is important.
Fourth, In case of establishing regulations at an Assembly, sublate the law's subordinate tendency, and policy supplementation shall be made to support self-controlled finance and developing and supporting assembly members' expert knowledge.
Fifth, In order to exclude political party interference to local autonomy administration, policy supplementation shall be made to have local elections publicly managed, and leaders of local autonomy organization, local assembly members to be non-party members of any sort.
Sixth, In order to prevent corruption, the abuse of authoritarian power in autonomy organization leaders, in and outside regulations shall be strengthened, especially policy supplementation shall be made to establish fairness in the installment and the actions made in independent audit organizations
Seventh, In order to promote transparency in local finance, searching for an effective means to expand a nation's dependent and independent finance is recommended. policy supplementation shall be made in regards to the redistribution of national tax, support in state subsidy business, expansion in local tax and income.
Eighth, sublate authoritarian leading and directing in order to promote nation to local autonomy organizations' cooperation and increase advises and supporting systems.
As a result, revise actual problems arising from local autonomy law, and apply such improvement measures to realize desirable local autonomy. Therefore, true regional development and residents' well-being shall be realized throug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 이용우, "현행 주민소환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방자치 2006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9
4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09
5 홍정선, "행정법특강" 박영사 2010
6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2007
7 김동희, "행정법Ⅱ, 제12판" 박영사 2006
8 이현정, "행정구역통합 효과에 관한 연구 : 평택시 사례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9 "한대신문, 2005년 11월 13일(일) 12:00 : 07"
10 박기연,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자치행정권 강화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9
1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 이용우, "현행 주민소환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지방자치 2006
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9
4 김철수, "헌법학신론" 박영사 2009
5 홍정선, "행정법특강" 박영사 2010
6 박균성, "행정법론(하)" 박영사 2007
7 김동희, "행정법Ⅱ, 제12판" 박영사 2006
8 이현정, "행정구역통합 효과에 관한 연구 : 평택시 사례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9 "한대신문, 2005년 11월 13일(일) 12:00 : 07"
10 박기연,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자치행정권 강화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9
1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풀뿌리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실질적 주민참여방안으로서 주민투표 및 주민소환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12
12 이은기, "판례평석, 환경단체의 원고적격 부여문제" 11 (11): 450-453,
13 이헌석, "첫 단추부터 잘못 끼우면 경주 방폐장처럼 된다- 경주 방폐장을 둘러싸고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타는 문제들 -" 2-, 2009
14 류호상, "지방행정에 있어 주민참여활성화를 위한 주민투표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5 (5): 137-139, 2001
15 제창록, "지방재정 자주재원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 지방세 확충방안 및 세외수입 확충방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2
16 홍정선, "지방자치학 제2판" 법영사 2002
17 김재호, "지방자치제도상 주민참여법제 소고"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1 (11): 209-241, 2011
18 정재화, "지방자치의 이해" 세진사 2006
19 백승주, "지방자치법 현안문제" 동방문화사 2013
20 이주희, "지방자치법 이론과 운영" 서강출판사 2010
21 이기우, "지방자치법" 대영문화사 2007
22 조순남, "지방자치단체장의 부패사례 분석과 그 개선방안 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08
23 허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건전화 방안" 한국지방자치법학회 8 (8): 175-198, 2008
24 김철용,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국가의 관여" 18 : 84-88, 1990
25 시민시대신문, "지방자치단체 통합의 문제점"
26 성재수, "지방의회의원의 의정역량 강화방안 : 주민대표성과 입법전문성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1
27 박창순, "지방의회의 조례제정기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8
28 정재화, "지방의회의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하)" 64-, 2008
29 정두용, "지방의회 입법기능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30 이혜영, "지방의원발의 활성화를 위한 입법고찰-서울시의회를 중심으로-" 법학연구소 (22) : 89-117, 2006
31 최연호, "지방선거에서의 정당공천제도에 관한 연구 : 정당공천의 투명성 제고방안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10
32 김영환, "지방선거 정당공천 폐지하자"
33 "즐거운 정치, 하남시 주민소환 투표, 정치평론"
34 박남숙, "주민투표제도의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2
35 박대종, "주민투표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2
36 김동건, "주민투표의 의의와 법적 문제점" 6 (6): 105-,
37 최승원, "주민소송의 법적 성격에 대한 소고" 한국지방자치법학회 8 (8): 261-286, 2008
38 김지선, "주민소송법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0
39 김병기, "주민소송․주민투표․주민소환을 중심으로 한 주민참여법제 소고"
40 주영화, "주민감사청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10
41 김병철, "주민감사청구제도 개선방안 연구, 충청북도 조례를 중심으로" 지방자치, 현대사회연구소 250-, 2002
42 허명순, "자체감사기구의 독립성․전문성 확보 방안" 감사연구원 18-21, 2010
43 홍정선, "신지방자치법" 박영사 2009
44 홍정선, "신 지방자치법" 박영사 2013
45 서울특별시의회, "서울시의회의 행정입법 통제 필요성과 강화방안에 대한 연구"
46 홍준현, "생활권에 기초한 지방자치단체구역의 개편방향" 10 (10): 38-, 1998
47 남기현, "바람직한 민선자치단체장 선택을 위한 제언" 충청전문대학 지역개발연구소 7 : 17-53, 1996
48 문상덕, "단체장 중심 구조의 자치행정시스템의 개선- 민주·법치적 자치행정시스템 확립의 관점에서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5 (5): 49-64, 2005
49 석종대, "내가 본 ‘무상급식 주민투표’의 문제점?"
50 최진혁,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연계(협력)체제에 관한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정부학회 15 (15): 49-74, 2011
51 조성호, "국가와 지방간 사무처리제도 개선방안 의 평가와 과제"
52 최인욱, "관 주도 주민투표의 문제점과 시민사회의 대응방안에 관하여" 녹색연합 1-, 2005
53 "과도․불합리한 국가위임사무로 지방자치 죽어간다"
54 金榮祚, "개정 주민감사청구제도의 문제점 검토 - 일본 지방자치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39 : 257-287, 2008
55 조철영, "住民召還制의 問題點과 法的 改善 方案에 관한 硏究"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12
56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C%A3%BC%EB%AF%BC%EA%B0%90%EC%82%AC%EC%B2%AD%EA%B5%AC%EC%9D%98%20%EB%AC%B8%EC%A0%9C&source=web&cd=2&ved=0CDYQFjAB&url=http%3A%2F%2Fwww.bai-eri.go.kr%2Fjsp%2Fcm%2FUE_FileDown.jsp%3FgsSrvPath%3D%2Fdb1fs1%2FBAICAB%2Fimg1%2F90%2F8490%2F%26gsNewFileName%3D24e3e.PDF%26gsOrgFileName%3DP0801_0000039.PDF%26gsFileExt%3D.PDF&ei=FXoHUv2TBonbkgWb1YDQCw&usg=AFQjCNEeKXV7dsYT6zUoMZKBIZmcGyruAg&bvm=bv.50500085,d.aGc&cad=rjt"
57 "http://news1.kr/articles/1023963"
58 "http://news1.kr/articles/1023963"
59 "http://m.smedaily.co.kr/articleView.html?idxno=27513&menu=2"
60 "http://gnews.gg.go.kr/news/news_policy_view.asp?BS_CODE=S015&number=234"
61 "http://blog.naver.com/sungkyu7906?Redirect=Log&logNo=140191539152"
62 "http://4000simin.or.kr/bbs/view.php?id=news&page=5&sn1=&divpage=1&category=4&sn=off&ss=on&sc=on&select_arrange=vote&desc=desc&no=345"
63 "blog.naver.com/rheehoon/6004540288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9 | 0.687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