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국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public gallery)의 운영 현황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09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후반에 들어 세계의 뮤지엄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고, 독특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거나 운영 형태의 변화를 시도하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소장품 기능을 배제하거나 축소한 형태로 운영되면서 동시대 작가들을 지원하고 활발한 전시를 기획하는 유형의 기관들은 유럽에서 일반적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미국에는 일부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에서도 극히 일부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형태로 운영되는 기관으로는 독일의 쿤스트할레(Kunsthalle) 개념 등의 기관이 있고 미국에는 디아 아트 재단(Dia Art Foundation)에서 운영하는 디아 아트 센터 · 첼시 미술관, 현대 미술관(Museum of Modern Art/MoMA)이 운영하는 P.S.1 동시대미술 센터(P.S.1 Contemporary Art Center) 등이 있다. 한편 아시아권에는 중국 베이징의 울렌스 아트 센터, 일본 도쿄의 국립신미술관(国立新美術館)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아르코미술관이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공공 갤러리들은 뮤지엄의 주요 기능인 소장품과 관련된 기능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하고, 동시대 작가들을 위한 전시와 각종 지원을 하며 지역 사회 속 예술의 근거지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1901년 화이트채플 갤러리의 설립을 시작으로 전시중심형의 공공 갤러리들의 설립이 확산되어 온 영국의 경우 다양한 기관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는 이러한 개념 및 운영 형태는 일반화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런던과 뉴캐슬을 중심으로 위치하고 있는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 중 설립 및 운영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7개 기관의 운영 현황을 분석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영국의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의 설립 및 역사와 성격 및 운영분류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들 공공 갤러리들은 소장기능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하고 동시대 작가들을 위주로 전시를 기획한다는 유사성을 지니며 지역 사회와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문헌 조사 및 현지답사를 하여 설립 배경 · 설립 시기 · 운영 분류 등을 분석함으로써 각 기관들의 형성 및 설립배경을 기술하였다. 또한 해당 기관의 담당자 및 큐레이터와의 인터뷰를 통해 실질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3장에서는 이들 공공 갤러리의 운영 현황과 성격을 비교하였다. 직제와 재정지원 기구, 전시 중심 시스템과 동시대 작가 중심의 전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기술함으로써 7개 기관의 운영 체계 · 전시중심의 성격 · 동시대 작가 중심의 전시 · 교육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 특별프로그램 및 서비스 등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이들 기관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영국의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우선 뮤지엄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소장기능을 배제하거나 최소화 하여 소장품의 수집 · 관리 · 보존 · 전시 · 연구 · 교육 등에 대해 발생하는 비용 즉, 수장고 등의 공간이나 인건비 및 관리비 등을 절감한다.
      다음으로 이 기관들은 동시대 작가를 지원한다. 주로 생존 작가를 중심으로 전시회를 개최하고, 레지던시 프로그램 통해 작업공간을 지원하거나 작가가 주도하는 교육프로그램 및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동시대 작가들의 연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된 각종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의 학교와 시설, 거주자 등 지역민을 위한 전시공간으로서 운영된다. 유 · 무료로 운영되는 지역민 미술 교육 프로그램과 아카이브 및 도서관의 개방, 홈페이지를 통한 교육자료 제공 등의 활동을 통해 이들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이 지역 커뮤니티 속에서 상호작용하고자 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은 기존의 미술관이 행해오던 영역을 넘어 그 역할을 확장 및 보완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아시아를 비롯한 한국에서는 극히 일부만이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시대 작가들을 지원하고 소장품의 기능을 축소 · 배제하여 운영하는 형태의 기관들은 ‘살아 있는 미술관’ ‘제 3의 미술관’으로서 절실히 요구되며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20세기 후반에 들어 세계의 뮤지엄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고, 독특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거나 운영 형태의 변화를 시도하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소장품 기능을 ...

      20세기 후반에 들어 세계의 뮤지엄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고, 독특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거나 운영 형태의 변화를 시도하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소장품 기능을 배제하거나 축소한 형태로 운영되면서 동시대 작가들을 지원하고 활발한 전시를 기획하는 유형의 기관들은 유럽에서 일반적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미국에는 일부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에서도 극히 일부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형태로 운영되는 기관으로는 독일의 쿤스트할레(Kunsthalle) 개념 등의 기관이 있고 미국에는 디아 아트 재단(Dia Art Foundation)에서 운영하는 디아 아트 센터 · 첼시 미술관, 현대 미술관(Museum of Modern Art/MoMA)이 운영하는 P.S.1 동시대미술 센터(P.S.1 Contemporary Art Center) 등이 있다. 한편 아시아권에는 중국 베이징의 울렌스 아트 센터, 일본 도쿄의 국립신미술관(国立新美術館)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아르코미술관이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공공 갤러리들은 뮤지엄의 주요 기능인 소장품과 관련된 기능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하고, 동시대 작가들을 위한 전시와 각종 지원을 하며 지역 사회 속 예술의 근거지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1901년 화이트채플 갤러리의 설립을 시작으로 전시중심형의 공공 갤러리들의 설립이 확산되어 온 영국의 경우 다양한 기관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는 이러한 개념 및 운영 형태는 일반화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런던과 뉴캐슬을 중심으로 위치하고 있는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 중 설립 및 운영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7개 기관의 운영 현황을 분석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영국의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의 설립 및 역사와 성격 및 운영분류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들 공공 갤러리들은 소장기능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하고 동시대 작가들을 위주로 전시를 기획한다는 유사성을 지니며 지역 사회와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문헌 조사 및 현지답사를 하여 설립 배경 · 설립 시기 · 운영 분류 등을 분석함으로써 각 기관들의 형성 및 설립배경을 기술하였다. 또한 해당 기관의 담당자 및 큐레이터와의 인터뷰를 통해 실질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3장에서는 이들 공공 갤러리의 운영 현황과 성격을 비교하였다. 직제와 재정지원 기구, 전시 중심 시스템과 동시대 작가 중심의 전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기술함으로써 7개 기관의 운영 체계 · 전시중심의 성격 · 동시대 작가 중심의 전시 · 교육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 특별프로그램 및 서비스 등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이들 기관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영국의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우선 뮤지엄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소장기능을 배제하거나 최소화 하여 소장품의 수집 · 관리 · 보존 · 전시 · 연구 · 교육 등에 대해 발생하는 비용 즉, 수장고 등의 공간이나 인건비 및 관리비 등을 절감한다.
      다음으로 이 기관들은 동시대 작가를 지원한다. 주로 생존 작가를 중심으로 전시회를 개최하고, 레지던시 프로그램 통해 작업공간을 지원하거나 작가가 주도하는 교육프로그램 및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동시대 작가들의 연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된 각종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의 학교와 시설, 거주자 등 지역민을 위한 전시공간으로서 운영된다. 유 · 무료로 운영되는 지역민 미술 교육 프로그램과 아카이브 및 도서관의 개방, 홈페이지를 통한 교육자료 제공 등의 활동을 통해 이들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이 지역 커뮤니티 속에서 상호작용하고자 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은 기존의 미술관이 행해오던 영역을 넘어 그 역할을 확장 및 보완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아시아를 비롯한 한국에서는 극히 일부만이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시대 작가들을 지원하고 소장품의 기능을 축소 · 배제하여 운영하는 형태의 기관들은 ‘살아 있는 미술관’ ‘제 3의 미술관’으로서 절실히 요구되며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Museums around the world are evolving in the late 21st century. A new paradigm is being buil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organizational structures. This change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museums which do not hold, or attempt to minimalize, permanent collections. These museums are most commonly located in Europe, but are sometimes located in the US. Recently, these types of museums have started appearing in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on a very small scale.

      Public galleries following this paradigm typically play the roles of supporting contemporary artists, and serving as bastions of art for the local community. In the UK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hese exhibition-focused galleries. Though this type of art organization is not yet common in Asia. In this dissertation, I analyze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seven galleries in the UK which exemplify this new paradigm.

      In chapter two I categorize the different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these seven galleries. They are all similar in that they are not collection focused, but geared more towards interacting with the local community.

      In chapter three I compare these organizations’ operating philosophies and characteristics. I provide and interpret a graphic showing the working hierarchies of each of these organizations. I discuss the financial support structures, the exhibition-focused systems, contemporary-artist focused exhibitions, and the operations of various programs.

      In chapter four I discuss the unify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even galleries. There are three main similarities. They conserve resources that would otherwise be spent on manpower, space, management overhead associated with maintaining collections.

      The organizations all support contemporary artists by sponsoring exhibitions, running residential programs, and running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Last, Through programs aimed towards the local community, the organizations serve as educational centers.

      This new paradigm requires the art community’s focus as it represents the cutting edge of art exhibition and culture today.
      번역하기

      Abstract Museums around the world are evolving in the late 21st century. A new paradigm is being buil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organizational structures. This change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

      Abstract

      Museums around the world are evolving in the late 21st century. A new paradigm is being buil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organizational structures. This change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museums which do not hold, or attempt to minimalize, permanent collections. These museums are most commonly located in Europe, but are sometimes located in the US. Recently, these types of museums have started appearing in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on a very small scale.

      Public galleries following this paradigm typically play the roles of supporting contemporary artists, and serving as bastions of art for the local community. In the UK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hese exhibition-focused galleries. Though this type of art organization is not yet common in Asia. In this dissertation, I analyze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seven galleries in the UK which exemplify this new paradigm.

      In chapter two I categorize the different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these seven galleries. They are all similar in that they are not collection focused, but geared more towards interacting with the local community.

      In chapter three I compare these organizations’ operating philosophies and characteristics. I provide and interpret a graphic showing the working hierarchies of each of these organizations. I discuss the financial support structures, the exhibition-focused systems, contemporary-artist focused exhibitions, and the operations of various programs.

      In chapter four I discuss the unify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even galleries. There are three main similarities. They conserve resources that would otherwise be spent on manpower, space, management overhead associated with maintaining collections.

      The organizations all support contemporary artists by sponsoring exhibitions, running residential programs, and running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Last, Through programs aimed towards the local community, the organizations serve as educational centers.

      This new paradigm requires the art community’s focus as it represents the cutting edge of art exhibition and culture tod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1. 서론 1
      • 1) 연구 의의 및 목적 1
      • 목 차
      • 1. 서론 1
      • 1) 연구 의의 및 목적 1
      • 2) 연구 범위 및 방법 3
      • 3) 용어 구분 및 정의 5
      • 2.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의 형성 및 분류 7
      • 1) 설립 및 역사 7
      • 2) 성격 및 운영 분류 16
      • 3. 영국 주요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의 운영 현황 및 성격 20
      • 1) 운영 체계 20
      • (1) 주요 직제와 분류 20
      • (2) 재정 및 지원기구 20
      • 2) 전시 중심 시스템 29
      • (1) 소장기능 최소화 29
      • (2) 전시 투어 31
      • 3) 동시대 작가 중심의 전시 34
      • 4) 교육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67
      • (1) 작가 주도형 프로그램 67
      • (2) 지역민 미술 교육 프로그램 70
      • (3) 홈페이지를 통한 교육자료 제공 74
      • (4) SNS(Social Network Service) 연동 75
      • 5) 특별 프로그램 및 서비스 77
      • (1) 레지던시 및 작가와의 대화 77
      • (2) 아카이브 및 도서관 79
      • (3) 연례 프로젝트 83
      • 4. 영국 주요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의 특징 86
      • 1) 소장기능을 배제한 전시 중심의 성격 86
      • 2) 동시대 작가지원 89
      • 3) 지역사회 연계 및 특별프로그램 90
      • 5. 결론 93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